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학] 영공간과 열공간

Kyeongmin·2023년 8월 20일
0

수학

목록 보기
8/30

행렬의 영공간과 열공간의 정의와 특징들에 대해 설명해보고자 한다.

1. 영공간 (Null Space)

  • 영공간의 정의
    1. 영공간(Null Space) : Ax=0\textbf{A}\vec{x} = \vec{0} 을 만족하는 x\vec{x}의 모든 집합
      행렬 Am×n\textbf{A}_{m \times n} 의 영공간 =N(A)={xRn    Ax=0}= N(\textbf{A}) = \begin{Bmatrix}\vec{x}\in\mathbb{R}^n \; | \; \textbf{A}\vec{x} = \vec{0} \end{Bmatrix}
    2. 영공간은 Rn\mathbb{R}^n 의 부분공간이다. (부분 공간의 특징을 지닌다.)
  • 영공간의 계산
    행렬 A\textbf{A} 가 주어졌을 때 영공간의 계산
    A3×4=[111112344321],Ax=0    x  ?\textbf{A}_{3 \times 4} = \begin{bmatrix} 1 & 1 & 1 & 1 \\ 1 & 2 & 3 & 4 \\ 4 & 3 & 2 & 1 \\ \end{bmatrix} \quad , \quad \textbf{A}\vec{x} = \vec{0} \;\cdots\;\vec{x}\;?
    Ax=0\textbf{A}\vec{x} = \vec{0} 꼴의 수식을 연립방정식으로 변환
    x1+x2+x3+x4=0x1+2x2+3x3+4x4=04x1+3x2+2x3+x4=0\begin{matrix} x_1 + x_2 + x_3 + x_4 = 0 \\ x_1 + 2x_2 + 3x_3 + 4x_4 = 0 \\ 4x_1 + 3x_2 + 2x_3 + x_4 = 0 \end{matrix}
    ② 첨가행렬으로 변환
    [111101234043210]\left[ \begin{array}{cccc|c} 1 & 1 & 1 & 1 & 0\\ 1 & 2 & 3 & 4 & 0\\ 4 & 3 & 2 & 1 & 0\\ \end{array} \right]
    ③ RREF(기약 행사다리꼴) 형태로 변환
         : 아래 수식에서 x1,x2x_1,x_2(1번째, 2번째 열)이 피벗 변수 임을 알 수 있다.
    [101200123000000]\left[ \begin{array}{cccc|c} 1 & 0 & -1 & -2 & 0\\ 0 & 1 & 2 & 3 & 0\\ 0 & 0 & 0 & 0 & 0\\ \end{array} \right]
    ④ 다시 연립방정식의 형태로 변환
         : 피벗 변수 x1,x2x_1, x_2자유 변수 x3,x4x_3,x_4 의 결합으로 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x1x32x4=0x2+2x3+3x4=0x1=x3+2x4x2=2x33x4\begin{matrix} x_1 & & - &x_3 & - &2x_4 & = & 0 \\ & x_2 & + &2x_3 & + &3x_4 & = & 0 \end{matrix} \quad\Longrightarrow\quad \begin{matrix} x_1 & = & x_3 & + & 2x_4 \\ x_2 & = & -2x_3 & - & 3x_4 \end{matrix}
    ⑤ 위 수식을 벡터의 선형결합 형태로 변환
         : 영공간의 정의에서 xRn\vec{x}\in\mathbb{R}^n 이므로, x1,x2,x3,x4x_1,x_2,x_3,x_4 는 모든 실수가 가능하다.
         : 즉 x3,x4x_3,x_4에 모든 실수가 가능하니, x\vec{x}는 2개 벡터의 선형 결합으로 생성 가능한 집합과 같다.
    [x1x2x3x4]=x3[1210]  +  x4[2301]\begin{bmatrix} x_1 \\ x_2 \\ x_3 \\ x_4 \end{bmatrix} \quad = \quad x_3 \begin{bmatrix} 1 \\ -2 \\ 1 \\ 0 \end{bmatrix} \;+\; x_4 \begin{bmatrix} 2 \\ 3 \\ 0 \\ 1 \end{bmatrix}
    Ax=0\textbf{A}\vec{x} = \vec{0} 의 해집합 확인
    N(A)=span([1210],[2301])N(\textbf{A}) = span \begin{pmatrix} \begin{bmatrix} 1 \\ -2 \\ 1 \\ 0 \end{bmatrix}, \begin{bmatrix} 2 \\ 3 \\ 0 \\ 1 \end{bmatrix} \end{pmatrix}

2. 열공간 (Column Space)

