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probability)은 어떤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의 정도를 0~1사이의 실수로 표현한 척도이다.
예를 들어, 내일 비가 올 확률이 40%라고 하면, 내일 비가 올지 안 올지 정확하지는 않으나 40%의 가능성으로 비가 올 것 같다는 의미이다. 통계학은 불확실한 상황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불확실의 정도를 측정하는 확률은 핵심적인 부분이 될 수 밖에 없다.

# 확률론의 기초개념

1. 확률실험

동전 던지기 실험을 하면 앞면 혹은 뒷면의 결과를 얻게 되고, 주사위 던지기 실험을 하면 윗면에 점이 1개에서 6개 중 하나를 얻게 된다. 이 실험은 화학 실험과 달리 실험 결과를 사전에 알 수 없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해 동전을 던지기 전에는 앞면과 뒷면 중 어떤 결과가 나올지 모른다. 그러나 앞면이나 뒷면이 나올 확률은 존재한다. 이처럼 결과가 확률적으로 얻어지는 실험을 확률실험(chance experiment, random experiment)이라고 한다.

확률실험: 실험 결과가 확률적으로 나타나는 실험

2. 표본공간

표본공간(sample space)은 확률실험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결과(outcome)의 집합으로 영문 대문자 SS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동전던지기 실험을 하면 앞면이나 뒷면이 나오므로 표본공간 SS={앞면, 뒷면}이 된다.

표본공간: 확률실험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결과의 집합

확률 실험의 결과를 하나하나 열거하지 못하는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연간 강수량의 경우, 0mm 이상인 임의의 실수를 취할 수 있으므로, 일일이 열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구간으로 표본공간을 표현한다. 연간 강수량의 경우 표본공간은 SS=[0, \infin) 이다.

3. 사건

표본공간의 부분집합을 사건(event) 혹은 사상이라 한다. 주사위 던지기의 예에서 '2이하를 얻는' 사건이란 1 또는 2가 나오는 경우로 표본공간인 S={1, 2, 3, 4, 5, 6} 의 부분집합이며, 결과인 1과 2의 집합이다.

사건: 표본공간의 부분집합으로 일정한 속성을 지닌 결과의 집합이다.

4. 집합연산

주요 집합 연산은 다음과 같다.

  • 합집합(union): 집합 AA와 집합 BB의 합집합은 ABA \cup B로 표기한다.
    AB=A \cup B = { 집합 AA 또는 BB에 속하는 모든 원소 }
  • 교집합(intersection): 집합 AA와 집합 BB의 교집합은 ABA \cap B로 표기한다.
    AB=A \cap B = { 집합 AA와 집합 BB의 공통 원소 }
  • 여집합(complement): 집합 AA의 여집합은 AcA^{c} 또는 Aˉ\bar{A}로 표기한다.
    Ac=A^{c} = { 집합 AA에 포함되지 않는 원소 }

4.1 벤다이어그램

확률의 이해를 돕는 데 빼놓을 수 없는 도구가 벤다이어그램(Venn diagram)이다. 아래 그림은 표본공간 S, 사건 A, 사건 B가 표시된 벤다이어그램이다. 이 도표를 사용하면 사건이나 집합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4.2 상호배타적 사건, 전체를 이루는 사건

주사위를 한 번 던질 때 짝수가 나오는 사건을 AA, 홀수가 나오는 사건을 BB라 하자. 두 사건에 공통적으로 속하는 원소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AB=ϕA \cap B = \phi 이다. 이 경우 사건 AA와 사건 BB상호배타적(mutually exclusive) 사건이라 한다. 또 다른 특수한 경우로 두 사건의 합집합이 표본공간 전체 S를 구성하는 예를 들 수 있다. 주사위를 한 번 던질 때 짝수가 나오는 사건 AA와 홀수가 나오는 사건 BB의 합집합은 {1, 2, 3, 4, 5, 6} 으로 표본공간 SS와 동일하다. 즉, AB=SA \cup B = S 이다. 이 때 AABB전체를 이루는 사건(exhaustive)이라 부른다.

