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학] Subspace

Vaughan·2022년 8월 9일
1

선형대수학

목록 보기
7/14
post-thumbnail

Subspace

Definition Vector Space

벡터들을 모아둔 집합이 다음 공리들을 만족할 때 이를 벡터공간: vector space이라고 부른다.

  • VV에 속하는 모든 벡터에 대해 교환법칙이 만족
    u+v=v+u  u,vV\bold u + \bold v = \bold v + \bold u\ \ ∀\bold u, \bold v ∈ V
  • VV에 속하는 모든 벡터에 대해 결합법칙이 만족
    (u+v)+w=u+(v+w)  u,v,wV(\bold u + \bold v) + \bold w = \bold u + (\bold v + \bold w)\ \ ∀\bold u, \bold v, \bold w ∈ V
  • VV에 속하는 모든 벡터에 대해 0벡터가 존재
    → There exists a vector 0V\bold 0 ∈ V , called the zero vector. such that
    v+0=v  vV\bold v + \bold 0 = \bold v\ \ ∀\bold v ∈ V
  • VV에 속하는 모든 벡터에 대하여 그 벡터의 음의 벡터와의 합은 0벡터를 만족
    → For every vV\bold v ∈ V , there exists a vector vV−\bold v ∈ V such that
    v+(v)=0  vV\bold v + (−\bold v) = 0\ \ \forall \bold v\in V
  • VV에 속하는 모든 벡터에 대해 분배법칙이 만족 (cc는 상수)
    c(u+v)=cu+cv  u,vVc(\bold u + \bold v) = c\bold u + c\bold v\ \ ∀\bold u, \bold v ∈ V
  • VV에 속하는 모든 벡터에 대해 다음을 만족
    1v=v  vV1 · \bold v = \bold v\ \ \forall \bold v \in V
  • VV에 속하는 모든 벡터의 상수곱에 대해 결합법칙이 만족
    (c1c2)v=c1(c2v)  vV(c_1c_2)\bold v = c_1(c_2\bold v)\ \ \forall \bold v \in V
  • VV에 속하는 모든 벡터의 상수연산에 대해 분배법칙이 만족
    (c1+c2)v=c1v+c2v  vV(c_1 + c_2)\bold v = c_1\bold v + c_2\bold v\ \ \forall \bold v \in V

Definition of Subspace

vector space VV의 부분공간(집합*) SS가 다음 2개의 조건을 만족할 때, SS를 Subspace라고 한다.

SS에 속하는 벡터 v,w\bold v, \bold w 에 대해 다음을 만족 (cc는 상수)

  1. 더하기 연산에 대해 “닫혀있다.”*

    v+wS\bold v + \bold w ∈ S
  2. scailing 연산에 대해 “닫혀있다.”

    cvSc \bold v ∈ S

→ 즉, subspace SS는 linear combination*에 대하여 닫혀있다.(closed under)

  • 닫혀있다? (closed under)
    SS에 속하는 벡터에 연산을 진행하더라도, 연산을 진행한 결과 벡터가 여전히 부분공간 SS안에 존재한다.
  • liner combination : 선형결합
    v,wS   cv+dwS  (c,dR)\forall \bold{v, w}\in S\ \rightarrow \ \ c\bold v+ d \bold w \in S\ \ (\forall c, d\in \mathbb R)
  • subspace와 subset의 차이점
    • subset : 단순히 전체집합의 일정 원소를 갖는 부분집합
    • subspace : subset이 어떤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함

