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복잡도 => 알고리즘 선택의 기준이 된다. =>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산 횟수 => 일반적으로 수행 시간은 1억번의 연산을 1초의 시간으로 간주하여 예측한다. 시간복잡도 정의하기 > * 빅-오메가(Ω(n)) : 최선일 때(best case)의 연산 횟수를
스택 / 큐 / 덱 : 모두 배열에서 발전된 형태의 구조 스택(Stack) - 클래스 스택(Stack)은 삽입과 삭제 연산이 후입 선출(LIFO : Last-in First-out) 자료 구조 깊이 우선 탐색 (DFS : Depth First Search), 백트래킹
| 문제에 앞서..코딩테스트에서 "소수"를 구하는 문제는 일반적으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방법을 이용해 해결한다.소수 구하기=> 수학적인 코딩테스트 문제가 나왔을 때 빈번하게 출제되는 유형=> 대표적인 판별법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소수: 1과 자기 자신 외에 약
: 복잡한 문제를 여러개의 간단한 문제로 분리하여 부분의 문제들을 해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복잡한 문제의 답을 구하는 방법: 코딩테스트에서 중요한 영역1) 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나눌 수 있어야 한다.2) 작은 문제들이 반복돼 나타나고 사용되며 이 작은 문제들의 결괏값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