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ation metrics and evaluation of Journals and conferences

남서현·2025년 5월 22일
0

Paper Review

목록 보기
8/8

이 논문의 Citation 의 history에 대한 역사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는 동시에 인용지표에 대해 survey 느낌으로 정리한 논문이다.

인용분석은 발표된 과학 논문, 저자, 출판 매체(학술지/학회)를 평가하는 것이 목표이다.

학술지의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알려진 지표들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Impact Factor (IF) 가 가장 널리 사용된다.

H-index는 학회를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는데에 널리 사용하는 지표로 적용 대상에 따라 분류하였다.
학술지나 학회에 실린 논문의 immediate relevance를 측정하기 위해서 Normalised immediacy index라는 새로운 지표를 제안하였는데 새롭게 제안한 지표와 기존 피료 (h-index는 학회에 대해, IF는 학술지에 대해)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Spearman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Citation Metrics

인용지표는 연구비 지원 결정, 도서관 구독 저널 선정, 종신 재직 심사, 학회 발표자 선정 등 중요한 학술적 의사결정에 사용되어 왔다.

1960년 Eugen Garfield가 설립한 ISI(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은 과학 논문을 위한 최초의 인용 색인인 Science Citation Index(SCI)를 도입하였다. 1997년에는 최초의 자동 인용 색인 도구인 CiteSeerX가 등장하였다.

학술지가 특정 indexing service에 포함되면 가시성, 독자층,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Evaluation of Journals

전통적으로 학술지는 연구자가 권위를 인정받기 위한 주요 출판 수단으로, 연구자에게 얼마나 명성있는 학술지에 얼마나 많은 논문을 게재했는가는 커리어 향상에 있어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연구성과 평가 차원에서 학술지의 품질 평가는 여전히 필수적이며 많은 연구자들은 논문을 게재할 때, 색인된 학술지를 찾으려고하는 경향이 있다.

1960년대에 Impact Factor가 도입된 이래,

  • cited half-life, citing half-life
  • Immediacy Index
  • Eigenfactor (EF)
  • SCImago Journal Rank (SJR)
  • SNIP, H-index, CORE ranking, ABDC ranking

Evaluation of Conferences

학회 논문집은 수십년동안 주기적으로 개최되어 왔고, 가장 오래된 학회들은 1960년대 후반에 설립되었다. ACM, IEEE, AAAI등과 같은 저명한 국제학회들의 후원을 받았다.

컴퓨터과학 및 정보기술 분야는 혁신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자신의 연구 결과를 빠르게 발표하기 위해 학술지보다 학회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학회의 품질을 평가할때도 다양한 기준들이 존재하는데,

  • 논문의 인용 수
  • 투고 수와 수락률
  • 논문의 품질
  • 많이 인용된 논문의 수
  • 후원 여부
  • 학회 설립 연도
  • 프로그램 위원 구성 등

최근 10년 사이에는 Eigenfactor(EF), SCImago Journal Rank (SJR)와 같은 위상(prestige)기반 지표들이 학술지 평가에 점점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

컴퓨터공학과 같이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에서는 논문 출판 절차가 일반 학술지보다 짧기 때문에 peer review를 거친 학회가 연구결과를 빠르게 확산하는 데 핵심적인 채널로 간주된다.
학회의 영향력 평가를 위한 다양한 지표들도 개발되었다. acceptance rate,H-index, CORE ranking, Aminer ranking, Microsoft Academic ranking등은 학회의 인기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최근에 학회 평가에서도 위상 기반의 지표의 활용가능성이 연구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는데, pagerank 기반의 인용 지표를 학회 평가에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하며, 데이터 마이닝 부냥 학회에 대해 SJR, EF 등의 지표가 기존의 인용 기반 지표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해당 논문에서는 기존의 Immediacy Index의 표준화된 변형으로 학술지학회에 실린 논문들이 immediacy relevance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최신 연구분야를 다루는 출판 매체간의 비교에서 유용한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논문의 실제 인용 속도를 더 공정하게 반영할 수 있다.

Reference

Citation metrics and evaluation of journals and conferences

profile
AI research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