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렬의 영공간과 열공간의 정의와 특징들에 대해 설명해보고자 한다.
1. 영공간 (Null Space)
영공간의 정의
영공간(Null Space) : A x ⃗ = 0 ⃗ \textbf{A}\vec{x} = \vec{0} A x = 0 을 만족하는 x ⃗ \vec{x} x 의 모든 집합
행렬 A m × n \textbf{A}_{m \times n} A m × n 의 영공간 = N ( A ) = { x ⃗ ∈ R n ∣ A x ⃗ = 0 ⃗ } = N(\textbf{A}) = \begin{Bmatrix}\vec{x}\in\mathbb{R}^n \; | \; \textbf{A}\vec{x} = \vec{0} \end{Bmatrix} = N ( A ) = { x ∈ R n ∣ A x = 0 }
영공간은 R n \mathbb{R}^n R n 의 부분공간이다. (부분 공간의 특징을 지닌다.)
영공간의 계산
행렬 A \textbf{A} A 가 주어졌을 때 영공간의 계산A 3 × 4 = [ 1 1 1 1 1 2 3 4 4 3 2 1 ] , A x ⃗ = 0 ⃗ ⋯ x ⃗ ? \textbf{A}_{3 \times 4} = \begin{bmatrix} 1 & 1 & 1 & 1 \\ 1 & 2 & 3 & 4 \\ 4 & 3 & 2 & 1 \\ \end{bmatrix} \quad , \quad \textbf{A}\vec{x} = \vec{0} \;\cdots\;\vec{x}\;? A 3 × 4 = ⎣ ⎢ ⎡ 1 1 4 1 2 3 1 3 2 1 4 1 ⎦ ⎥ ⎤ , A x = 0 ⋯ x ? ① A x ⃗ = 0 ⃗ \textbf{A}\vec{x} = \vec{0} A x = 0 꼴의 수식을 연립방정식으로 변환x 1 + x 2 + x 3 + x 4 = 0 x 1 + 2 x 2 + 3 x 3 + 4 x 4 = 0 4 x 1 + 3 x 2 + 2 x 3 + x 4 = 0 \begin{matrix} x_1 + x_2 + x_3 + x_4 = 0 \\ x_1 + 2x_2 + 3x_3 + 4x_4 = 0 \\ 4x_1 + 3x_2 + 2x_3 + x_4 = 0 \end{matrix} x 1 + x 2 + x 3 + x 4 = 0 x 1 + 2 x 2 + 3 x 3 + 4 x 4 = 0 4 x 1 + 3 x 2 + 2 x 3 + x 4 = 0 ② 첨가행렬으로 변환[ 1 1 1 1 0 1 2 3 4 0 4 3 2 1 0 ] \left[ \begin{array}{cccc|c} 1 & 1 & 1 & 1 & 0\\ 1 & 2 & 3 & 4 & 0\\ 4 & 3 & 2 & 1 & 0\\ \end{array} \right] ⎣ ⎢ ⎡ 1 1 4 1 2 3 1 3 2 1 4 1 0 0 0 ⎦ ⎥ ⎤ ③ RREF(기약 행사다리꼴) 형태로 변환
: 아래 수식에서 x 1 , x 2 x_1,x_2 x 1 , x 2 (1번째, 2번째 열)이 피벗 변수 임을 알 수 있다.[ 1 0 − 1 − 2 0 0 1 2 3 0 0 0 0 0 0 ] \left[ \begin{array}{cccc|c} 1 & 0 & -1 & -2 & 0\\ 0 & 1 & 2 & 3 & 0\\ 0 & 0 & 0 & 0 & 0\\ \end{array} \right] ⎣ ⎢ ⎡ 1 0 0 0 1 0 − 1 2 0 − 2 3 0 0 0 0 ⎦ ⎥ ⎤ ④ 다시 연립방정식의 형태로 변환
: 피벗 변수 x 1 , x 2 x_1, x_2 x 1 , x 2 는 자유 변수 x 3 , x 4 x_3,x_4 x 3 , x 4 의 결합으로 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x 1 − x 3 − 2 x 4 = 0 x 2 + 2 x 3 + 3 x 4 = 0 ⟹ x 1 = x 3 + 2 x 4 x 2 = − 2 x 3 − 3 x 4 \begin{matrix} x_1 & & - &x_3 & - &2x_4 & = & 0 \\ & x_2 & + &2x_3 & + &3x_4 & = & 0 \end{matrix} \quad\Longrightarrow\quad \begin{matrix} x_1 & = & x_3 & + & 2x_4 \\ x_2 & = & -2x_3 & - & 3x_4 \end{matrix} x 1 x 2 − + x 3 2 x 3 − + 2 x 4 3 x 4 = = 0 0 ⟹ x 1 x 2 = = x 3 − 2 x 3 + − 2 x 4 3 x 4 ⑤ 위 수식을 벡터의 선형결합 형태로 변환
: 영공간의 정의에서 x ⃗ ∈ R n \vec{x}\in\mathbb{R}^n x ∈ R n 이므로, x 1 , x 2 , x 3 , x 4 x_1,x_2,x_3,x_4 x 1 , x 2 , x 3 , x 4 는 모든 실수가 가능하다.
