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RS는 Cross-Origin Resource Sharing의 약자로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라는 뜻을 갖고 있다. 동일한 출처가 아닌 다른 출처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을 허용하는 정책이다.: 간단하게 URL 구조에서 살펴본 Protocal, Host, P
: 평문을 암호문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평문: 해독 가능한 형태의 텍스트, ex) "가나다123"):암호문을 평문으로 변환하는 과정(암호문: 해독 불가능한 형태의 텍스트, ex) "dfEcvBa!")단방향 암호화: 이름 그대로 한방향으로 한다고 생각하면 쉬우며, 암호
: JWT는 Json Web Token의 약자로 보통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통신할 때 권한을 위해 사용하는 토큰이다.
DB는 데이터베이스 이고, Schema는 DB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정의한 메타데이터의 집합이다.
: NestJS는 TypeScript(타입 스크립트)를 지원하는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Node.js의 서버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이며...
: oop는 Object Oriented Programming의 약자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뜻한다.oop는 js에서 구현할 수 있으며 코드의 재사용률을 높이고 코드를 간결하게 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쉽다.그리고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스크래핑과 크롤링에 대해서 알아보자우선 스크래핑과 크롤링은 특정 사이트에서 정보를 가져오는것인데, 이름에서도 볼 수 있듯이 정도나 방법이 다름을 알 수 있다.
: 객체의 참조값(주소값)을 복사하는 것얕은 복사는 참조값과 관련되어있는데, 여기서 참조값은 여려 자료형으로 구성되는 메모리에 저장된 객체이다.
: 우선 스코프란, "범위"라고 해석 할 수 있다.js에서도 범위란 의미를 가지며 좀 더 접근해서 보자면, "식별자 접근 규칙에 따른 유효 범위"라고 할 수 있다.
:ES란, ECMAScript의 약자이며 자바스크립트의 표준, 규격을 나타내는 용어이다.그리고 뒤에 숫자는 버젼을 의미한다. 그냥 쉽게 전체다 버젼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오늘은 ==(형변환비교), ===(엄격한비교)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볼것이다.들어가기에 앞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에선 두연산자를 모두 사용한다.
: 관계형데이터베이스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고정된 행(row)과 열(column)로 구성된 테이블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각 열은 하나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행에는 각 열의 데이터 형식에 맞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GIT: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DVCS)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s 리누스 토르발스가 리눅스 커널을 관리하는 기존 툴이 엉망인 것에 Git이라는 소스관리 툴을 만들었다고 한다. 많이 답답했는지 2주만에 만들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