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space
Definition Vector Space
벡터들을 모아둔 집합이 다음 공리들을 만족할 때 이를 벡터공간: vector space이라고 부른다.
- V에 속하는 모든 벡터에 대해 교환법칙이 만족
u+v=v+u ∀u,v∈V
- V에 속하는 모든 벡터에 대해 결합법칙이 만족
(u+v)+w=u+(v+w) ∀u,v,w∈V
- V에 속하는 모든 벡터에 대해 0벡터가 존재
→ There exists a vector 0∈V , called the zero vector. such thatv+0=v ∀v∈V
- V에 속하는 모든 벡터에 대하여 그 벡터의 음의 벡터와의 합은 0벡터를 만족
→ For every v∈V , there exists a vector −v∈V such that v+(−v)=0 ∀v∈V
- V에 속하는 모든 벡터에 대해 분배법칙이 만족 (c는 상수)
c(u+v)=cu+cv ∀u,v∈V
- V에 속하는 모든 벡터에 대해 다음을 만족
1⋅v=v ∀v∈V
- V에 속하는 모든 벡터의 상수곱에 대해 결합법칙이 만족
(c1c2)v=c1(c2v) ∀v∈V
- V에 속하는 모든 벡터의 상수연산에 대해 분배법칙이 만족
(c1+c2)v=c1v+c2v ∀v∈V
Definition of Subspace
vector space V의 부분공간(집합*) S가 다음 2개의 조건을 만족할 때, S를 Subspace라고 한다.
S에 속하는 벡터 v,w 에 대해 다음을 만족 (c는 상수)
-
더하기 연산에 대해 “닫혀있다.”*
v+w∈S
-
scailing 연산에 대해 “닫혀있다.”
→ 즉, subspace S는 linear combination*에 대하여 닫혀있다.(closed under)
- 닫혀있다? (closed under)
S에 속하는 벡터에 연산을 진행하더라도, 연산을 진행한 결과 벡터가 여전히 부분공간 S안에 존재한다.
- liner combination : 선형결합
∀v,w∈S → cv+dw∈S (∀c,d∈R)
- subspace와 subset의 차이점
- subset : 단순히 전체집합의 일정 원소를 갖는 부분집합
- subspace : subset이 어떤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함
Subspace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방법
- 정의를 이용해서 공간 S에 속하는 임의의 벡터 v와 w를 정한뒤, liner combination의 결과가 여전히 S 안에 존재하는 것을 보인다.
- 이때, 어떤 벡터공간의 subspace인지를 정하는 것은 벡터의 차원이 결정한다.
ex) 2차원 벡터이면 2차원 벡터공간(R2)의 subspace[11]→R2
- 예시
- 다음 집합이 어떤 벡터공간의 Subspace인지를 확인하여라.
{c[11], ∀c∈R} → 위 집합은 [1, 1]T 벡터의 모든 scalar multiplication(=scailing)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a. 어떤 벡터 ∀v,w∈S를 정의∀v,w∈S, ∀a,b∈R v=a[11],w= b[11] b. liner combination의 결과가 여전히 S 안에 존재함을 보임cv+dw=ca[11]+db[11] =(ca+db)[11]∈S 따라서 S는 R2의 subspace이다.
- 다음 집합이 어떤 벡터공간의 Subspace인지를 확인하여라.
{c[11]+d[23], ∀c,d∈R} → 위 집합은 [1, 1]T 벡터와 [2, 3]T벡터의 모든 linear combination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a. 어떤 벡터 ∀v,w∈S를 정의∀v,w∈S, ∀a1,a2,b1,b2∈R v=a1[11]+a2[23],w= b1[11]+b2[23] b. liner combination의 결과가 여전히 S 안에 존재함을 보임cv+dw=ca1[11]+ca2[23]+db1[11]+db2[23] =(ca1+db1)[11]+(ca2+db2)[23]∈S 따라서 S는 R2의 subspace이다.
Properties of Subspace
-
subspace에는 0벡터가 반드시 포함되어야한다.
-
원점을 지나는 직선은 subspace이다.
(원점을 지난다는 것은 0벡터를 가진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
Rn은 자기자신의 subspace이다..
(부분집합 개념이랑 동일함)
-
R3 공간에서 가능한 subspace는 {0}, 0을 지나는 직선, 0을 지나는 평면이다.
Space of Matrix
행렬에 대해 정의되는 4개의 space
Column Space C(A)
행렬 A에 있는 모든 column에 대한 liner combination의 집합
C(A)={Ax:∀x}
x벡터의 각 요소가 A의 column에 곱해지는 상수값(scailing)으로 생각
- column space의 표현 예시
x=[x1x2], A=[1001]=[a1 a2] Ax=x1a1+x2a2 ={[x1x2], ∀x}=R2 → 2차원 벡터공간x=⎣⎢⎡x1x2x3⎦⎥⎤, B=[112233]=[b1 b2 b3] Bx=x1b1+x2b2+x3b3 ={(x1+2x2+3x3)[11], ∀x}∈R2 → 2차원 공간에서 원점을 지나는 한 직선
- subspace?
- A가 m×n 행렬일 때, Ax는 m×1인 m차원 벡터를 의미한다.
- 벡터 x가 A의 오른쪽에 곱해지기 위해서 x는 n차원 벡터여야만 한다.
C(A)={Ax, ∀x∈Rn}⊆Rm
- 따라서 C(A)는 Rm의 subspace이다.
Row Space C(AT)
행렬 A에 있는 모든 행에 대한 liner combination 을 모아둔 공간
↔ A의 transpose matrix의 Column space
x벡터의 각 요소가 A의 row에 곱해지는 상수값(scailing)으로 생각
R(A)=C(AT)={ATx:∀x}
Null Space N(A) 💫
Ax=0을 만족하는 모든 solution vector x들을 모아둔 공간
N(A)={x: Ax=0}
x벡터의 각 요소가 A의 column에 곱해지는 상수값(scailing)으로 생각
- A의 역행렬과 Null Space의 관계
∃ A−1→ N(A)={0} → invertible matrix A의 Null space는 0벡터 뿐이다.
Pf) 양변에 A의 역행렬을 곱한다. A−1Ax=0 역행렬에 정의에 따라 역행렬과 기존행렬의 곱은 항등행렬로 사라지므로,
- subspace?
- A가 m×n 행렬일 때, Ax는 m×1인 m차원 벡터를 의미한다.
- 벡터 x가 A의 오른쪽에 곱해지기 위해서 x는 n차원 벡터여야만 한다.
N(A)={x, Ax=0}⊆Rn
- 따라서 x를 원소로 갖는 집합 N(A)는 Rn의 subspace이다.
+여기에 A의 transpose matrix에 대한 NullSpace N(AT)까지 포함하여 4개의 space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