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혁/정리] 면접과 서류에서 평가자가 제일 중요하게 물어보는 질문

se_niii·2024년 2월 20일
0

면접

목록 보기
34/38

✏️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하는 면접 필수 질문

: 비전이 무엇인지? (입사 후 하고 싶은 일)

1. 비전이란?

  • 역할(직무에서 수행하는 역할 중 자신있는 역할 잡기) + 아이디어 + 직무 목표 = 조직 목표
  • 해당 역할을 어떤 아이디어로 수행해서 어떤 직무 목표를 달성할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서 내가 지원하는 기업의 어떤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이바지하겠습니다.

2. 비전 완성을 위한 준비 요소

  • 산업 분석, 기업 분석, 직무 분석, 개인 분석 ⭐️
  • 분석을 통해서 여러분들이 단순하게 '이 산업의 특징은 무엇이다', '이 기업은 이런 사업이 있다', '이 직무는 이런 역할을 한다'를 외우는 게 아니라, 이런 내용들을 녹이고 녹여서 결과적으로 비전이라는 것을 완성해야한다.

3. 직접 효과

  • 전문성, 입사의지 등을 강조할 수 있다.
  • 면접관들은 직접 질문이 아니라 간접 질문을 통해서 지원자를 파악한다.
    -> 비전과 관련된 부분을 먼저 완성하게 되면 면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전문성과 이 입사 의지(로열티)를 얼마든지 강조할 수 있다.
  • 기업이 신입에게 요구하는 전문성은?
    • 경력 사원 만큼의 전문성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우리 지원자가 해당 직무에 얼마나 관심을 갖고 준비를 해왔는지, 그런 역할을 어떻게 잘 해낼 수 있는지
  • 직무와 관련된 경험이 부족한 지원자일수록 이 비전을 정교하게 만드신 다음에 면접장에서 보여줄 수만 있다면, 좀 미흡했거나 아쉬웠던 직무 역량을 얼마든지 대체하고 보완할 수 있다.

4. 간접 효과

  • 예상 질문 도출 가능
  • 답변한 비전에서 '제 3자의 입장에서 무엇이 궁금할까'가 바로 나에게 출제될 수 있는 면접의 예상 질문이다.

ex) 인사 직무의 비전 : 채용 역할을 EVP라는 방법을 적용해서 채용 브랜드를 강화하고 기업 내 인재를 조기에 확보된다면 사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예상 질문)
1. 다른 기업도 EVP 방식으로 효과를 얻는 사례가 있습니까?
2. 채용 관련 우리 지원자가 준비했던 노력은 무엇인가요?
3. 그런 어려움들을 우리 지원자는 어떻게 극복하실거예요?

+) 어떤 질문이 출제될 것인가를 고민만 하고 걱정만 하다 보면 흔들릴 수밖에 없다. 또한 예상 질문은 100만 가지가 넘기 때문에 당연히 시간이 부족하고, 시간이 있다고 하더라도 절대로 그걸 다 준비할 수가 없다. 면접일이 다가오면 다가올수록 자신감만 계속 떨어진다.

5. 당부 사항

  • 완벽한 비전은 있을 수 없다는 점 인정!
    • 비전은 추상적일 수밖에 없다.
    • 완벽하게 비전을 만들지 못한다라는 것을 인정하고, 내가 이 기업의 이 직무에 최대한 관심이 있다 정도로 표현하자.
    • 기업의 핵심 가치, 인재상에 해당되는 키워드를 가지고 '이러한 역할을 이러한 열정적인 태도로 달성하겠다/이루어내겠다'라고 표현해보자
  • 비전 완성과 나 자신에 대한 이해는 동시다발적으로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
    • 반드시 자신에 대한 이해도 같이 준비를 해야하고 이게 병행되어야 됩니다.
    • 비전만 만들다가는 예상 질문에 대한 답들을 준비를 못 하게 된다.
    • 그래서 비전은 비전대로 만들어 가고, 완벽하지 않더라도 대략적으로 '이런 얘기를 하게 되면 분명히 나에게 이런 질문이 나올 것이다'라는 것을 고민하고 그에 대한 준비된 나의 답변 연습을 같이 해야 효과가 크다.





영상 출처
면접과 서류에서 평가자가 제일 중요하게 물어보는 질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