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
이때까지 작성해왔던 '게임 주요소식 알림 서비스 개발' UX Research의 내용과 UX Modeling 작성내용을 토대로 결과를 도출해내는 과정을 배우고 작성해본 후 전체 UX Research 과정을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 Research 준비
> 조사배경과 목적
조사가 필요한 이유(조사배경)과 조사를 통해 알고 싶은 내용(조사목적) 작성

> 📝 To-Know List 작성
설문을 통해 확인하고 싶은 내용과 그에 대한 가설을 구체화하고 구조화한 문서
응답 대상자나 조사 방법론 등 프로젝트를 더욱 구체화하고 질문지를 작성할 수 있음

> 📌 조사 대상 선정(Screening)
조사에 적합한 대상자를 모집하기 위해 Research 전 선행으로 시행하는 조사
✅ 조사 목적에 맞는 사용자 Group을 설계
✅ 사용자군을 대표할 수 있는 사용자 Group 설계
✅ 비교 가능한 조사 대상 Group 설계

🔎 정량/정성적 Research
> 📊 User Survey
- 설문지를 활용해 사용자의 의견을 묻는 방식
- 단기간 내 다량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신뢰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 행동이면의 원인을 알기엔 어려울 수 있음
🎮 '게임을 어떻게 즐기고 계신가요?' 설문조사 링크

> 💬 Focus Group Interview
- 모더레이터가 질문하고 참가자가 답하는 방식으로 진행
- 정량조사대비 응답자 표본의 수는 적지만, 응답자의 태도나 뉘앙스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거나 심층적인 답변 및 행태 이면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

👥 Modeling
> 🗒️ Affinity텍스트 Diagram
- Field Research 결과를 아래에서 위로 묶으 나가면서(Bottom-Up) 개별 결과에서는 보이지 않던 가치를 찾는 작업
- 사용자들의 특성, 고충, 니즈로부터 고충 해결방안, 니즈 충족 방안을 도출하고 서비스의 새로운 특징을 발견

> 🎭 Persona
- 경험이 동일한 사용자들을 묶은 후 가상의 인물로 정의하는 작업
- 사용자들을 경험이 유사한 사람끼리 묶고 구분가능

> 🗺️ Journey Map
- 개별 페르소나들이 제품 이용흐름에 따라서 어떤 경험의 변화를 보이는지 시각화 시키는 작업
- 사용자들의 경험을 유사한 것끼리 묶자 하나하나에서 보이지 않던 인사이트 확보가능

🔑 Key Findings
제기된 이슈들에 대해서 실제 사용자들의 경험을 UX 경험요소 단위로 파악하는 작업으로 데스크 리서치를 통해 해결되지 못한 이슈들을 필드 리서치를 통해 파악하고 그 결과가 이슈에 대한 해답인 Key Finding으로 연결

📍 UX 문제정의 및 우선순위화
- 리서치를 진행하고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어떤 행동을 하고,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분석
- 정성/정량 리서치, 고객 여정 지도, 페르소나 시나리오에서 발견한 UX문제를 정리하고, 우선순위를 정해 개선 방향을 제안

👀 모아보기
<Notion Link : UX Research 도출>

✏️ 수업후기
UX Research 작업 후에 결과도출에도 우선순위화, 문제에 따른 해결방안과 사용자에게 줄 수 있는 가치 등 고려해야할 상황이 많다는 것에 놀랐고 이 과정을 거침으로써 다시 한 번 사용자에게 가치가 있는 서비스인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어서 좋았던 것 같다. 이러한 Research 작업 이외에도 시나리오 작업까지 거쳐가야 할 과정이 많아서 막막하기도 하지만 기초가 탄탄하게 쌓아나가지는 모습을 보니 더욱 애정이 가고 뿌듯했던 경험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