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dev 에서 플러터(dart) 관련 라이브러리를 찾을 수 있다 반응형 UI 디자인으로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응 가능 단일 코드베이스로 iOS와 Android 동시 개발 가능 구글의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개선 협업 사이드 프로젝트 팀프로젝트 문제 해결 능력

플러터 작업 중 리스트뷰를 스크롤하는데 상단의 앱바 배경색이 변하게되는 이상(?)현상을 발견했다.아래의 예시 이미지는 스택오버플로우에서 가져옴구글에 검색해보니 한국어 검색결과는 벨로그 글 하나만 보이고 안보여서 딱히 이슈로 삼지는 않는 것 같고 그냥 앱바의 기능? 으로
플러터에서 비동기로 위젯이 그려지는 상황이 있을 때 사용하는 위젯이다. 메모
데이터 소스에서 데이터 가져오기원격, 로컬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DTO로 변환도메인에서 DTO를 데이터 모델로 변환레포지터리 인터페이스로 메서드를 먼저 정의하고 (Repository)레포지터리를 구현(RepositoryImpl)레포지터리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usecase

그 유명한 이상형 월드컵 게임을 핸드폰에서도 즐길 수 있도록 플러터로 이상형 월드컵 게임을 만들었다.이름하여 "내가 만든 월드컵"로고는 코파일럿에서 만든 이미지를 사용하였다.프로젝트 스펙은 아래와 같다.사용 프레임워크 : Flutter사용 언어 : DartDB : sq

가려지는 위젯을 Container위젯으로 감싸고 다시 Padding위젯으로 감싼 뒤Padding위젯의 padding값을 MediaQuery.of(context).viewInsets로 설정해주면키보드가 올라올때 키보드 위로 가려졌던 위젯이 올라온다.
리스트 항목을 추가할 때 처음에는 add메서드로 항목을 추가했는데 그럴 경우화면에 항목이 추가될때마다 리스트 아래에 이어서 추가되는 모습인데추가된 항목을 위로 가게 하고싶은 경우에는 add메서드 대신 insert메서드를 활용하면 된다.insert메서드 첫번째 매개변수

구글 플레이에 앱을 출시하기 위해 앱번들을 등록 후 게시를 하는데 게시를 하면 구글에서 출시에 문제가 없는지 몇 일간의 검토 후에 보고서를 보여준다.내 경우에는 플러터로 만든 월드컵 게임(?)을 출시하고자 게시를 하니 아래와 같이 보고서가 나왔다.중대한 문제사항은 다행

비공개 테스트 중 앱 업데이트가 필요하여 https://oliverhouse.tistory.com/92 글을 참고했다.먼저 pubspec.yaml 파일에서 버전을 수정한다.그다음 android폴더의 local.properties 파일에서 동일한 내용으로 버전을

앱 업데이트를 위해 업데이트한 앱번들을 플레이 콘솔에 업로드하면 위와 같이 경고가 뜰 수 있는데기호 파일을 업로드 해주면 된다고 한다.일단 필요한 폴더가 있는 경로에 접근을 하면 되는데프로젝트폴더경로\\build\\app\\intermediates\\merged_nat

14일간의 비공개 테스트가 완료되면 프로덕션 액세스 신청을 할 수 있다.요구하는 설문에 성실하게 답하고 적용을 하면,프로덕션 엑세스 권한 신청을 접수했다는 화면이 나오고 약 7일 전후로 결과가 발표될 것이다.얼마나 걸릴지는 모르겠지만 거절 없이 한번에 성공했으면 좋겠다

어제 비공개 테스트 14일이 지나고 프로덕션 신청을 했는데오늘 메일을 열어보니 신청이 반려되었다는 메일을 받게되었다...아쉽지만 테스트를 도와주신 분께 테스트 연장을 요청드렸고 2차 테스트 기간 동안 신청 승인을 위해 좀 더 개선할 만한 부분을 찾아 업데이트를 진행해봐

구글 메일로는 이렇게 거절 가능 사유가 오는데확답은 아니고 킹리적 갓심 같은 느낌적인느낌으로 보내주는 것 같다왜 거절 이유를 정확히 안보내주는지 모르겠다...분명히 테스트 기간 동안 업데이트를 진행해왔고 설문지도 내용에 맞추어서 작성했는데....앱 자체에 문제가 있다면

프로덕션 액세스 신청 시"예기치 않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다시 시도해 주세요. (73CC9511)" 라는 메시지가 떴다.에러코드 부분은 그때그때 변하는 것 같았다.Google Play 개발자 지원팀에 문의를 남겨보니 아래와 같은 답변을 받았다.일단 쿠키와 캐시를 전부

장장 2개월간의 대 장정 끝에 결국 프로덕션 액세스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었다....그동안 프로덕션 액세스 권한 신청이 반려되었던 이유로 구체적인 답변대신 그냥 테스트를 14일간 한 번 더 하라는 매크로 이메일만 받았었는데....마지막 비공개 테스트 기간동안 트랙 버전

이제 실제 프로덕션 버전을 출시하자출시하기 위해 먼저 출시할 국가를 선택해준다새 버전 만들기를 클릭한다업로드 할 앱 번들은 마지막 버전을 사용하기 위해 라이브러리에서 추가해준다.출시노트도 확인하고 저장하자이제 개시 개요로 가서 검토사항을 전송하면 된다.7일 이내에 완료
약 2달간의 대 장정 끝에 드디어 앱을 구글플레이스토어에 배포할 수 있게 되었다!첫 게시 검토가 완료된 후에는 프로덕션 페이지에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게 된다.그 새 설치수가 25회나 된다니!테스트 때의 설치 수가 아니라 진짜 앱 출시후 설치수인건지 잘 모르겠다...!
versionName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버전명이고,versionCode는 플레이콘솔에서 버전을 구분하기위해 사용된다.따라서 versionCode는 처음 등록할 때 1로 시작해서 계속 넘버링을 추가해줘야 한다.출시 전 테스트 때 열심히 넘버링을 붙였다가 정식 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