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num = 1
for(let i=1; i<=100; i++){
num += i;
}
console.log(sum)
num이라는 변수에 1이라는 값을 할당하고 for문을 사용하여 100까지만 값이 증가하도록 했다.
num += i 는 num = num+i 로 해석하여 1+1=2, 2+2=4, 4+3=7, 7+4=11 ...로 5051 의 결과값이 나온다.
for(let i=0; i<100; i++){
let num = i += 1
console.log(num)
}
홀수를 구하기 위해서 초기값을 0으로 주고 i가 100까지만 값이 출력되도록 했다.
num = i += 1 은 2 = 1+1
, 5 = 2+2+1
, 8 = 3+3+2
, 으로 하여 num의 홀수값이 나오게 했다.
(369일때 "짝" 단어 넣기)
for(let i=1; i<=50; i++){
let stringValue = i.toString()
let result=""
for(let j=0; j<stringValue.length; j++){
if(stringValue[j]=="3" || stringValue[j]=="6" || stringValue[j]=="9"){
result += "짝"
}
}
console.log(result.length>0?result:i)
}
}
변수 stringValue
에 toString()메소드를 사용하여 i를 문자열로 반환한 값을 할당 후 길이값 만큼 3,6,9 문자열의 수 만큼 "짝"이라는 문자가 들어가도록 했다.
🌱 문제 해석부분을 보고 참고 및 해결한 점이 더 크지만 정리하면서 한번 더 생각하고 풀이를 했다는 부분이 뿌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