Subspace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방법

  • 정의를 이용해서 공간 SS에 속하는 임의의 벡터 v\bold vw\bold w를 정한뒤, liner combination의 결과가 여전히 SS 안에 존재하는 것을 보인다.
  • 이때, 어떤 벡터공간의 subspace인지를 정하는 것은 벡터의 차원이 결정한다.
    ex) 2차원 벡터이면 2차원 벡터공간(R2\mathbb R^2)의 subspace
    [11]R2\begin{bmatrix} 1 \\ 1 \end{bmatrix} \rightarrow \mathbb R^2
  • 예시
  1. 다음 집합이 어떤 벡터공간의 Subspace인지를 확인하여라.
    {c[11], cR}\left\{ c \begin{bmatrix} 1 \\1 \end{bmatrix},\ \forall c\in\mathbb R \right\}
    → 위 집합은 [1, 1]T[1,\ 1]^T 벡터의 모든 scalar multiplication(=scailing)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a. 어떤 벡터 v,wS\forall \bold{v, w}\in S를 정의
    v,wS,  a,bR v=a[11],w= b[11]\forall \bold v, \bold w \in S,\ \ \forall a,b\in\mathbb R\\\ \\\bold v=a\begin{bmatrix} 1 \\1 \end{bmatrix},\bold w=\ b\begin{bmatrix} 1 \\1 \end{bmatrix}
    b. liner combination의 결과가 여전히 SS 안에 존재함을 보임
    cv+dw=ca[11]+db[11] =(ca+db)[11]Sc\bold v + d \bold w =ca\begin{bmatrix} 1 \\1 \end{bmatrix} + d b\begin{bmatrix} 1 \\1 \end{bmatrix}\\\ \\ = (ca+db)\begin{bmatrix} 1 \\1 \end{bmatrix} \in S
    따라서 SSR2\mathbb R^2의 subspace이다.
  2. 다음 집합이 어떤 벡터공간의 Subspace인지를 확인하여라.
    {c[11]+d[23], c,dR}\left\{ c \begin{bmatrix} 1 \\1 \end{bmatrix} + d \begin{bmatrix} 2 \\3 \end{bmatrix},\ \forall c,d\in\mathbb R \right\}
    → 위 집합은 [1, 1]T[1,\ 1]^T 벡터와 [2, 3]T[2,\ 3]^T벡터의 모든 linear combination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a. 어떤 벡터 v,wS\forall \bold{v, w}\in S를 정의
    v,wS,  a1,a2,b1,b2R v=a1[11]+a2[23],w= b1[11]+b2[23]\forall \bold v, \bold w \in S,\ \ \forall a_1,a_2,b_1,b_2\in\mathbb R\\\ \\\bold v=a_1\begin{bmatrix} 1 \\1 \end{bmatrix}+a_2\begin{bmatrix} 2 \\3 \end{bmatrix},\bold w=\ b_1\begin{bmatrix} 1 \\1 \end{bmatrix}+ b_2\begin{bmatrix} 2 \\3 \end{bmatrix}
    b. liner combination의 결과가 여전히 SS 안에 존재함을 보임
    cv+dw=ca1[11]+ca2[23]+db1[11]+db2[23] =(ca1+db1)[11]+(ca2+db2)[23]Sc\bold v + d \bold w =ca_1\begin{bmatrix} 1 \\1 \end{bmatrix}+ca_2\begin{bmatrix} 2 \\3 \end{bmatrix}+d b_1\begin{bmatrix} 1 \\1 \end{bmatrix}+ db_2\begin{bmatrix} 2 \\3 \end{bmatrix}\\\ \\ = (ca_1+db_1)\begin{bmatrix} 1 \\1 \end{bmatrix}+(ca_2+db_2)\begin{bmatrix} 2 \\3 \end{bmatrix} \in S
    따라서 SSR2\mathbb R^2의 subspace이다.

Properties of Subspace

  1. subspace에는 0벡터가 반드시 포함되어야한다.

    0S0 ∈ S
  2. 원점을 지나는 직선은 subspace이다.

    (원점을 지난다는 것은 0벡터를 가진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3. Rn\mathbb R^n은 자기자신의 subspace이다..

    (부분집합 개념이랑 동일함)

  4. R3\mathbb R^3 공간에서 가능한 subspace는 {0}\{0\}, 00을 지나는 직선, 00을 지나는 평면이다.


Space of Matrix

행렬에 대해 정의되는 4개의 space

Column Space C(A)C(A)

