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혁/정리] 면접관의 OO를 사용하여 답변 날로먹기

se_niii·2024년 2월 19일
0

면접

목록 보기
33/38

🤔 면접/자소서에서 경험이 부족하더라도 합격을 해낼 수 있는 방법

: 자신을 대표하는 키워드 재정의가 중요

  • 면접/자소서에서 요구되는 질문 자체가 굉장히 모호하고 추상적일 때가 많다. 그러다 보니 다양한 정답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때문에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게 답변을 완성 연결하는게 굉장히 중요하다.

  • 재정의를 잘하면 잘할수록 내가 경험이 적더라도 '내가 갖고 있는 경험이 너네들이 원하는 경험이다'라는 것을 연결 다리로 활용할 수 있어서 더욱 더 좋다.

  • 또한 평가자는 여러분들이 자신만의 주관을 가지고 설득하는 걸 굉장히 좋아한다.

ex) 도전이란 [더 높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리스크를 감수하더라도 새로운 방법과 실행으로 발전하는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재정의)


BUT, 맘껏 정의할 수 있지만 기업이 원하는 답변인지 눈치보인다..

  • 내가 이야기한 재정의가 좋은 내용인지, 평가자가 공감할 수 있는 그러한 전달이 되고 있는지 항상 걱정이 될 수밖에 없다.



😙 재정의 날로 먹는 방법

: 평가자의 언어를 활용해 기업의 핵심 가치와 인재상을 파악하여 자기소개서 작성하기

  • 위 사진에 나와있는 고려 요소를 3~5개 수집하자
  • 지원하는 기업 뿐만 아니라 경쟁사, 다른 기업의 인재상인 핵심 가치들을 두루두루 살펴보면 결과적으로 공통적으로 나오는 이야기들이 있다.

EX1) 여러분이 생각하는 도전이란 게 무엇인가요?
주요 기업 사례
- A기업 : 어떠한 역경 속에서도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는 자신감과 능력을 지니고 더 높은 목표에 도전하는 인재
- B기업 : 현재에 만족하거나 안주하지 않고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실천과 행동을 통한 변화와 혁신으로 도전의식을 발휘
- C기업 : 최고가 되기 위해 스스로 높은 수준의 목표를 추구하고 난관에도 굴하지 않는 의지와 열정
➡️ 내가 만든 표현 : 제가 생각하하는 도전이라는 것은 어떠한 역경이 있다고 하더라도 더 높은 목표를 가지고 혁신하는 겁니다.

EX2) 여러분이 생각하는 열정이란 게 무엇인가요?
주요 기업 사례
- A기업 : 열정과 몰입으로 미래에 도전하는 인재, 일에 대한 열정과 조직에 대한 일체감 및 자부심을 갖고 미래에 도전
- B기업 : 열정을 가지고 적극적인 사고와 진취적인 행동을 통해 빈틈없고 야무지게 일을 처리함(빈틈없는 야무진 일 처리)
- C기업 : "강한 열정, 끈질긴 승부근성" 믿음 신뢰 바탕으로 업무 수행 2. 맡은 바 업무에 끈기와 정열을 가지고 완수
➡️ 내가 만든 표현 : 제가 생각하는 열정이라는 것은 적극적인 사고와 진취적인 행동을 통해서 끈기와 정열을 가지고 완수하는 겁니다.

EX3) 여러분이 생각하는 창의성이란 게 무엇인가요?
주요 기업 사례
- A기업 : 다양하는 독창적인 발상, 영감, 상상력을 발휘
- B기업 :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는 유연한 사고로 조직과 자신에게 발전적이고 현실성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다양하게 제안하고 실행
- C기업 : 열린 사고와 문제의식을 통해 보다 나은 방안을 창출
- D기업 : 나부터 변하자는 마인드로 변화와 혁신을 주도
➡️ 내가 만든 표현 : 고정 관념에 얽매이지 않는 유연한 사고로 보다 나은 방안을 창출하는 것입니다/ 나부터 변하자는 마인드로 영감이나 상상력을 발휘하는 겁니다.

EX4) 여러분이 생각하는 팀워크이란 게 무엇인가요?
주요 기업 사례
- A기업 : 나와 다름 존중, 신뢰하는 친밀의 자세로 타인 의견 경청, 협업 통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인재
- B기업 : 이해 존중 기반, 적극적 협력하여 상호 신뢰 관계 구축, 조직과 개인의 최상의 성과 추구
- C기업 : 내가 속한 부분보다 전체 이익 극대화를 먼저 생각, 부서(?) 업무에 관심 갖고 적극 협력
➡️ 내가 만든 표현 : 나와 다름을 존중하고 적극적으로 협력하면서 전체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 저는 이게 진정한 팀워크라고 생각을 합니다.

  • 이렇게 짜집기를 하다 보면, 내가 만든 표현이 지원 기업에 대한 어떤 컨텐츠를 100% 따라한 건 아니다. 적절하게 유사한 단어들과 유사한 어휘들을 조합해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보니까, 평가자가 원하는 내용으로서 답변을 활용할 수 있다.



📛 주의사항

  • 표현보다 중요한 것은 그 표현에 부합하는 경험과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 이다.
  • 본인 생각/표현에 부합하는(부합하기 위해 노력하는) 경험/근거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ex) '나와 다름을 존중하는 게 팀워크'라고 생각합니다.
: 하지만 과거 경험에서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을 존중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 준다면 앞뒤가 안 맞는 것이다.
그럼 최소한 이런 경험이 없다고 하더라도, '과거에 본인이 타인을 존중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정적인 결과가 있어서, 그 이후부터는 항상 나와 다름을 존중하기 위해서 노력 하고 있고, 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나와 다른 분야에 대한 지식적인 부분들도 쌓고자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런식으로 근거가 있어야 한다.



😅 이거 너무 따라하는 거 아닌가요?

  • 인생은 곧 따라하는 것이다. 하지만 누가 그럴싸하게, 근거가 있게 표현을 만들어 내느냐, 그게 중요한 것이.
  • 우리가 정말 무에서 유를 창조할 수 있는 건 아니다. 그리고 면접관도 그런 걸 요구하는 건 아니다.
  • 때문에 '반드시 이 세상에 없는 표현을 만들어 내야 된다' 그런 부담을 가질 필요는 없다.





영상 출처
면접관의 OO를 사용하여 답변 날로먹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