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부트캠프] UX Research 수행 복습_2

채연·2025년 4월 11일
0

디자인부트캠프

목록 보기
27/51
post-thumbnail

서론

어제에 이어서 UX Research에 대한 내용을 복습해보고 하루 간 설문조사를 진행한 내용의 통계를 확인하고 자료로 조사결과를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UX Research 유형

⁉️ 정성적 Research와 정량적 Research의 차이

  • 정량적인 방법
    대체로 현상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 "이 결과가 정확하고 의미 있는 결과인지" 중점
  • 정성적인 방법
    왜 그런 현상이 나타났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 "사용자가 왜 이렇게 행동하는지" 충분한 이유가 수집되었는지를 끊임없이 확인

어떤 방법으로 Research를 진행할지 결정하는 것은 Project의 목표와 얻고자 하는 것을 모두 충족하는 Research 방법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

💬 정성적 Research(Qualitative UX Research)

1️⃣ 숫자로는 알 수 없는 고객 행동의 원인과 의도,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
2️⃣ 고객에게 왜 그런 태도와 행동을 취했는지 질문하고, 응답을 수집
3️⃣ 실제 대면하여 직접적으로 관찰하고, 이해하고, 발견
4️⃣ Interview, UT, Diary 조사, VOC 분석 방법 활용
5️⃣ 적은 수의 표본을 통한 심층적 분석이 가능
6️⃣ 고객의 답변이나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진행이 가능하므로, 조사 방식과 질문 변경 가능
7️⃣ 지표에서 발견할 수 없던 단서를 찾을 때 유용하나, 객관적이고 명료한 기준을 들어 분석하기 어려움

📊 정량적 Research(Quantitative UX Research)

1️⃣ 다수의 고객들이 특정 기간 동안 어떤 행동을 했는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
2️⃣ 고객이 언제, 무엇을 했는지 찾기 위해 수치화 된 데이터를 도출
3️⃣ 도구를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예측하여 분석
4️⃣ Survey, Log Data 및 구매 Data와 같은 복합 데이터 분석
(SQL, Python, R/SAS, Presto, Tableau 등의 수치적, 통계적, 수학적 도구를 활용)
5️⃣ 많은 수의 표본으로 객관성을 확보해 공식화, 일반화 가능
6️⃣ 이미 완료된 사실에 대한 Data를 활용하기 때문에 조사 방식을 변경할 수 없음
7️⃣ 빠른 분석이 가능하나, 고객이 행동한 이유를 전부 추정하거나 예측하기는 어려움

정성 Research와 정량 Research는 상호보완 관계를 띄며, Interview 답변과 같은 정성 Data를 정량 Research로 검증하는 것이 대표적

UX Research 결과 분석

Research를 통해 얻은 결과물에서 활용 목적에 맞는 Insight를 잘 도출해 내는 것

  • 결과분석
    결과정리 - 결과분석 - Insight 도출

> 조사결과 정리

정량 조사

  • 통계를 사용하여 Data를 측정, 식별, 파악
  • 넓은 관점에서의 통찰력을 제공

정성 조사

  • 비수치적 Data에 숨겨진 의미와 의도를 파악
  • WHY?와 HOW?를 밝혀내어 Insight 파악

정성적 Research 조가 결과 정리

  • 정리해서 기록하는 것이 아닌 Interview 내용을 그대로 적기
  • 끝난 직후에 바로 정리해두기

1차 정리
1️⃣Exel Sheet에 질문, 응답자 별로 상세 응답 분류
2️⃣혼선 방지를 위해 각 응답자별 고유 식별자 부여 (EX. 2번 Group의 3번 참가자 : 2-3)

2차 정리

상세 응답 별로 코드를 부여해 재정리

  • 목표(Goal) : 응답자가 성취하고자 하는 것
  • 니즈(Needs)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응답자가 필요로 하는 것
  • 동기(Motivation) : 응답자가 목표를 달성하고 싶어하는 이유
  • 과업(Task) : 응답자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하는 일
  • 페인포인트(Pain Point) :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장벽, 어려움
  • 도구(Tools)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하는 도구

정리해보기

UX Research에 대한 내용을 다시 한 번 복습해보고 정리하는 내용을 배운 뒤 앞서 진행한 정량적 Research의 조사결과를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 아래는 'Notion'을 통해 정리한 User Survey 결과이다.
<User Survey 결과정리>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해줘서 감사했고 이를 통해 내가 기획한 서비스의 의도가 잘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보고 방식과 방향성을 확실하게 정할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이후에 정성적 Research도 진행할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