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학] 역함수와 역변환

Kyeongmin·2023년 8월 30일
0

수학

목록 보기
11/30

1. 항등함수와 역함수

  1. 항등함수 (Identify function)
    집합 내의 모든 원소를 원소 자체에 매핑하는 함수를 말한다.
    Ix:XXIx(a)=a\textbf{I}_x: \textbf{X} \longmapsto \textbf{X} \quad\dots\quad \textbf{I}_x(a) = a
  2. 역함수 (Inverse function)
    기존 함수의 변환값을 반대로 매핑하는 함수를 말한다.
    T:XY,T1:YXTT1=Ix,T1T=Iy\textbf{T}: \textbf{X} \longmapsto \textbf{Y} \quad,\quad \textbf{T}^{-1}: \textbf{Y} \longmapsto \textbf{X} \\ \textbf{T} \circ \textbf{T}^{-1} \,=\, \textbf{I}_x \quad,\quad \textbf{T}^{-1} \circ \textbf{T} \,=\, \textbf{I}_y
  3. 가역성이란?
    • 함수 T\textbf{T}의 역함수 T1\textbf{T}^{-1}가 존재할 때, 가역성을 지닌다고 말한다.
      즉, 역함수를 가질 수 있음을 말한다.

2. 전사함수와 단사함수

  1. 전사함수 (Surjective function)
    • 집합 Y\textbf{Y}(공역)의 모든 원소가 집합 X\textbf{X}(정의역)에 모두 대응되는 함수
    • 전사함수의 조건
      T=Am×nx\textbf{T} = \textbf{A}_{m\times n}\,\vec{x} 일 때, Rank(A)=mRank(\textbf{A}) = m 이어야 한다.
  2. 단사함수 (Injective function)
    • 집합 X\textbf{X}(정의역) 각각의 원소가 집합 Y\textbf{Y}(공역)의 원소 각각 하나에 대응되는 함수
    • 단사함수의 조건
      T=Am×nx\textbf{T} = \textbf{A}_{m\times n}\,\vec{x} 일 때, Rank(A)=nRank(\textbf{A}) = n 이어야 한다.

3. 가역성과 역함수

  1. 가역성의 조건
    • 가역성을 지니려면, 전사함수이면서 단사함수이어야 한다.
      위 내용에 따라서, 가역성을 지니려면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한다.
      T:RnRm=Am×n  xT    is    Surjective  Func    Rank(A)=mT    is    Injective  Func    Rank(A)=nT    has    InverseFunc    Rank(A)=m=n\textbf{T}:\mathbb{R}^n \longmapsto \mathbb{R}^m= \textbf{A}_{m\times n}\;\vec{x}\\\,\\ \textbf{T}\;\;is\;\;Surjective\;Func \iff Rank(\textbf{A}) = m \\ \textbf{T}\;\;is\;\;Injective\;Func \iff Rank(\textbf{A}) = n \\\,\\ T\;\;has\;\;Inverse Func \iff Rank(\textbf{A})=m=n
    • Rank(A)=m=nRank(\textbf{A})=m=n 이면, rref(A)=In\,\,rref(\textbf{A})=\textbf{I}_n(단위행렬) 이다.
profile
개발자가 되고 싶은 공장장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