상호배타적: 두 사건 AABBAB=ϕA \cap B = \phi이면, 두 사건 AABB는 상호배타적이다.
전체를 이루는: 두 사건 AABBAB=SA \cup B = S이면, 두 사건 AABB는 전체를 이룬다.

참고) 사건 A,B,CA, B, C가 상호배타적이면 ABC=ϕA \cap B \cap C = \phi이다. 그러나 ABC=ϕA \cap B \cap C = \phi 라고 해서 A,B,CA, B, C가 서로 상호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 확률의 정의

확률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1. 고전적 확률

주사위를 던져 2 이하를 얻게 될 확률은 1/3이다. 주사위 던지기에서 얻을 수 있는 결과는 {1, 2, ... , 6} 의 6가지이고, 이 중에서 2이하의 결과는 {1, 2}의 두 가지 경우이므로 확률은 1/3이다. 이런 논리는 라플라스가 정의한 고전적 확률 개념에 부합한다.
고전적 확률(classical probability)은 원소의 발생 가능성이 동일하고 상호배타적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고전적 확률: P(A)=n(A)NP(A) = \frac{n(A)}{N}
                    P(A)P(A): 사건 A가 발생할 확률
                    NN: 표본공간의 원소의 수 즉, S|S|
                    n(A)n(A): 사건 AA의 원소 수 즉, A|A|

2. 경험적 확률

경험적 확률(empirical probability)이란 과거의 통계자료나 실험이라는 경험을 통해 구한 확률을 말한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 생산된 제품 100,000개에 대해 800개의 불량품이 나왔다면 불량품을 생산할 확률은 0.8%이며, 이를 경험적 확률이라고 한다.

3. 주관적 확률

고전적 확률을 계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실험의 반복시행도 불가능하여 경험적 확률조차 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교량의 붕괴 가능성이라든지 특정 태양계의 생물 존재 가능성 등이 그러한 경우에 속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의사결정자의 지식, 정보 및 경험에 의거한 주관적 평가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와 같은 확률을 주관적 확률(subjective probability)이라 한다.

4. 공리론적 확률

콜모고로프(Kolmogorov, 1903~1987)는 확률을 다음과 같은 공리(axiom)를 만족하는 함수로 정의하였다. 이 방법은 현대 확률론의 기초가 되었다.

확률의 공리적 정의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를 확률이라 한다.
1) 표본공간 SS에서 임의의 사건 EE에 대해 0P(E)10 \leq P(E) \leq 1
2) P(S)=1P(S) = 1
3) 상호배타적인 사건 E1,E2,...E_{1}, E_{2}, ...에 대해 P(E1E2...)=P(E1)+P(E2)+...P(E_{1} \cup E_{2} \cup ...) = P(E_{1}) + P(E_{2}) + ...

# 확률계산

1. 경우의 수

경우의 수(number of cases)란 어떤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횟수를 말한다.

1.1 배열을 이용한 경우의 수 계산

a,b,ca, b, c 를 순서대로 배열한다면 몇 가지의 경우가 있을까?
첫 번째에 놓을 수 있는 글자는 a,b,ca, b, c 3개 중 하나이다. 두 번째 위치에 놓을 수 있는 글자는 2개 중 하나이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위치에 글자가 모두 결정되었으므로 세 번째 위치에 놓을 수 있는 글자는 이미 정해져 있다. 따라서 나올 수 있는 모든 배열은 {abcabc, acbacb, bacbac, bcabca, cabcab, cbacba} 총 6가지가 된다. 문제를 일반화하여 글자 nn개를 순서대로 배열하는 경우, 총 경우의 수는 n(n1)(n2)1n(n-1)(n-2)\cdot\cdot\cdot1, 즉 n!n!이 된다.

