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시스템, 번역기, 얼굴 인식 같은 데 많이 쓰임
이런 데의 특징:
💡 왜 딥러닝이 인기를 얻었을까?
→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성능이 더 좋아지는 특성이 있어서,
→ 빅데이터 시대에 딱 맞는 기술!
→ 둘 다 1일 때만 1 출력
def AND(x1, x2):
x = np.array([x1, x2])
w = np.array([0.5, 0.5])
b = -0.7
return Perceptron(x, w, b)
→ 둘 다 1일 때만 0 출력 (AND의 반대)
def NAND(x1, x2):
x = np.array([x1, x2])
w = np.array([-0.5, -0.5])
b = 0.7
return Perceptron(x, w, b)
→ 둘 중 하나라도 1이면 1 출력
def OR(x1, x2):
x = np.array([x1, x2])
w = np.array([0.5, 0.5])
b = -0.2
return Perceptron(x, w, b)
→ 둘이 다를 때만 1 출력
→ 단층 퍼셉트론으로는 구현 불가능! (선을 한 번에 못 긋기 때문)
def XOR(x1, x2):
s1 = NAND(x1, x2)
s2 = OR(x1, x2)
y = AND(s1, s2)
return 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