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htGBM] LightGBM: A Highly Efficient Gradient Boosting Decision Tree 리뷰

Sion Park·2022년 2월 20일
0
post-thumbnail

안녕하세요! 오늘은 LightGBM알고리즘을 소개한 논문 LightGBM: A Highly Efficient Gradient Boosting Decision Tree 를 리뷰해볼게요! 이 논문은 인공지능에서 아주 유명한 학회인 NIPS에서 발표된 논문으로 Kaggle에서도 아주 인기있는 알고리즘입니다. 마찬가지로 많은 분들이 이 알고리즘의 성능이 좋다는 것은 알고 계실텐데요. 저도 이용은 많이 해봐서 이 알고리즘이 비교적 빠르고, 메모리 효율도 굉장히 좋다는 것은 알고 있었습니다. 그럼 이 알고리즘이 왜 그러한 이점이 있는지 궁금해서 찾아 읽어봤는데 다소 흥미로운 부분이 많아서 리뷰하게 되었습니다!

이 리뷰게시글에서는 해당 논문에서 Theoretical한 부분과 Experiments섹션은 생략하고 알고리즘의 방법이나, 어떠한 부분이 이 알고리즘을 성공으로 이끌었는지 초점을 맞추어 소개하겠습니다.

1. Introduction

  • GBDT방법은 효율성, 정확도, 해성 가능성이 높아 기계학습알고리즘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빅데이터의 등장으로 정확도와 효율성을 trade-off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GBDT는 기본적으로 각 관측치와 변수마다 정보획득량을 평가하기때문에 계산복잡도가 표본의 수와 변수의 수에 비례하게 됩니다. 즉 효율성이 굉장히 떨어집니다.

  • 해당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두 가지 기술을 제안합니다
    - GOSS(Gradient-based One-Side Sampling): GBDT는 기본적으로 Gradient를 이용하는데, 여기서 기울기가 큰 표본들은 더 많은 정보량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즉, 해당 표본에 대해 과소적합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큰 Gradient값을 가진 표본을 더 학습하는 것이 정보의 획득량이 더욱 많으며 반대로 Gradient가 작은 표본들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 입니다. 그러므로 Gradient값이 큰 표본들을 일정 비율 추출하고 그렇지 않은 표본들을 일정비율로 random하게 학습합니다.

    - EFB(Exclusive Feature Bundling): 실제 데이터는 많은 변수를 갖지만 변수공간은 매우 희소하여 변수 개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One-hot encoding 된 변수들은 굳이 여러개의 변수로 나타낼 필요가 없이 하나의 변수로 묶을 수 있다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EFB방법은 One-hot encoding된 변수처럼 perfectly하게 배타적인 변수에만 적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해당 논문에서는 최적의 Bundle을 찾는 문제를 그래프 색칠 문제로 바꾸어 Greedy 알고리즘을 적용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뒷 부분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 해당 논문에서는 GOSS와 EFB 방법을 적용한 GBDT를 LightGBM이라고 부릅니다. 논문에서 이 알고리즘은 기존 GBDT에 비해 20배 이상 빠른 훈련속도를 보여주면서 거의 동일한 성능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2. Preliminaries

GBDT

  • GBDT는 간단히 결정트리를 순차적으로 학습시키는 모형입니다.

    순차적으로 잔차를 계산하고 이를 target으로 하는 새로운 결정트리를 만들어 가는 방식으로 학습이 되죠!

    결국 결정트리를 만드는데 중요한 것은 최적 분할점을 찾는 것인데 이 부분이 가장 시간이 오래걸리는 부분입니다.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정트리 알고리즘으로 Histogram-based Algorithm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해당 알고리즘이 메모리나 속도 측면에서 효율적이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 이를 바탕으로 연구를 하였다고 합니다. Histogram-based Algorithm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알고리즘은 간단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이 Histogram-based Algorithm은
    - Histogram생성: O(n×p)O(n\times p)
    - 분할점을 찾을 때 O(#bin×p)O(\#bin \times p)

    만큼의 계산량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nn: 데이터의 수, pp: 변수의 수) 여기서 #bin\# bin은 데이터의 수인 nn보다 아주 작기 때문에 결국 Histogram을 만들 때에 계산량이 아주 많다고 합니다.

