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수업에서 정량적 Research 설문조사 항목 작성에 이어서 오늘은 정성적 Research, 그 중 Focus Group의 특징과 주의사항을 배우고 질문목록을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특정 주제에 대해 소규모 그룹과 토론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정성적 연구 방법
FGD (Focus Group Discussion)
FGI (Focus Group Interview)
- 정성 조사 방법론
응답자의 태도나 뉘앙스를 포착하기 위한 좋은 조사 방법론 중 하나- 개방형 질문
개방형 질문을 활용하여 자유로운 토론, 깊이있는 의견 탐색이 가능- 참여자 수
일반적으로 6~8명의 인원으로 구성된 2~4개의 Group+Moderator
> Offline 방식
✅ Moderator와 참가자가 오프라인 장소에 모여 직접 대화를 나눔
✅ 참가자층이 온라인에 익숙하지 않은 Target일 경우
✅ 실물 제품을 보거나, 상호작용이 중요할 때
> Online 방식
✅ Moderator와 참가자가 일자를 정하여 Zoom, Google Meet 등을 통해 조사 진행
✅ 공간과 위치에 대한 제약이 없다는 장점
✅ 좀 더 편안한 분위기가 될 수 있으며, 젊은층, 민감한 주제일 수록 적합하다는 장점
> Chatting 방식
✅ Moderator와 참가자가 일자를 정하여 카카오톡 등의 채팅을 통해 조사 진행
✅ 공간과 위치에 대한 제약이 없다는 장점
✅ 화상미팅보다도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참가자의 표정이나 뉘앙스를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무게감이 떨어질 수 있음
1️⃣ Research 준비
- 조사 배경과 목적 정리
- Research 방법 선정
- 조사 대상자 분류∙설계
- To-Know List 작성
2️⃣ Research 설계
- 조사에 필요한 내용 준비
(설문지, Interview Guide 등)3️⃣ 대상자 선정
- 질문지 작성
4️⃣ Scheduling
- 참석자간의 일정 Scheduling
5️⃣ 조사진행
- 실제 FGD/FGI 진행
(녹화, 촬영과 함께 진행)6️⃣ 결과 분석
1️⃣ 제시된 답변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네∙아니오'와 같이 이분법적으로 답변하지 않는다.
2️⃣ 인터뷰 목적을 잃지 않도록 질문의 목적과 지침을 질문지에 작성
3️⃣ 너무 많은 이슈를 다루지 않는다.
4️⃣ 기존 고객과는 다른 의견을 많이 이끌어낸다.
5️⃣ 꼭 사전에 준비한 질문 그대로 진행되지 않으며 면담자들의 이야기 흐름에 따라서 사전 제작한 질문 Guide Line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

✅ Moderator가 질문을 주도하고 참가자가 개별 답변
✅ 참석자 간 논쟁이나 상호작용이 거의 없음
✅ 특정 이슈에 대한 개인별 차이를 파악할 수 있음
✅ 특정 참가자가 주도권을 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
❎ 참가자간의 아이디어 Develope이 어려움
❎ 일방적으로 답변하는 구조로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음
❎ 심층적인 토론이 필요할 땐 효과가 떨어질 수 있음
참여자수 : 6~12명 / 진행시간 : 45분~120분 / 질문 수 : 8~12개
> 주의사항
- WHAT? : 논의 주제가 구체적이고 압축적이어야 함
- WHO? : 숙달된 진행자가 있어야 함
- WHO? : 참여자 그룹은 논의 주제에 맞게 신중하고 계획적으로 선택되어야 함
- WHERE? : 자유롭고 공개적으로 대화가 가능한 환경이 마련되어야 함
> 장점
✅ 계획적이며 구조화되어 있는 토론 방식이기 때문에,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정보를 이끌어낼 수 있으며 1:1 인터뷰보다는 많은 사람의 의견을 한 번에 수집할 수 있음
✅ 특정 그룹의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을 파악하는데 효과적
✅ 대화를 통해 의견을 듣는 방식이기 때문에, 고객의 뉘앙스와 비언어적 행동까지 깊이 있는 파악 가능> 단점
❎ 결과 분석에 꽤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들고, 이를 수치화하기 어려울 수 있음
❎ 참여자를 컨트롤하기가 쉽지 않으며, 참여자를 잘못 구성할 경우 논의가 힘들 수 있음
> 효율성
- 여러 명의 면담자가 상호작용하며 조사를 만들어 나가니, 조사자가 미쳐 놓치고 있던 정보 수집 가능
- 이야기를 조절하고 심화해나갈 수 있는 Moderator가 있기에 정리되고 전문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활용범위
탐색적 조사를 할 때 사용하기 좋으며 이전까지 우리가 인지하지 못했던 흥미로운 관점을 찾고 싶을 때 좋은 조사 방법으로 개인들의 이야기에 집중하고 살피거나, 특정 집단 혹은 문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싶을 때도 좋은 방법
> 진행방법
1️⃣ 조사기획
- 조사 목적을 확인하고 문제의 파악과 가설을 정립
- 조사방법 및 비용을 결정하고 조사 대상자의 특성, Group 수를 결정하는 조사 Design
2️⃣ Guide Line 작성
- 담당 연구원이 Client와 협의하여 참석자 자격조건을 결정하고 참석자 선정 질문지(Screening Questionnaire)를 작성
3️⃣ Recruiting(참석자 모집)
- 프로젝트 전담 팀장의 지휘 하에 Recruiting 전문 Assistant Supervisor가 참석자 자격을 참석자 소개자(전문 Recruiter)들에게 알려 자격조건에 맞는 적합한 대상자를 추천맞은 후 선정 질문지(Screening Questionnaire)를 완성하여 FGI 참석자를 선정
4️⃣ FGI 진행
- 담당 연구원이 사전에 Client와 협의하여 준비된 FGI Guide Line에 따라 진행 토의 내용을 전문 모니터가 녹음하고 속기
5️⃣ 결과 분석
- 전문 모니터가 녹은된 내용을 각 Group 별로 자세하게 분석
- 결과 분석 보고서 및 제안 도출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기획하려는 Sevicedp 대한 정성적 조사 방법(FGI)의 질문지를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 아래는 'Notion'으로 작성한 Focus Group Interview 질문지이다.
<Focus Group Interview 질문지>
정량적 조사 방법에 이어서 정성적 조사 질문항목을 작성할 때의 차이점과 주의사항을 알 수 있었고 정량적 조사와는 다르게 면담자들끼리 질문을 하고 인터뷰의 방향을 만들어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을 느꼈던 것 같다. 초반에는 어떤 방향으로 질문을 하면 좋을지 생각을 하느라 시간을 많이 썼는데 이전에 작성해둔 To-Know List를 바탕으로 뼈대를 잡아나갈 수 있어서 좋았다. 이 과정을 통해 체계적인 문서화 과정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달을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