: 즉 x 3 , x 4 x_3,x_4 x 3 , x 4 에 모든 실수가 가능하니, x ⃗ \vec{x} x 는 2개 벡터의 선형 결합으로 생성 가능한 집합과 같다.[ x 1 x 2 x 3 x 4 ] = x 3 [ 1 − 2 1 0 ] + x 4 [ 2 3 0 1 ] \begin{bmatrix} x_1 \\ x_2 \\ x_3 \\ x_4 \end{bmatrix} \quad = \quad x_3 \begin{bmatrix} 1 \\ -2 \\ 1 \\ 0 \end{bmatrix} \;+\; x_4 \begin{bmatrix} 2 \\ 3 \\ 0 \\ 1 \end{bmatrix} ⎣ ⎢ ⎢ ⎢ ⎡ x 1 x 2 x 3 x 4 ⎦ ⎥ ⎥ ⎥ ⎤ = x 3 ⎣ ⎢ ⎢ ⎢ ⎡ 1 − 2 1 0 ⎦ ⎥ ⎥ ⎥ ⎤ + x 4 ⎣ ⎢ ⎢ ⎢ ⎡ 2 3 0 1 ⎦ ⎥ ⎥ ⎥ ⎤ ⑥ A x ⃗ = 0 ⃗ \textbf{A}\vec{x} = \vec{0} A x = 0 의 해집합 확인N ( A ) = s p a n ( [ 1 − 2 1 0 ] , [ 2 3 0 1 ] ) N(\textbf{A}) = span \begin{pmatrix} \begin{bmatrix} 1 \\ -2 \\ 1 \\ 0 \end{bmatrix}, \begin{bmatrix} 2 \\ 3 \\ 0 \\ 1 \end{bmatrix} \end{pmatrix} N ( A ) = s p a n ⎝ ⎜ ⎜ ⎜ ⎛ ⎣ ⎢ ⎢ ⎢ ⎡ 1 − 2 1 0 ⎦ ⎥ ⎥ ⎥ ⎤ , ⎣ ⎢ ⎢ ⎢ ⎡ 2 3 0 1 ⎦ ⎥ ⎥ ⎥ ⎤ ⎠ ⎟ ⎟ ⎟ ⎞
2. 열공간 (Column Space)
열공간의 정의
열공간(Column Space) : 행렬 A \textbf{A} A 의 열벡터의 선형 결합으로 생성 가능한 모든 집합
행렬 A m × n \textbf{A}_{m \times n} A m × n 의 열공간 = C ( A ) = s p a n ( c 1 ⃗ , c 2 ⃗ , ⋯ , c n ⃗ ) ⟺ A = [ c 1 ⃗ c 2 ⃗ ⋯ c n ⃗ ] = C(\textbf{A}) = span(\vec{c_1}, \vec{c_2}, \cdots , \vec{c_n}) \\\iff \textbf{A} = \begin{bmatrix}\vec{c_1} &\vec{c_2} & \cdots & \vec{c_n}\end{bmatrix} = C ( A ) = s p a n ( c 1 , c 2 , ⋯ , c n ) ⟺ A = [ c 1 c 2 ⋯ c n ]
열공간은 R m \mathbb{R}^m R m 의 부분공간이다. (부분 공간의 특징을 지닌다.)
\,
열공간의 계산
: 정의 그대로 열벡터의 선형 결합으로 생성 가능한 모든 집합이기 때문에
아래 수식과 같지만 이는 열공간의 기저가 아닐 수 있다. C ( A ) = s p a n ( c 1 ⃗ , c 2 ⃗ , ⋯ , c n ⃗ ) C(\textbf{A}) = span \begin{pmatrix} \vec{c_1}, \;\vec{c_2}, \;\cdots, \;\vec{c_n} \end{pmatrix} C ( A ) = s p a n ( c 1 , c 2 , ⋯ , c n )
3. 영공간과 열공간의 기저 (Basis)
: 기저(basis)란, 어떠한 부분공간을 만들 때 필요한 최소한의 벡터 집합을 말한다.
아래는 영공간, 열공간의 기저를 구하는 방법이다.
