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thumbnail

Autoscale

: 오토스케일은 인스턴스의 부하를 모니터링해서 특정 이벤트에 대해 인스턴스를 추가,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예를 들어, 갑작스러운 서비스 트래픽의 증가 상황에서 운영자의 개입없이 자동으로 인스턴스를 추가한다던가, 부하 상황이 해제되면 추가된 인스턴스를 삭제하는것이 가능

2022년 12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8주간의 회고록

: 기술 블로깅이 아닌 코드캠프 생활을 하면서 그동안 개발자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한 나를 되돌아 보세요.코드캠프에서의 마지막 블로깅이 될 것이다. 살면서 블로그를 이렇게 많이 쓰는 것도 처음이지만, 블로깅만으로 이정도 공부가 된다는 사실을 알아서 후회는 하지 않는다.

2022년 12월 23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gitflow, workflow

: 깃의 저장소를 여러개로 나눠서 안전하게 저장, 확장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브랜치 모델은 feature - develop(dev) - release - hotfix - master으로 나뉘며 각 기능에 맞게 관리 해주면 팀이 편안하게 코드를 짤 수 있다.master

2022년 12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his와 바인딩

: 객체지향 언어에서 this는 클래스로 생성한 인스턴스 객체를 의미한다. 하지만 JS에서의 this는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다.:전역 공간에서의 this는 객체를 가리킨다. 말그대로 전역에서의 this이기 때문에 전역객체인것 이다.1\. global => Node.j

2022년 12월 23일
·
0개의 댓글
·

로그아웃 프로세스의 이해

: 로그아웃은 컴퓨터 시스템 또는 웹 사이트에 대한 액세스를 종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로그아웃을 하면 컴퓨터 또는 웹 사이트에 현재 사용자가 로그인 세션을 종료한다고 알리는 것이다. 로그아웃을 하면 자격증명을 확인하지 않고 다른 사용자가 시스템에 액세스하지 못하게 할

2022년 12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Jest

: Jest란 페이스북에서 만든 자바스크립트 테스팅 라이브러리다. 쉽게 말해서 본인이 작성한 코드를 테스트 하는데 쓰인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규모가 커질수록 테스트해야 할 코드가 많아지는데, 그 때 Jest를 사용하면 편리하게 코드를 테스팅 할 수 있다.descr

2022년 12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ypescript Generic

: 제네릭은 선언 시점이 아니라 생성 시점에 타입을 명시하여 하나의 타입만이 아닌 다양한 타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이다. 한번의 선언으로 다양한 타입에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제네릭을 선언할 때 사용되는 식별자는 타입 파라미터라고 한다. 함수에도 제네

2022년 12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chema-first vs Code-first

: Schema-first 방식은 GraphQL 서비스에 대한 스키마를 먼저 정의한 다음 스키마의 정의를 일치시켜 코드를 구현하는 방법을 뜻한다.커뮤니케이션에서 비교적 적은 장애물 SDL을 제외한 document가 필요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러닝커브빠른 mockin

2022년 12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Eslint & Prettier

: Es(ECMA Script) => Javascript + Lint(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오류, 버그, 스타일오류, 읽기 애매한 부분에 표시를 달아놓기 위한 도구들을 가리킨다.) 쉽게 말해서 코딩하다가 오타나 오류가 있으면 잡아준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2022년 12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atabase Tool(GUI)

: Graphical User Interface라는 약자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라는 뜻이다.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입출력 등의 기능을 알기 쉬운 아이콘 따위의 그래픽으로 나타낸 것이다. 쉽게 말하면 마우스로 아이콘을 클릭하여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컴퓨

2022년 12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CI/CD

: Continuous Integration의 약자로 빌드와 테스트의 자동화 라고 할 수 있다. CI는 개발자를 위한 자동화 프로세스인 지속적인 통합을 의미한다. 이를 구현할 경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새로운 코드 변경 사항이 정기적으로 빌드 및 테스트되어 공유 레포지토

2022년 12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서버리스

: 사용자가 서버를 직접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뜻을 담고 있다. 앞서 말한 서버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뜻은 트래픽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서버의 가용량을 증감 시킬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서버리스의 이름만 보고 서버가 없다고 생각할 수도있지만 서버가 없을 순 없다. 그

2022년 12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Javascript Primitive type vs Reference type (원시자료형 vs 참조자료형)

: 원시 타입의 데이터는 변수에 할당이 될 때 메모리 상에 고정된 크기로 저장이 되고 해당 변수가 원시 데이터 값을 보관한다. 원시 타입 자료형은 모두 변수 선언, 초기화, 할당 시 값이 저장된 메모리 영역에 직접적으로 접근한다. 즉, 변수에 새 값이 할당이 될 경우,

2022년 12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Hoisting

: 함수 안에 있는 선언들을 모두 끌어올려서 해당 함수 유효 범위의 최상단에 선언하는 것을 말한다.1\. js Parser가 함수 실행 전 해당 함수를 한 번 훑는다.2\. 함수 안에 존재하는 변수/함수선언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실행시킨다.유효범위: 함수 블록

2022년 12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ubernetes

: 컨테이너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어디서나 손쉽게 배포,확장,관리할 수 있는 오픈소스 시스템이다.: 어플리케이션 관리에 필요한 많은 부담스러운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명령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어, 일상적인 운영을 자동화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이 의도한 대로 실

2022년 12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SL, HTTPS

: Secure Sockets Layer의 약자로 암호화 기반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이다. 인터넷 통신의 개인정보 보호,인증,데이터 무결성을 위해서 개발 되었다. SSL을 사용하면 안전하지 않은 HTTP 대신 안전한 HTTPS를 사용할 수 있다.SSL은 높은 수준의 개인

2022년 12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Firewall(DMZ) / VPC

: 방화벽이라는 뜻으로 미리 정의된 보안 규칙에 기반한, 들어오고 나가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네트워크 보안시스템이다. 즉, 중요한 정보가 많이 들어있는 네트워크라면 필수이다.: 소프트웨어 방화벽은 장치에 설치된다. 전체 네트워크가 아닌 개별 장치만

2022년 12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NS / Load Balancer

: Domain Name Syetem의 약자로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컴퓨터의 주소를 찾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된 식별 번호(IP주소)로 변환해 준다.도메인 네임

2022년 12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DD

: TDD란 Test Driven Development의 약자로 '테스트 주도 개발'이라고 한다. 반복 테스트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방법론으로, 작은 단위의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이를 통과하는 코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구현한다. 튼튼한 객체 지향적은 코드TDD

2022년 12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Microservice

: 마이크로서비스는 소프트웨어가 잘 정의된 API를 통해 통신하는 소규모의 독립적인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아키텍처 및 조직적 접근 방식이다. 원래는 전체적으로 통제하던것을 API하나하나에 직접 연결해서 유지보수와 기능구현을 편하게 해주는

2022년 12월 20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