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 2-1. 기본 자료형
1. 문자열 자료형
1) 문자열 자료형
- 문자열 : 문자들의 집합
- 문자열 자료형 : 수에 상관 없이 모든 문자들을 칭함
2) 문자열 연산자
- 문자 선택 연산자 : 문자열[숫자] 형태
- 이 때 숫자 = 인덱스(자바스크립트는 0부터 시작)
3) 문자열 길이 구하기
- 문자열 내부 문자 개수를 문자열 길이라고 함
- length 속성 사용
2. 숫자 자료형
1) 숫자 연산자
- 연산자 우선 순위 고려함
- +, -, *, /, %
3. 불 자료형
1) 불 만들기
- true, false 2가지
- 비교 연산자를 통해서도 만들 수 있음
- ===, !==, >, <, >=, <=
- 문자열 자료형은 사전의 앞쪽에 있을수록 값이 작음
if(불 표현식) {
불 표현식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
2) 불 부정 연산자
- 논리 부정 연산자 : ! 기호 사용, 참을 거짓, 거짓을 참으로
3) 불 논리합/논리곱 연산자
- && : 논리곱 연산자(모두 참일 때 참)
- || : 논리합 연산자(하나만 참이어도 참)
4. 자료형 검사
ch 2-2. 상수와 변수
- 상수 : 항상 같은 수, 수정 불가
- 변수 : 변할 수 있는 수, 수정 가능
1. 상수
1) 상수 : 어떠한 자료에 이름을 붙여서 사용하는 것
- 상수를 만드는 과정 = 선언
- const 키워드로 선언
const 이름 = 값
2. 변수
2) 변수를 만들 때는 let 키워드로 선언
let 이름 = 값
3. 변수에 적용할 수 있는 연산자
1) 복합 대입 연산자 : 대입 연산자와 다른 연산자 함께 사용
2) 증감 연산자
- 변수++ : 후위
- ++변수 : 전위
- 변수-- : 후위
- --변수 : 전위
4. undefined 자료형
1) 상수와 변수로 선언하지 않은 자료형
2) 값이 없는 변수
/
/
ch 2-3. 자료형 반환
1. 문자열 입력
- prompt() 사용
prompt(메시지 문자열, 기본 입력 문자열)
2. 불 입력
- confirm() 함수 사용
confirm(메시지 문자열)
- 확인을 누르면 true 리턴, 취소를 누르면 false 리턴
- input에 불 자료형이 들어가고 input에 저장된 값 출력
- NaN : 다른 문자가 들어가 숫자로 변환할 수 없을 때 출력
3. 문자열 자료형으로 변환하기
- String() 함수 사용
String(자료)
4. 불 자료형으로 변환하기
- Boolean(함수 사용)
- 0, NaN, null, undefined, ..., 빈 문자열은 false 반환
Boolean(자료)
5. inch를 cm 단위로 변경하기
<script>
const rawInput = prompt('inch 단위의 숫자를 입력해주세요.')
const inch = Number(rawInput)
const cm = inch*2.54
alert(`${inch}inch는 ${cm}cm입니다.`)
</script>
1주차 추가 과제
Q1. "안녕하세요"
A1. '안녕하세요'
Q2. console.log("안녕하세요")
A2. 안녕하세요
Q3. "안녕하세요
A3. Uncaught SyntaxError: Invalid or unexpected tok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