영공간의 기저
: 위에서 영공간을 계산할때, 선형 결합으로 표현할 수 있는 변수들은 제거하기 때문에
도출 된 벡터 집합은 이미 선형 독립이며, 기저라고 말할 수 있다.
\,
열공간의 기저
: 위에서 열공간을 계산할때, 별도로 선형 독립을 확인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도출 된 벡터 집합이 기저라고 말할 수 없고, 아래의 방법을 통해 열공간의 기저를 구할 수 있다.
\,
행렬 A \textbf{A} A 가 주어졌을 때 열공간의 기저 계산A = [ 1 1 1 1 2 1 4 3 3 4 1 2 ] = [ c 1 ⃗ , c 2 ⃗ , c 3 ⃗ , c 4 ⃗ ] ⋯ B a s i s o f C ( A ) ? \textbf{A} = \begin{bmatrix} 1 & 1 & 1 & 1 \\ 2 & 1 & 4 & 3 \\ 3 & 4 & 1 & 2 \\ \end{bmatrix} = \begin{bmatrix} \vec{c_1},\;\vec{c_2},\;\vec{c_3},\;\vec{c_4} \end{bmatrix} \quad \cdots \quad Basis\; of\; C(\textbf{A})\;? A = ⎣ ⎢ ⎡ 1 2 3 1 1 4 1 4 1 1 3 2 ⎦ ⎥ ⎤ = [ c 1 , c 2 , c 3 , c 4 ] ⋯ B a s i s o f C ( A ) ? ① 주어진 열벡터들을 RREF(기약 행사다리꼴) 형태로 변환
: 아래 수식에서 1번째, 2번째 열이 피벗 변수 임을 알 수 있다.
: 즉, 1번째, 2번째 열이 선형 독립이며 c 1 ⃗ , c 2 ⃗ \vec{c_1},\;\vec{c_2} c 1 , c 2 인 것을 알 수 있고,
c 1 ⃗ , c 2 ⃗ \vec{c_1},\;\vec{c_2} c 1 , c 2 의 선형 결합으로 다른 벡터들을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 R E F ( A ) = [ 1 0 3 2 0 1 − 2 − 1 0 0 0 0 ] RREF(\textbf{A}) \;=\; \begin{bmatrix} 1 & 0 & 3 & 2 \\ 0 & 1 & -2 & -1 \\ 0 & 0 & 0 & 0 \\ \end{bmatrix} R R E F ( A ) = ⎣ ⎢ ⎡ 1 0 0 0 1 0 3 − 2 0 2 − 1 0 ⎦ ⎥ ⎤ ② 열공간의 기저 확인C ( A ) = s p a n ( c 1 ⃗ , c 2 ⃗ ) = s p a n ( [ 1 2 3 ] , [ 1 1 4 ] ) C(\textbf{A}) = span \begin{pmatrix} \vec{c_1},\; \vec{c_2} \end{pmatrix} = span \begin{pmatrix} \begin{bmatrix} 1 \\ 2 \\ 3 \end{bmatrix}, \begin{bmatrix} 1 \\ 1 \\ 4 \end{bmatrix} \end{pmatrix} C ( A ) = s p a n ( c 1 , c 2 ) = s p a n ⎝ ⎜ ⎛ ⎣ ⎢ ⎡ 1 2 3 ⎦ ⎥ ⎤ , ⎣ ⎢ ⎡ 1 1 4 ⎦ ⎥ ⎤ ⎠ ⎟ ⎞
4. 영공간과 열공간의 차원 (Dimension)
차원의 정의
주어진 행렬의 기저(Basis) 벡터 집합에서 벡터의 개수를 의미한다.
(기저 벡터가 3개인 경우 3차원, 이는 최대 3차원까지 표현 가능함을 의미한다.)
d i m dim d i m 기호를 사용하며, d i m ( A ) dim(\textbf{A}) d i m ( A ) 은 행렬 A \textbf{A} A 의 차원을 의미한다.
\,
영공간의 차원
특정 행렬의 영공간의 차원은 d i m ( N ( B ) ) dim(N(\textbf{B})) d i m ( N ( B ) ) 또는 n u l l i t y ( B ) nullity(\textbf{B}) n u l l i t y ( B ) 로 표시할 수 있다.
영공간의 차원은 기약 행사다리꼴(RREF)에서 자유 변수의 개수 와 같다.
\,
열공간의 차원
특정 행렬의 열공간의 차원은 d i m ( C ( B ) ) dim(C(\textbf{B})) d i m ( C ( B ) ) 또는 r a n k ( B ) rank(\textbf{B}) r a n k ( B ) 로 표시할 수 있다.
열공간의 차원은 기약 행사다리꼴(RREF)에서 피벗 변수의 개수 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