1.2 순열과 조합을 이용한 경우의 수 계산

a,b,ca, b, c 세 개의 알파벳 중에서 2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를 생각해 보자. 이 때 (a,ba, b), (b,ab, a)라는 배열을 2개의 경우로 간주할 지 또는 1개의 경우로 간주할지에 따라 경우의 수가 달라진다. 배열 순서를 감안한다면 (a,ba, b), (b,ab, a)는 2개의 경우로 간주되고, 배열 순서를 무시한다면 (a,ba, b), (b,ab, a) 는 1개의 경우로 간주된다. 다음의 표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배열 순서를 감안한다면 경우의 수는 6이고, 배열 순서를 무시한다면 경우의 수는 3이다.

알파벳 3개 중에서 2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

배열 순서를 감안할 때배열 순서를 무시할 때
(a,ba, b), (b,ab, a)(a,ba, b)
(b,cb, c), (c,bc, b)(b,cb, c)
(c,ac, a), (a,ca, c)(c,ac, a)
경우의 수 = 6경우의 수 = 3

배열 순서가 감안될 때의 경우의 수를 순열(permutation), 배열 순서가 무시될 때의 경우의 수를 조합(combination)이라 한다. nn개의 대상에서 rr개를 선택할 때, 순열의 수와 조합의 수는 다음과 같다.

순열의 수: nPr=n!(nr)!_{n}P_{r}=\frac{n!}{(n-r)!}
조합의 수: nCr=n!r!(nr)!_{n}C_{r}=\frac{n!}{r!(n-r)!}

이 공식을 이용하여 a,b,ca, b, c 세 개의 알파벳 중에서 2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를 구해보자. 배열 순서를 감안한 경우의 수는 3P2=3!(32)!=6_{3}P_{2}=\frac{3!}{(3-2)!}=6이고, 배열 순서를 무시한 경우의 수는 3C2=3!2!(32)!=3_{3}C_{2}=\frac{3!}{2!(3-2)!}=3 이다.

1.3 경우의 수를 이용한 확률 계산

특정한 사건 AA가 발생할 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A)=n(A)NP(A)=\frac{n(A)}{N}
n(A)n(A): 사건 AA가 발생하는 경우의 수
NN: 발생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

각 경우의 발생 가능성이 동일하고 상호배타적인 경우에 이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공식은 고전적 확률 공식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3개의 흰색 공과 1개의 검은색 공이 들어 있는 상자에서 한 번에 1개씩 2개를 꺼낼 때, 1개의 흰색 공과 1개의 검은색 공이 나올 확률을 계산해보자. 한 번에 1개씩 2개를 꺼내기 때문에 발생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는 4 x 3 = 12 가 된다. 이 중에서 1개의 흰색 공과 1개의 검은색 공이 나오는 경우는 (흰색, 검은색), (검은색, 흰색) 이렇게 두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먼저 (흰색, 검은색) 이 나오는 경우의 수는 3 x 1 = 3 이고, (검은색, 흰색)이 나오는 경우의 수는 1 x 3 = 3 이 된다. 따라서 P(A)=(3+3)/12=1/2P(A) = (3+3)/12 = 1/2 이 된다.

다음으로 이 상자에서 꺼낸 첫 번째 공이 흰색이란 전제하에 두 번째 공이 검은색일 확률을 계산해보자. 첫 번째 공이 흰색이 되는 경우의 수는 3이다. 이 중에서 두 번째 공이 검은색이 되는 경우의 수는 1이다. 따라서 확률 P(A)=1/3P(A)=1/3이 된다.

# 확률에 관한 몇 가지 정리

확률 계산에 유용한 몇 가지 법칙을 알아보자.

1. 확률의 덧셈법칙

가장 기본적인 법칙 중 하나는 확률의 덧셈법칙이다.
이 법칙은 두 사건 A,BA, B 중 최소 하나가 발생할 확률 계산에 적용된다.
벤다이어그램을 사용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확률의 덧셈법칙: P(AB)=P(A)+P(B)P(AB)P(A \cup B) = P(A) + P(B) - P(A \cap B)

2. 조건부 확률과 확률의 곱셈법칙

어떤 조건 하에서의 확률을 조건부 확률(conditional probability)이라 부른다. P(AB)P(A|B) 와 같은 형태로 표기하며, 사건 BB가 발생한다는 조건하에서 사건 AA가 발생할 확률이라 읽는다. '사건 BB 중에서 사건 AA의 비율'로 해석하는 것이 보다 쉽게 이해하는 요령이다.

