벡터의 곱하기는 2가지 종류가 있다.
벡터의 내적과 외적, 2가지 종류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1. 벡터의 내적
- 내적(dot product) : 벡터의 방향을 고려하여 수처럼 곱하는 방식이며, 기호 ⋅ 를 사용하고 결과는 스칼라이다.
- 교환 / 결합 / 분배 법칙의 적용이 가능하다.
- 벡터의 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a⋅b=[a1a2]⋅[b1b2]=a1b1+a2b2
- 벡터 간 각도를 통해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개 벡터가 서로 수직이라면, 내적의 값은 0이다. ( cos90∘ = 0 )a⋅b=∣∣a∣∣∣∣b∣∣cosθ
1.1. 벡터의 길이(norm)
- 벡터의 길이(또는 크기, norm)는 스칼라 값으로 표현된다.
- v 의 길이는 ∣∣v∣∣ 와 같이 표현하며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v∣∣=v12+v22+⋯+vn2
- 벡터의 길이는 벡터 스스로를 내적한 뒤 제곱근 한 결과와 같다.
∣∣a∣∣=a⋅a
1.2.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 ∣∣x⋅y∣∣≤∣∣x∣∣∣∣y∣∣
- ∣∣x⋅y∣∣=∣∣x∣∣∣∣y∣∣⟺x=cy (x, y 가 선형 종속인 경우)
2. 법선 벡터
- 평면에 대한 수직인 벡터를 법선 벡터라고 한다.
- ax+by+cz=d 로 정의된 평면에서,
n=[a,b,c] 는 평면 내의 벡터와 직교하는 방향을 가리키는 법선 벡터이다.
2.1. 평면과 법선 벡터의 관계
- 평면 내의 벡터와 법선 벡터의 내적
법선 벡터 n 와 평면 내의 벡터 a 을 내적하면 값은 0이다.n⋅a=∣∣n∣∣∣∣a∣∣cosθ=0…(θ=90∘,cosθ=0)
- 법선 벡터를 통한 평면 방정식 유도
원점으로부터 평면 내의 점 a(x,y,z),p(1,3,2) 를 가르키는 벡터 a,p 가 있다고 가정했을때,
법선 벡터 n 와 평면 내의 벡터 a−p 를 내적하면 0이 나옴을 통해 평면 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n=⎣⎢⎡234⎦⎥⎤,a−p=⎣⎢⎡x−1y−3z−2⎦⎥⎤n⋅(a−p)=2(x−1)+3(y−3)+4(z−2)=0=2x+3y+4z+(−2−9−8)=0=2x+3y+4z=19:Ax+By+Cz=D
- 점과 평면 사이의 거리
평면 방정식 Ax+By+Cz=D 와 임의의 점 P(xp,yp,zp) 가 주어졌을 때,
점과 평면 사이의 최단 거리 d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d=A2+B2+C2Axp+Byp+Czp−D
3. 벡터의 외적
- 외적(cross product) : 3차원에서의 2개 벡터에 대해 직교하는 벡터를 구할 수 있다. 기호 × 를 사용하고 결과는 벡터로 나온다.
- 벡터의 외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a=⎣⎢⎡a1a2a3⎦⎥⎤,b=⎣⎢⎡b1b2b3⎦⎥⎤,a×b=⎣⎢⎡a2b3−b2a3a3b1−b3a1a1b2−b1a2⎦⎥⎤
- 벡터 간 각도를 통해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b∣∣=∣∣a∣∣∣∣b∣∣sinθ
- a×b=c 이라면, a⋅c=b⋅c=0 이다.
외적은 주어진 벡터들과 직교하는 벡터를 구하기 때문에, 주어진 벡터와 내적을 하게 되면 0이 된다.
3.1. 벡터의 내적과 외적의 비교
- 내적
- a⋅b 의 결과는, a 에서 b 방향으로 향하는 일부와 ∣∣b∣∣ 를 곱한 값을 의미한다.
- 2개 벡터가 같은 방향으로 향하는 정도를 구한다.
- 외적
- a×b 의 결과는, a 에서 b 방향으로 수직하는 값과 ∣∣b∣∣ 를 곱한 값을 의미한다.
- 내적은 θ 가 0∘ 일 때 최댓값을 가지고, 90∘ 일 때 0을 가진다. [cos(0∘)=1,cos(90∘)=0]
외적은 θ 가 90∘ 일 때 최댓값을 가지고, 0∘ 일 때 0을 가진다. [sin(0∘)=0,sin(90∘)=1]
3.2. 외적과 평행사변형
- 주어진 벡터의 외적값은 주어진 벡터로 이루어진 평행사변형의 넓이와 같다.
a×b=a,b 로 이루어진 평행사변형의 넓이
- 증명
평행사변형의넓이=밑변×높이=∣∣a∣∣×hsinθ=∣∣b∣∣h⋯h=∣∣b∣∣sinθ평행사변형의넓이=∣∣a∣∣×h=∣∣a∣∣∣∣b∣∣sinθ=∣∣a×b∣∣
4. 기약 행사다리꼴 행렬을 이용한 연립방정식 풀이
- 성립 조건
- 0이 아닌 원소를 갖는 행에서 맨 처음 나오는 0이 아닌 수는 1이어야 한다.
(이러한 1을 leading 1이라고 한다.)
- 0이 아닌 원소를 갖는 연속된 두 행은 해당 행의 leading 1이 윗 행의 leading 1보다 오른쪽에 있어야 한다.
- 모든 원소가 0인 행은 행렬의 맨 아래로 내려가야 한다.
- leading 1이 있는 열의 나머지 원소들은 모두 0이어야 한다.
- 기약 행사다리꼴 행렬 변환 예시
leading 1을 다른 말로 pivot entry, pivot variable 이라고 표현할 수 있고,
leading 1이 아닌 변수를 free entry, free variable 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A=⎣⎢⎡1122241201−16⎦⎥⎤=⎣⎢⎡10020011−21−24......R2−R1R3−2R1⎦⎥⎤ =⎣⎢⎡1002000103−20......R1−R2R3+2R2⎦⎥⎤ RREF(A)=⎣⎢⎡1002000103−20⎦⎥⎤
- 성립 조건
- 기약 행사다리꼴의 성립 조건 1~3번만을 만족하는 행렬
- 행사다리꼴 행렬 예시
⎣⎢⎡100510841−625⎦⎥⎤,⎣⎢⎡110110000⎦⎥⎤,⎣⎢⎡0001006103−9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