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MG Future Academy AI 활용 데이터 분석가 3기 18일차 수업이 진행된 2024년 12월 11일에는 DXCon을 개인적으로 방문하였다.

[DXCon 참석 후기]

기조 연설 1
1. 데이터주권과 데이터스페이스(가칭), 그리고 DPP(Digital Product Passport)
서울대학교 이정준 교수

에코디자인 규정 ESPR : Ecodesign for Sustainable Products Regulation
(European Commission)

관련 기사
EU, 디지털 제품 여권(DPP) 의무화
... 플랫폼 구축은 널리 통용되는 규격을 먼저 표준화하는 싸움이어서 주요국들은 자국의 공식 표준(de jure)을 국제화하는데 힘을 쏟고 있다. ...
DPP에는 원료·부품 정보, 수리 용이성, 탄소발자국(제품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표시), 재생원료 함량, 희소금속 재활용 방안 등 제품 공급망 전 과정의 데이터를 담아야 한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0093907i

PCF : 제품 탄소 발자국(Product Carbon Footprint, PCF)


독일 Catena-X : 독일 자동차보험 밸류체인 데이터 플랫폼
참고 : 일본의 우라노스 에코시스템, EU의 GAIA-X, International Data Space Association (IDSA), 미국의 Smart Data Lab 등

Hannover Messe : 하노버 산업 박람회

기조 연설 2
2. Data Space 실증 사례 : 디지털트윈 가상공장 기반 무인공장 운영
카이스트 교수 및 다임리서치 대표 장영재

미국이 다시 제조업 열품이 불며 제조 공장 수가 4배 증가. 무인 공장의 유치.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무인공장을 추진중.
소프트웨어 기반 공장.

HMGICS :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
셀 생산 방식 : 셀 단위에서 로봇과 작업자가 함께 생산 작업.
디지털 트윈 : 공장을 운영하는 기계나 사물을 가상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3차원 모델화하여 운영 및 조작.
AI : 자동 물류 시스템, 품질 검사, 작업자 안전 분야에서 AI 기술을 활용.
데이터 : HMGICS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데이터는 데이터 표준화(Data Standardization) 작업을 통해 전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가공되며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플랫폼을 통해 관리됨.
로보틱스 : HMGICS의 생산 현장에는 AGV, AMR, 자동화 로봇, 보전 로봇 등이 활용됨.


SDV : Software Defined Vehicle 하드웨어 중심이 아닌 소프트웨어 중심의 장비 및 공정.

관련 기사 : https://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677

이후 강연 및 성과 보고 발표 등이 진행되었다. 주요 제조업 및 서비스업 관련 산업계에서 AI 시대를 맞아 산업데이터 표준화 및 안전한 공유, 활용에 대해 절실함을 표명하였다. 또한 각국의 산업경쟁력을 방어하기 위해 데이터 주권 보호의 대책마련이 시급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2024 산업 AI 얼라이언스 운영성과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서재영 파트장

4. Mobility AI 분과의 추진 현황과 주요성과
인터엑스 박정윤 대표
자동차, 항공, 농기계(대동, LS엠트론, TYM 등 국내 농기계 기업과 협업하여 데이터 스페이스를 조성 추진중, 점유율 1%대), 건설기계 분야에서 산업AI 내재화를 추진.

5. 저비용 초경량 AI-Defined Machinery
한국과학기술원 이종석 교수

6. 제조산업의 AI Data Space 적용 과제
인이지 최재식 대표
데이터 주권, 상호운용성, 보안과 신뢰, 목적 제한 사용




7. 한국형 DataSpace 생태계 육성 방안
삼정KPMG 박문구 전무 (백종선 차장 대행)

CESMII : Smart Manufacturing

8. 생성형 AI 기반 항공정비 지능화 시스템 기술 개발
아시아나IDT 안순홍 수석

9. 농기계 산업 데이터 공유 플랫폼 개발
대동 박찬일 팀장

ISO BUS 통신 프로토콜 표준화
농기계 데이터 공유 플랫폼
정밀 농업에 적용


10. 건설기계 산업 데이터 공급망 전환
인터엑스 장태훈 팀장

11. 데이터 스페이스 기반 지능형 플랜트 상호운용 제어데이터 스페이스 기반 지능형 플랜트 상호운용 제어·유지보수 최적화 기술 개발
SK에너지 박해준 PM

12. 탄소 저감 철강 제품 제조를 위한 철스크랩 수요·공급 예측 기술 개발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 정철환 선임

13. 탄소 다배출 공정 데이터스페이스 기반 Green AI 최적화 기술 개발
쌍용C&E 임채용 팀장

14. 푸드테크 가열공정 데이터 학습을 통한 추천 모델 연구 및 공유형 플랫폼 구축
일루넥스 이양수 이사

이상 행사를 마치고 귀가하였다.
개인적으로는 금일 발표된 많은 산업분야 중에서 농기계 등의 데이터 주권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이 가장 선제적으로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농업국가의 기틀을 아직까지 잘 보존한 국가 중 하나이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해당 부분에 대하여 영향력을 갖추기에 비교적 유리한 고지에 있으며, - 단순 생산량 뿐만 아니라 농업생산력의 내수 비율 포함하여 - 식량안보는 전 지구적인 문제일 뿐만 아니라 데이터 플랫폼이 잘 못 만들어졌을 때의 연쇄적 위험이 가장 높은 산업권 중의 하나일 것으로 짐작되기 때문이다. 물론 여기에는 농수축산물 등 1차 산업이 모두 연계되어 포함될 것이다.

profile
hello worl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