조건부 확률 P(AB)P(A|B)와 비조건확률 P(A)P(A) 의 개념 차이를 쉽게 이해하려면,

  • P(AB)P(A|B)BB 중에서 AA의 비율
  • P(A)P(A)는 전체 중에서 AA의 비율, 즉 P(AS)P(A|S) 라고 생각하면 된다.

P(AB)P(A|B)가 'BB 중에서 AA의 비율'이므로, 조건부 확률 P(AB)P(A|B)의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조건부 확률의 계산 공식: P(AB)=P(AB)P(B)P(A|B) = \frac{P(A \cap B)}{P(B)}

모대학의 신입생을 조사하니 남학생의 비율은 60%, 수도권 출신자 비율은 40%, 수도권 출신 남학생 비율은 30%이다. 임의로 선택된 학생이 남자일 때, 이 학생이 비수도권 출신일 확률은 얼마일까?

신입생이 수도권 출신인 사건을 AA, 신입생이 남학생인 사건을 BB 라 할 때, P(A)P(A)=0.4, P(B)P(B)=0.6, P(AB)P(A \cap B)=0.3이다. 임의로 선택된 학생이 남자일 때, 이 학생이 비수도권 출신일 확률은 P(AcB)P(A^{c}|B) 이다. 따라서 P(AcB)=P(AcB)P(B)=P(BA)P(B)=P(B)P(AB)P(B)=0.60.30.6=0.5P(A^{c}|B) = \frac{P(A^{c} \cap B)}{P(B)} = \frac{P(B-A)}{P(B)} = \frac{P(B) - P(A \cap B)}{P(B)} = \frac{0.6 - 0.3}{0.6} = 0.5 이다.

3. 독립과 종속

한 사건의 발생이 다른 사건의 발생확률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주사위를 두 번 던지는 경우, 두 번째 던질 때 나오는 수는 첫 번째 던지는 숫자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반면에 공장에 화재가 나느냐의 여부는 해당 회사의 이익이 증가할 것인가에 영향을 준다. 전자와 같이 한 사건이 다른 사건의 확률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를 독립(independent)라 하고, 후자와 같이 다른 사건의 확률에 영향을 주는 경우를 종속(dependent)이라 한다.

사건의 독립과 종속
P(AB)=P(A)P(A|B)=P(A) 또는 P(BA)=P(B)P(B|A)=P(B)이면, 사건 A와 B는 독립이다. 반면에 등호가 성립하지 않으면 두 사건은 종속이다.

두 사건 AABB가 독립일 때, P(AB)=P(A)P(B)P(A \cap B) = P(A)P(B) 이다.

동전 하나와 주사위 하나를 던질 때, 동전이 앞면이 나오고 주사위는 3이 나올 확률을 구해보자.
동전이 앞면이 나올 확률 P(A)=1/2P(A)=1/2, 주사위 3이 나올 확률 P(B)=1/6P(B)=1/6 이다.
두 사건 A,BA, B 가 서로 독립이므로 P(AB)=P(A)P(B)=1/21/6=1/12P(A \cap B) = P(A)P(B) = 1/2 \cdot 1/6 = 1/12 이다.

4. 상호배타적과 독립

상호배타적과 독립을 비슷한 개념으로 오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은색 공 5개, 흰색 공 4개가 들어있는 상자가 있다. 이 상자에서 1개의 공을 꺼낼 때 검은 색 공이 나올 사건을 BB, 흰색 공이 나올 사건을 WW라 하자. 사건 BB와 사건 WW의 확률은 각각 P(B)=5/9P(B)=5/9, P(W)=4/9P(W)=4/9 이다. P(BW)=0P(B \cap W) = 0 이므로 두 사건은 상호배타적이다. 하지만 P(B)P(W)=20/81P(BW)P(B) \cdot P(W) = 20/81 \neq P(B \cap W) 로 독립이 아니다.

