6주차의 시작인 오늘은 이전에 작업해둔 서비스 기획 내용을 토대로 Research를 진행하기 위한 사전준비를 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Research를 준비하기 전에는 누구에게(Who), 무엇을(What), 어떻게(How)를 설정
> Research 단계
Research 준비
- 조사 배경과 목적 정리
- Research 방법 선정
- 조사 대상자 분류∙설계
- To-Know List 작성
Research 설계
- 조사에 필요한 내용 준비 (설문지, Interview Giude 등)
대상자 선정
- Screening 조사 시행
Research 진행
결과 분석
> 조사배경과 목적 RFP
조사가 필요한 이유(조사배경)과 조사를 통해 알고 싶은 내용(조사목적) 작성
> To-Know List 작성
설문을 통해 확인하고 싶은 내용과 그에 대한 가설을 구체화하고 구조화한 문서
응답 대상자나 조사 방법론 등 프로젝트를 더욱 구체화하고 질문지를 작성할 수 있음
> 조사 대상 선정(Screening)
조사에 적합한 대상자를 모집하기 위해 Research 전 선행으로 시행하는 조사
✅ 조사 목적에 맞는 사용자 Group을 설계
✅ 사용자군을 대표할 수 있는 사용자 Group 설계
✅ 비교 가능한 조사 대상 Group 설계
※ 최소 10명 이상의 조사 대상자를 설정해야하며 모수가 많을 수록 조사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짐
💬 정성적 Research
Focus Group
- 좌담회 : FGD(Focus Group Discussion)과 FGI(Focus Group Interviw)가 있음
- FGD는 질문과 함께 참가자가 토론하며 의견을 주고 받는 방식, FGI는 모더레이터가 질문하고 참가자가 답하는 방식으로 진행
- 정향조사대비 응답자 표본의 수는 적지만, 응답자의 태도나 뉘앙스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거나 심층적인 답변 및 행태 이면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
IDI
- In-Depth Interview, 개별 심층 인터뷰
- 한명의 참가자와의 개별 인터뷰를 통해 심층적인 의견을 얻는 방법
- 정량조사대비 응답자 표본의 수는 적지만, 민감한 주제를 다룰 때 유용
UT
- UT(Usability Test) 사용성 테스트
- 사용자가 실제 서비스를 어떻게 이용하는지 관찰하는 조사로, 확인하려는 Task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관찰 및 의견을 묻는 방식
- 사용자의 사용 패턴 파악 및 행동의 경로 등을 파악하는 것에 용이
In-Home Visit
- 직접 방문하여 관찰하는 조사
- 설문조사나 대화로는 판단하기 어려운 User의 제품 사용 행태 관찰 가능
Diary
- 일정기간동안 참여자의 경험을 기록물로 수집하는 조사
- 참여자가 순발력이나 기억에만 의지하지 않고 경험이 생생히 남아있을 때 기록이 가능
📊 정량적 Research
A/B Test
- 두가지 이상의 Version을 참가자에게 제시하고 비교하여 더 높은 성과를 보이는 Version을 Test하는 방식
User Survey
- 설문지를 활용해 사용자의 의견을 묻는 방식
- 단기간 내 다량의 Data를 수집하여 Data 신뢰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 행동 이면의 원인을 알기엔 어려울 수 있음
오늘 배운 내용을 토대로 Research를 진행하기 전에 이전에 작성한 서비스 기획 내용을 바탕으로 조사배경과 목적, List와 대상자를 선정하는 시간을 가졌다.
▼ 아래는 'Notion'을 통해 작성한 Research 준비조사이다.
<Research 준비>
서비스를 기획하거나 발전시키기 위해서 뚝딱! UI Design을 진행하는 게 아니라 그 전에 작성하고 고려해야하는 내용들이 많다는 것을 알았고 무엇을 생각하고 조사 대상을 어떻게 설정해야하는지, 어떤 조사방법이 좋을 지를 알게 되어서 좋았던 것 같다. 토대를 잘 다지고 나면 '선택과 집중'을 잘 할 수 있고 더 나은 Sevice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어 후에 진행 될 Project가 더 기대되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