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리소스를 식별할 수 있는 문자열로 브라우저의 검색창의 주소가 URI이다.
URI의 주요 요소로는 scheme, hosts, url-path, query, bookmark가 있다.
URI의 하위개념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웹페이지,이미지,동영상 등의 파일이 위치한 정보를 나타낸다.
URL의 주요 요소로는 scheme, hosts, url-path가 있다.
URI의 하위개념으로,
이름으로 리소스를 특정하는데 사용된다. (http 프로토콜에선 제외)
실제 리소스를 찾기 위해서는 URL로 변환하여야 한다.
부분 | 명칭 | 설명 |
---|---|---|
file://, http://, https:// | scheme | 통신 프로토콜 |
127.0.0.1, www.google.com | host | 웹 서버, 도메인, IP |
:80, :443, :3000 | port |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통로 |
/search, /users/username/Desktop | url-path | 웹 서버의 루트 디렉토리로 부터 파일의 위치까지의 경로 |
q=JavaScript | query | 웹 서버에 전달하는 추가 질문 |
네트워크에 연결된 특정 PC의 주소를 나타내는 체계.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PC는 IP 주소체계를 따른다.
0부터 255까지 나타낼 수 있는 8비트 4개가 점으로 연결된 주소로,
2^32, 약 43억 개의 IP주소를 표현할 수 있다.
그중 몇가지는 용도가 정해져 있다.
로컬 PC: localhost
, 127.0.01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장치와 소통하는 주소(broadcast adress): 0.0.0.0
, 255.255.255.255
0부터 ffff까지 나타낼 수 있는 16비트 8개가 콜론으로 연결된 주소로,
2^128, 약 340간 개의 IP주소를 표현할 수 있다.
이중콜론을 이용한 단축 형식이 있다.
IP 주소가 가리키는 PC에 접속할 수 있는 통로(채널)을 의미한다.
이미 사용 중인 포트는 중복해서 사용할 수 없다.
포트 번호는 0부터 65535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0부터 1024번까지의 포트번호는 주요 통신 규약에 따라 이미 정해져 있다.
알아두어야 할 잘 알려진 포트번호는 다음과 같다.
22: SSH
80: HTTP
443: HTTPS
이미 정해진 포트 번호라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잘 알려진 포트의 경우 URI 등에 명시하지 않는다.
IP 주소를 대신해 사용하는 주소로, 사람이 기억하기 어려운 IP주소보다 도메인은 이름 형식이므로 기억하기 쉽다.
IP 주소를 가게주소, 도메인을 가게의 상호명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터미널에서 nslookup
으로 도메인의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