  • 열공간의 정의
    1. 열공간(Column Space) : 행렬 A\textbf{A} 의 열벡터의 선형 결합으로 생성 가능한 모든 집합
      행렬 Am×n\textbf{A}_{m \times n} 의 열공간 =C(A)=span(c1,c2,,cn)    A=[c1c2cn]= C(\textbf{A}) = span(\vec{c_1}, \vec{c_2}, \cdots , \vec{c_n}) \\\iff \textbf{A} = \begin{bmatrix}\vec{c_1} &\vec{c_2} & \cdots & \vec{c_n}\end{bmatrix}
    2. 열공간은 Rm\mathbb{R}^m 의 부분공간이다. (부분 공간의 특징을 지닌다.)
      \,
  • 열공간의 계산
    : 정의 그대로 열벡터의 선형 결합으로 생성 가능한 모든 집합이기 때문에
       아래 수식과 같지만 이는 열공간의 기저가 아닐 수 있다.
    C(A)=span(c1,  c2,  ,  cn)C(\textbf{A}) = span \begin{pmatrix} \vec{c_1}, \;\vec{c_2}, \;\cdots, \;\vec{c_n} \end{pmatrix}

3. 영공간과 열공간의 기저 (Basis)

: 기저(basis)란, 어떠한 부분공간을 만들 때 필요한 최소한의 벡터 집합을 말한다.
  아래는 영공간, 열공간의 기저를 구하는 방법이다.

  • 영공간의 기저
    : 위에서 영공간을 계산할때, 선형 결합으로 표현할 수 있는 변수들은 제거하기 때문에
      도출 된 벡터 집합은 이미 선형 독립이며, 기저라고 말할 수 있다.
    \,
  • 열공간의 기저
    : 위에서 열공간을 계산할때, 별도로 선형 독립을 확인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도출 된 벡터 집합이 기저라고 말할 수 없고, 아래의 방법을 통해 열공간의 기저를 구할 수 있다.
    \,
    • 행렬 A\textbf{A} 가 주어졌을 때 열공간의 기저 계산
      A=[111121433412]=[c1,  c2,  c3,  c4]Basis  of  C(A)  ?\textbf{A} = \begin{bmatrix} 1 & 1 & 1 & 1 \\ 2 & 1 & 4 & 3 \\ 3 & 4 & 1 & 2 \\ \end{bmatrix} = \begin{bmatrix} \vec{c_1},\;\vec{c_2},\;\vec{c_3},\;\vec{c_4} \end{bmatrix} \quad \cdots \quad Basis\; of\; C(\textbf{A})\;?
      ① 주어진 열벡터들을 RREF(기약 행사다리꼴) 형태로 변환
           : 아래 수식에서 1번째, 2번째 열이 피벗 변수임을 알 수 있다.
           : 즉, 1번째, 2번째 열이 선형 독립이며 c1,  c2\vec{c_1},\;\vec{c_2} 인 것을 알 수 있고,
              c1,  c2\vec{c_1},\;\vec{c_2} 의 선형 결합으로 다른 벡터들을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RREF(A)  =  [103201210000]RREF(\textbf{A}) \;=\; \begin{bmatrix} 1 & 0 & 3 & 2 \\ 0 & 1 & -2 & -1 \\ 0 & 0 & 0 & 0 \\ \end{bmatrix}
      ② 열공간의 기저 확인
      C(A)=span(c1,  c2)=span([123],[114])C(\textbf{A}) = span \begin{pmatrix} \vec{c_1},\; \vec{c_2} \end{pmatrix} = span \begin{pmatrix} \begin{bmatrix} 1 \\ 2 \\ 3 \end{bmatrix}, \begin{bmatrix} 1 \\ 1 \\ 4 \end{bmatrix} \end{pmatrix}

4. 영공간과 열공간의 차원 (Dimension)

  • 차원의 정의
    • 주어진 행렬의 기저(Basis) 벡터 집합에서 벡터의 개수를 의미한다.
      (기저 벡터가 3개인 경우 3차원, 이는 최대 3차원까지 표현 가능함을 의미한다.)
    • dimdim 기호를 사용하며,  dim(A)dim(\textbf{A}) 은 행렬 A\textbf{A}의 차원을 의미한다.
      \,
  • 영공간의 차원
    • 특정 행렬의 영공간의 차원은 dim(N(B))dim(N(\textbf{B})) 또는 nullity(B)nullity(\textbf{B}) 로 표시할 수 있다.
    • 영공간의 차원은 기약 행사다리꼴(RREF)에서 자유 변수의 개수와 같다.
      \,
  • 열공간의 차원
    • 특정 행렬의 열공간의 차원은 dim(C(B))dim(C(\textbf{B})) 또는 rank(B)rank(\textbf{B}) 로 표시할 수 있다.
    • 열공간의 차원은 기약 행사다리꼴(RREF)에서 피벗 변수의 개수와 같다.
profile
개발자가 되고 싶은 공장장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