상호배타적이란 두 사건이 함께 일어날 확률이 0이라는 의미이고,
독립은 한 사건이 다른 사건의 확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즉, P(AB)=P(A)P(A|B) = P(A)

5. 기타 확률법칙

앞에서 설명한 것 외에 다음과 같은 법칙이 있다.

  • P(Ac)=1P(A)P(A^{c}) = 1 - P(A)
  • ABA \subset B 이면, P(A)P(B)P(A) \le P(B)
  • P(A)=P(AB)+P(ABc)P(A) = P(A \cap B) + P(A \cap B^{c})

# 전확률과 베이즈정리

1. 전확률의 법칙

어느 회사는 초록색 공장과 흰색 공장을 가지고 있다. 초록색 공장의 불량률은 20%이고, 흰색 공장의 불량률은 50%이다. 초록색 공장에서의 생산량이 전체 생산량의 60%라 할 때, 회사에서 생산한 전체 제품의 불량률을 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어떤 제품이 초록색 공장에서 생산되는 사건을 AA, 어떤 제품이 흰색 공장에서 생산되는 사건을 BB라 하자. 그러면 P(A)=0.6P(A)=0.6, P(B)=0.4P(B)=0.4 이다. 불량이 나올 사건을 EE라 할 때, 초록색 공장의 불량률 P(EA)=0.2P(E|A)=0.2, 흰색 공장의 불량률 P(EB)=0.5P(E|B)=0.5이다. 따라서 P(E)=P(EA)+P(EB)=P(A)P(EA)+P(B)P(EB)=0.60.2+0.40.5=0.32P(E) = P(E \cap A) + P(E \cap B) = P(A) \cdot P(E|A) + P(B) \cdot P(E|B) = 0.6 \cdot 0.2 + 0.4 \cdot 0.5 = 0.32 가 된다.

만약, 공장이 초록색, 흰색, 파란색 세 개라면, 전체 제품의 불량률은 P(E)=P(A)P(EA)+P(B)P(EB)+P(C)P(EC)P(E) = P(A) \cdot P(E|A) + P(B) \cdot P(E|B) + P(C) \cdot P(E|C) 의 식을 통해 얻어낼 수 있다.

이 법칙을 일반화하면 다음과 같다.

전확률의 법칙
B1,B2,...,BkB_{1}, B_{2}, ... , B_{k} 가 상호배타적이고 전체를 이루는 사건이라면, P(A)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P(A)=P(AB1)+P(AB1)+...+P(ABk)P(A) = P(A \cap B_{1}) + P(A \cap B_{1}) + ... + P(A \cap B_{k})
               =P(B1)P(AB1)+P(B2)P(AB2)+...+P(Bk)P(ABk)=P(B_{1}) \cdot P(A|B_{1}) + P(B_{2}) \cdot P(A|B_{2}) + ... + P(B_{k}) \cdot P(A|B_{k})

이해를 위해 아래 그림을 하나 넣었다.

2.베이즈 정리

상호배타적이고 전체를 이루는 사건 B1,B2,...,BkB_{1}, B_{2}, ... , B_{k} 에 대하여, 사건 AA 가 일어날 확률 P(A)P(A)j=1kP(Bj)P(ABj)\sum_{j=1}^{k}P(B_{j}) \cdot P(A|B_{j}) 임을 배웠다. 즉, 임의의 jj에 대하여 사전 확률 P(Bj)P(B_{j})와 조건부 확률 P(ABj)P(A|B_{j}) 를 알고 있다면 P(A)P(A)를 구할 수 있다. 임의의 jj에 대하여 사전 확률 P(Bj)P(B_{j})와 조건부 확률 P(ABj)P(A|B_{j}) 를 알고 있다면 P(A)P(A) 외에도 전제 조건이 뒤바뀐 P(BjA)P(B_{j}|A) 도 구할 수 있다. 이 때, 이용되는 공식이 베이즈정리(Bayes' theorem)이다.

