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document.tsx로 작성된다. \_app과 \_documnent의 차이 \_app는 유저가 페이지를 불러올 때마다 브라우저에서 실행된다. \_document는 서버에서 한 번만 실행된다. 폰트 최적화 하기구글 폰트에서 제공하는 폰트를 사용해서 최적화가 가능하다
middleware를 사용해서 router에 대한 Response를 설정 할 수 있다. 그리고 NextResponse.redirect()를 통해서 redirect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서 커스텀 훅을 통해서 페이지를 가드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 방식은 가드가 적용되
getServerSideProps()를 이용해서 클라이언트 서버단에서 data를 fetching하고, 그 데이터를 prefetching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unbound mutations 이란, 내가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것을 mutate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가 상품 페이지에서 user 정보에 대한 cache값을 mutate 할 수 있다는 뜻이다.코드
mutation 구현하기 SWR 캐시를 mutate 해야 한다. mutate란, 변형을 의미한다. SWR 캐시를 변경하고자 하는 목적은 현재 view 상에서 보여지는 data는 swr의 캐시 data이기 떄문이다. 캐시된 data를 mutate 함으로써 view를 업데
useQuery를 custom hook 으로 만들어 사용할 때 typing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custom hook 쪽에서 typing이 되지 않으면, 사용하는 컴포넌트 쪽에서 받아온 데이터의 타입이 지정되지 않는다.타입이 지정된 코드 👇
SWR에서는 get 요청 외에 post요청에 대한 훅은 별도로 제공하고 있지 않아서 직접 구현해서 사용해야 한다. react-query 나 apollo 로부터 그 방법을 착안하여 useMutataion이라고 칭한다.return 값은 data를 post 요청하는 함수와
각각의 API에서 공통적으로 처리해야 할 로직을 처리한다. withHandler사용함으로서 코드의 중복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method 검증이나 또는 로그인/비로그인 상태에 따라 redirect 시키는 로직등이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