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 : 01. 벡터(Vector) - 2 : 벡터의 연산

yeppi1802·2024년 6월 5일
0

❇️ 요약

  • 벡터의 덧셈
  • 벡터의 뺄셈
  • 벡터의 곱셈

📖 벡터의 덧셈

🔆 기하학적인 방법 1 : 삼각형법(Tail-to-tip method)

  • 공간 상의 위치벡터 량
  • 위치의 변화인 변위(displacement)벡터 량
  • r = a + b

🔆 덧셈의 교환 법칙

  • 두 벡터의 순서가 바뀌어도 결과는 마찬가지
  • 이를 벡터의 덧셈교환법칙을 만족시킨다라고 말함
  • a + b = b + a

🔆 덧셈의 결합 법칙

  • 더하는 벡터들이 두 개 이상인 경우에도, 더하는 순서에 상관없이 결과는 동일
  • 이를 벡터의 덧셈결합법칙을 만족시킨다라고 말함
  • (a+b)+c=a+(b+c)\color{red}(a+b)+c = a + (b+c)

🔆 기하학적인 방법 2 : 평행사변형법(Parallelogram method)

  • b를 평행이동하여, a와 b의 꼬리를 일치 시킨 후, 두 벡터를 인접한 두 변으로 평행사변형을 그렸을 때, 두 벡터의 꼬리에서 시작하는 평행사변형의 대각선a와 b의 합벡터에 해당됨
  • 이것이 삼각형법과 같은 결과를 준다는 사실은 그림으로 입증

🔆 성분을 이용한 대수적인 방법

  • 두 벡터가 동일하다면 대응하는 벡터의 성분이 반드시 같아야 함
  • rx=ax+bxry=ay+by\large \color{red}r_x = a_x +b_x \quad r_y = a_y +b_y

    📌 예시
    a=(2, 3), b=(2.7, 0.7) 일 경우 r=(4.7, 3.7)
    ※ b 벡터를 r 벡터로 잘못 쓰는 경우 조심!

  • r=rx+ry\large \text{r} = r_x + r_y

📖 벡터의 뺄셈

🔆 벡터의 뺄셈

  • 자기 자신과 크기는 같고, 방향이 정반대인 음벡터의 정의를 이용하면 됨
  • r=ab\large\color{red}r=a-b양쪽에 b를 더한 후 결합법칙교환법칙을 적용하여 연산의 순서를 정리하면 식 a=b+r\large\color{red}a = b+r을 얻을 수있음
-b의 기점를 a의 종점으로 옮겨 r을 구할수도 있다.

📖 벡터의 곱셈

🔆 벡터의 곱셈

  • 내적 | 內積 | inner product ( • )
    • Result : Scalar(크기)
  • 외적 | 外積 | outer product ( × )
    • Result : Vector(크기, 방향)

🔆 벡터의 내적-1

  • 내적은 벡터를 마치 수처럼 곱하는 개념
  • 벡터에는 방향이 있으므로, 방향이 일치하는 만큼만 곱함
    • 예를 들어 두 벡터의 방향이 같으면, 두 벡터의 크기를 그냥 곱함
  •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이 90도 일 땐, 일치하는 정도가 전혀 없기 때문에 내적의 값은0
  • 내적한 벡터다른 벡터로 투영(Projection), 정사영 시켜서, 그 벡터의 크기를 곱함
  • ab=abcosθ\large\color{red}\overrightarrow{a}\cdot\overrightarrow{b}=|\overrightarrow{a}||\overrightarrow{b}|\cos\theta

🔆 벡터의 내적-2

  • 단위 벡터인 i^,j^,k^\large\color{red}\hat{i},\hat{j},\hat{k}는 곱셈에 사용되지 않고 스칼라 값들만으로 계산을 하게 됨
  • Scalar 곱은 한 벡터의 크기그 벡터에 투영된 다른 벡터의 크기곱한 양으로 간주함
  • ab=(acosθ)b=a(bcosθ)\large\color{red}a\cdot b=(a\cos\theta)b\\\qquad= a(b\cos\theta)
  • ab=ba\large\color{red}a\cdot b = b\cdot a (Scalar곱은 교환법칙 만족)
  • ab=(axi^+ayj^+azk^)(bxi^+byj^+bzk^)=axbx+ayby+azbz\large\color{red} a\cdot b = (a_x\hat{i}+a_y\hat{j}+a_z\hat{k})\cdot(b_x\hat{i}+b_y\hat{j}+b_z\hat{k})\\ \qquad= a_xb_x+a_yb_y+a_zb_z

🔆 벡터의 외적-1

  • 두 벡터를 곱하는 또다른 정의외적이 있음
  • 외적의 결과 값은 벡터인데, 방향두 벡터 a와 b가 이루는 평면에 수직
  • r=uvsinθr= uv \sin\theta
  • u×v=v×uu\times v= -v\times u
    • 교환, 결합 X
  • u×v=uvsinθ\large\color{red}|\overrightarrow{u}\times\overrightarrow{v} | = |\overrightarrow{u}||\overrightarrow{v}|\sin\theta

🔆 벡터의 외적-2

  • 직각좌표계에서 단위 벡터들서로 수직하므로, 서로 다른 단위벡터들의 벡터곱크기가 1이고 나머지 단위벡터에 나란한 방향
  • 벡터곱좌표축의 양의 방향들이 모두 오른손 규칙을 따르므로, 벡터 곱을 취하면 아래와 같음
    • i^×j^=k^j^×k^=i^k^×i^=j^\large\color{red} \hat{i}\times\hat{j}=\hat{k} \\ \hat{j}\times\hat{k}=\hat{i} \\ \hat{k}\times\hat{i}=\hat{j}
  • 자기 자신과의 벡터곱사이각이 0이므로 모두
    • i^×i^=j^×j^=k^×k^=0\large\color{red} \hat{i}\times\hat{i}= \hat{j}\times\hat{j}= \hat{k}\times\hat{k}=0

🔆 벡터의 외적-3

  • a×b=(axi^+ayj^+azk^)×(bxi^+byj^+bzk^)=(aybzazby)i^+(azbxaxbz)j^+(azbyaybx)k^\large\color{red} a\times b = (a_x\hat{i}+a_y\hat{j}+a_z\hat{k})\times(b_x\hat{i}+b_y\hat{j}+b_z\hat{k})\\ \qquad= (a_yb_z-a_zb_y)\hat{i} +(a_zb_x-a_xb_z)\hat{j}+(a_zb_y-a_yb_x)\hat{k}

profile
제로베이스 DA7 김예빈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