    즉, 데이터의 수와 변수의 수를 줄인다면 GBDT의 학습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언급합니다.

3. Gradient-based One-Side Sampling

  • GBDT는 표본에 따른 기본 가중치가 없으므로 AdaBoost와 같은 표본 가중치를 직접 적용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하지만 GBDT의 Gradient의 크기를 이용하면 현재 모형으로부터 부족한 정보의 양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단순히 기울기가 작은 데이터는 잘 학습된 데이터로 판단하여 버리게 되면 효율적으로 표본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되지만, 이러한 방법은 데이터의 분포를 바꾸게 되므로 학습모형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고 합니다.


  • GOSS방법은 기울기가 큰 표본을 모두 sampling하고 기울기가 작은 표본에 대해서는 random sampling을 진행합니다.

    - 기울기의 크기에 따라 데이터를 정렬하여 상위 a×100%a \times 100 \%의 표본
    - 기울기가 작은 표본데이터를 b×100%b\times 100 \%의 표본

    이때 표본들의 효과를 보정하고자 기울기가 작은 표본에 (1a)/b(1-a)/b의 가중치를 주어 정보 획득량을 계산합니다.

4. Exclusive Feature Bundling

  • 고차원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매우 희소(Sparse)합니다. 보통 희소한 변수공간에서는 변수가 상호 배타적입니다.
    ('논문에서는 0이아닌 값을 동시에 갖지 않는다.' 라고 되어있는데 이는 scaling 된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즉, 이러한 성질을 통해 배타적인 변수를 단일 변수로 안전하게 묶을 수 있다고 합니다.

    배타적 변수 묶음을 하게 되면 앞서 언급하였던 히스토그램 알고리즘의 계산복잡도는 O(n×p)O(n\times p) 에서 O(n×#bundle)O(n\times \# bundle)로 줄일 수 있게됩니다. 즉, GBDT의 훈련속도 자체를 크게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 변수 묶음 문제는 각각 변수를 노드로 갖는 그래프 문제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모든 가능한 경우를 탐색하는 것은 NP-hard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배타적 변수묶음을 하기 위해 Greedy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 Greedy Bundling: 이 알고리즘은 변수에서 배타적이지 않은 부분(충돌)을 일정 허용하며 Bundle을 만드는 알고리즘으로 Algorithm 3에서 이전에 지정된 수 K 보다 작은 수의 충돌이 일어난 번들을 Greedy하게 만들어 나가는 알고리즘입니다.

  • Merge Exclusive Features: Greedy Bundling에서 얻은 묶음들을 각각 변수로 묶어주는 알고리즘으로 쉽게 말하면 각 변수의 히스토그램을 옆으로 쌓아가는 과정이라고 이해하면서 보시면 쉬울 것 같네요. 논문의 설명에 따르면 "원래의 변수 A는 [0, 10] 값을 취하고 변수 B는 [0, 20] 값을 취한다. 그렇다면 변수 B 값에 오프셋 10을 더하여 가공한 변수가 [10, 30]에서 값을 취하게 한다." 라고 합니다.

  • 이 방법은 모형 학습전에 단 한번 실행되며 계산복잡도가 크지 않으므로 학습시간에 큰 영향이 없습니다.

5. Conclusion

  • 본 논문에서는 GOSS와 EFB를 이용한 LightGBM이라는 새로운 GBDT알고리즘을 제안했습니다. 실험 결과 비교 알고리즘인 XGBoost와 SGB계산속도와 메모리 소비 측면에서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고 합니다.

리뷰는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
Statistician, Data Analys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