P(BjA)P(B_{j}|A) 는 정의상 P(BjA)=P(BjA)P(A)P(B_{j}|A) = \frac{P(B_{j} \cap A)}{P(A)} 이고, 조건부 확률을 이용하면 P(BjA)=P(Bj)P(ABj)P(A)P(B_{j}|A) = \frac{P(B_{j}) \cdot P(A|B_{j})}{P(A)} 가 얻어진다. 이 때, P(A)P(A) 를 구하기 위해 위의 전확률의 법칙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베이즈 정리
B1,B2,...,BkB_{1}, B_{2}, ... , B_{k} 가 상호배타적이고 전체를 이루는 사건이라면,
   P(BjA)=P(BjA)P(A)=P(Bj)P(ABj)P(A)P(B_{j}|A)=\frac{P(B_{j} \cap A)}{P(A)} = \frac{P(B_{j}) \cdot P(A|B_{j})}{P(A)}
                      =P(Bj)P(ABj)P(B1)P(AB1)+P(B2)P(AB2)+...+P(Bk)P(ABk)=\frac{P(B_{j}) \cdot P(A|B_{j})}{P(B_{1}) \cdot P(A|B_{1}) + P(B_{2}) \cdot P(A|B_{2}) + ... + P(B_{k}) \cdot P(A|B_{k})}
                      =P(Bj)P(ABj)i=1kP(Bi)P(ABi)=\frac{P(B_{j}) \cdot P(A|B_{j})}{\sum_{i=1}^{k}P(B_{i}) \cdot P(A|B_{i})}

어느 환자가 약 XX 또는 YY 둘 중 하나를 복용하고 사망하였다. FDA(미국 식품의약국)에 따르면 이런 종류의 환자가 약 XX를 복용할 때 사망에 이를 확률은 0.1이며, 약 YY를 복용할 때 사망에 이를 확률은 0.05라 한다. 이 환자가 약 XXYY를 복용할 확률은 각각 20%와 80%이다. 이 죽은 환자가 약 XXYY를 복용했을 확률은 각각 얼마일까?

XXYY를 복용할 확률을 P(X)=0.2P(X)=0.2, P(Y)=0.8P(Y)=0.8라 하고, 환자가 사망할 확률을 P(D)P(D)라 하자. 약 XX를 복용하고 사망할 확률이 0.1이므로 P(DX)=0.1P(D|X)=0.1 이고, 약 YY를 복용하고 사망할 확률이 0.05미으로 P(DY)=0.05P(D|Y)=0.05 이다. 우리의 관심사는 죽은 환자가 약 XXYY를 복용했을 확률이므로, 이를 조건부 확률로 표현하면 각각 P(XD)P(X|D)P(YD)P(Y|D) 가 된다.

먼저 P(XD)P(X|D) 를 구해보자.
주어진 확률 중에 사전 확률 P(X)P(X)와 전제 조건이 바뀐 P(DX)P(D|X)가 있으므로, 베이즈 정리를 이용할 수 있다.
P(XD)=P(XD)P(D)=P(X)P(DX)P(D)P(X|D) = \frac{P(X \cap D)}{P(D)} = \frac{P(X)P(D|X)}{P(D)} 이고, P(D)P(D)는 전확률의 법칙으로 얻어낼 수 있다.
따라서, P(XD)=P(X)P(DX)P(X)P(DX)+P(Y)P(DY)=0.02(0.02+0.04)=0.33P(X|D) = \frac{P(X)P(D|X)}{P(X)P(D|X) + P(Y)P(D|Y)} = \frac{0.02}{(0.02+0.04)} = 0.33 이 된다.
같은 방식으로 P(YD)=P(Y)P(DY)P(X)P(DX)+P(Y)P(DY)=0.04(0.02+0.04)=0.67P(Y|D) = \frac{P(Y)P(D|Y)}{P(X)P(D|X) + P(Y)P(D|Y)} = \frac{0.04}{(0.02 + 0.04)} = 0.67 이다.

profile
Data Engineer @ SK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