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 : 02 행렬 - 1 : 행렬의 정의
❇️ 요약
📖 행렬의 정의
🔆 행렬의 정의-1
- 행렬을 이용하면 복잡한 자료를 이용한 어려운 계산도 쉽게 풀 수 있고 해석도 직관적으로 가능
ai,ji번쨰행m행↓m×n행렬n열j번째열⎣⎢⎢⎢⎢⎢⎡a1,1a2,1a3,1⋮a1,2a2,2a3,2⋮a1,3a2,3a3,3⋮.........⋱⎦⎥⎥⎥⎥⎥⎤
ㅎ↓−↓ㅇㅇ⇉ㅣㄹ
🔆 행렬의 정의-2
- m×n 행렬은 각 행 i∈{1,…,m} 및 열 j∈{1,…,n}의
순서쌍(i,j)으로 이루어짐
- 각 Aij를 A의 i번째 행 j번째 열의
성분(entry) 또는 원소(element)또는 계수(coefficient)라고 함
- A의 각 성분은 행과 열의 번째수를 첨수로 사용하여 Aij,Ai,j,aij,ai,j,A(i,j),A[i,j] 으로 표현함
- Aij(i∈{1,…,min{m,n}})을 A의
대각 성분(diagonal entry) 또는 대각 원소(diagonalelement) 또는 대각 요소 또는 주대각선 성분이라고 함
⎝⎜⎜⎜⎜⎜⎜⎛A1,1A2,1A3,1⋮Am,1A1,2A2,2A3,2⋮Am,2A1,3A2,3A3,3⋮Am,3⋯⋯⋯⋱⋯A1,nA2,nA3,n⋮Am,n⎠⎟⎟⎟⎟⎟⎟⎞⎣⎢⎢⎢⎢⎢⎢⎡A1,1A2,1A3,1⋮Am,1A1,2A2,2A3,2⋮Am,2A1,3A2,3A3,3⋮Am,3⋯⋯⋯⋱⋯A1,nA2,nA3,n⋮Am,n⎦⎥⎥⎥⎥⎥⎥⎤
🔆 행렬의 정의-3
행렬 A의 크기는 행과 열의 수의 순서쌍(m,n) 또는 m × n을 뜻함
- 만약 행과 열의 수가 같다면 (m=n), A를
정사각행렬(Square matrix) 또는 정방행렬이라고 함
- 만약 m=1이라면, A를
1 × n 행 벡터(Row Vector)라고 표기
- 만약 n=1이라면, A를
m × 1 열 벡터(Column Vector)라고 표기
Ai,_=(Ai1Ai2⋯Ain)A_,j=⎝⎜⎜⎜⎜⎛A1jA2j⋮Amj⎠⎟⎟⎟⎟⎞
📖 행렬의 기본구성
🔆 행렬의 기본구성
⎣⎢⎡3608−25⎦⎥⎤행벡터−[38],[6−2],[05]열벡터−⎝⎜⎛360⎠⎟⎞,⎝⎜⎛8−25⎠⎟⎞
🔆 A=(m,n)
A=⎣⎢⎢⎢⎢⎡a1,1a2,1⋮am,1a1,2a2,2⋮am,2⋯⋯⋱⋯a1,na2,n⋮am,n⎦⎥⎥⎥⎥⎤A=(amn)
🔆 A=(n,n)
- 행렬의 크기는 n×n 행렬
A=⎣⎢⎢⎢⎢⎡a1,1a2,1⋮an,1a1,2a2,2⋮an,2⋯⋯⋱⋯a1,na2,n⋮an,n⎦⎥⎥⎥⎥⎤A=(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