행렬 AA에 있는 모든 column에 대한 liner combination의 집합

C(A)={Ax:x}C(A) = \{A \bold x : ∀ \bold x\}

x벡터의 각 요소가 A의 column에 곱해지는 상수값(scailing)으로 생각

  • column space의 표현 예시
    x=[x1x2],  A=[1001]=[a1  a2]\bold x = \begin{bmatrix} x_1 \\ x_2 \end{bmatrix},\ \ A=\begin{bmatrix} 1 & 0 \\ 0 & 1\end{bmatrix}= \begin{bmatrix} \bold{a_1}\ \ \bold{a_2}\end{bmatrix}
    Ax=x1a1+x2a2 ={[x1x2], x}=R2A\bold x= x_1\bold{a_1} + x_2\bold {a_2}\\\ \\ =\left\{ \begin{bmatrix} x_1 \\x_2 \end{bmatrix} ,\ \forall \bold x \right\} = \mathbb R^2
    → 2차원 벡터공간
    x=[x1x2x3], B=[123123]=[b1  b2  b3]\bold x = \begin{bmatrix} x_1 \\ x_2 \\ x_3\end{bmatrix},\ B=\begin{bmatrix} 1 & 2 & 3 \\ 1 & 2 & 3\end{bmatrix}= \begin{bmatrix} \bold{b_1}\ \ \bold{b_2}\ \ \bold{b_3}\end{bmatrix}
    Bx=x1b1+x2b2+x3b3 ={(x1+2x2+3x3)[11], x}R2B\bold x= x_1\bold{b_1} + x_2\bold {b_2}+x_3\bold {b_3}\\\ \\ =\left\{ (x_1+2x_2+3x_3)\begin{bmatrix}1 \\1 \end{bmatrix} ,\ \forall \bold x \right\} \in \mathbb R^2
    → 2차원 공간에서 원점을 지나는 한 직선
  • subspace?
    • AAm×nm\times n 행렬일 때, AxA\bold xm×1m\times1mm차원 벡터를 의미한다.
    • 벡터 x\bold xAA의 오른쪽에 곱해지기 위해서 x\bold xnn차원 벡터여야만 한다.
      C(A)={Ax,  xRn}RmC(A)=\left\{ A\bold x,\ \ \forall \bold x \in \mathbb R^n \right\} \sube \mathbb R^m
    • 따라서 C(A)C(A)Rm\mathbb R^m의 subspace이다.

Row Space C(AT)C(A^T)

행렬 AA에 있는 모든 행에 대한 liner combination 을 모아둔 공간

AA의 transpose matrix의 Column space

x벡터의 각 요소가 A의 row에 곱해지는 상수값(scailing)으로 생각

R(A)=C(AT)={ATx:x}R(A) =C(A^{T}) = \{A^Tx : ∀ x\}

Null Space N(A)N(A) 💫

Ax=0A\bold x = 0을 만족하는 모든 solution vector x\bold x들을 모아둔 공간

N(A)={x: Ax=0}N(A) = \{\bold x : \ A\bold x=0\}

x벡터의 각 요소가 A의 column에 곱해지는 상수값(scailing)으로 생각

  • AA의 역행렬과 Null Space의 관계
     A1 N(A)={0}\exist\ A^{-1} \rightarrow\ N(A) = \left\{ \bold 0 \right \}
    → invertible matrix AA의 Null space는 0벡터 뿐이다.
    Pf)
    Ax=0A\bold x = 0
    양변에 AA의 역행렬을 곱한다.
    A1Ax=0A^{-1}A\bold x = 0
    역행렬에 정의에 따라 역행렬과 기존행렬의 곱은 항등행렬로 사라지므로,
    x=0\bold {x}=0
  • subspace?
    • AAm×nm\times n 행렬일 때, AxA\bold xm×1m\times1mm차원 벡터를 의미한다.
    • 벡터 x\bold xAA의 오른쪽에 곱해지기 위해서 x\bold xnn차원 벡터여야만 한다.
      N(A)={x,  Ax=0}RnN(A)=\left\{ \bold x,\ \ A\bold x =0 \right\} \sube \mathbb R^n
    • 따라서 x\bold x를 원소로 갖는 집합 N(A)N(A)Rn\mathbb R^n의 subspace이다.

+여기에 AA의 transpose matrix에 대한 NullSpace N(AT)N(A^T)까지 포함하여 4개의 space를 갖는다.

profile
우주의 아름다움도 다양한 지식을 접하며 스스로의 생각이 짜여나갈 때 불현듯 나를 덮쳐오리라.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