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챌린지를 위해 이번 챌린지에서의 피드백과 회고를 작성한다.
챌린지 과정 중 피드백
Engage
- 팀원 각각의 목표를 확인하고 미리 합의를 보는 것이 중요하다. 하고 싶은 것을 만들고 싶은 사람도 있고,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사람도 있기에 나중의 충돌을 미리 방지하는 것이 좋다.
- 팀원 간의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하며 유대관계를 쌓는 게 좋았다. 이를 통해 팀원들을 알아가고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서 좋았다.
Investigate
- ⭐️ 인터뷰는 답을 얻고자 하는 질문을 직접 묻는 것보다 상대방이 자신의 표현대로 답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내면 보다 적확한 답을 얻을 수 있다. 예시로 "여행을 어떻게 본인만의 방식대로 기록하시나요? 예시는 ~"보다 "마지막으로 여행 다녀온 곳이 어디신가요? 아 ~은 이러한 여행을 다녀오시는 편이군요. 그 여행을 어떻게 지금까지 기억하고 계신가요? ~"처럼 상대방의 이야기를 이끌어내는 것도 방법이다. 내가 상대방을 재단하는 게 아니라, 상대방의 언어를 내가 필요한 형태로 다듬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 근거로써 정량적 데이터가 필요한 때에는 설문조사와 데스크 리서치가 효과적이지만, 정석적인 데이터가 필요할 땐 적은 인원의 인터뷰도 충분하다.
- 다음에는 이해 관계가 없고 원하는 답을 얻을 수 있는 비아카데미 사람을 인터뷰하고 싶다.
- 같은 단어와 문장을 말하더라도 각자 그리는 그림이 다를 수 있다. 이를 나중에 맞닥뜨리기보다는 더 쉬운 단어나 예시를 통해 팀원끼리 꼭 합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 ⭐️ 팀원 간의 의견차가 크고 우선순위를 정하기 어려울 땐 토너먼트 형태로 하나씩 비교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Act
- ⭐️ 내가 의도한 바가 있다면 이를 보다 상세히 구현하고 전달하자. 내가 표현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들은 모른다. 예시로 나는 필터&정렬 기능을 고려했는데, 화면에 안 나타나고 설명까지 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들은 그 기능이 있는지조차 모른다.
- 발표자료를 만들 때는 포인트 색, 마일스톤 도달 흐름, 미로보드 속 고민 흔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자.
내가 앞으로 집중하고픈 것들
swiftui 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