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행렬의 덧셈, 뺄셈
- 행렬의 곱셈
- 전치 행렬
- 역행렬
📖 행렬의 덧셈 뺄셈
🔆 행렬의 덧셈 뺄셈
- 행렬의 더하기와 빼기는 간단함
- 위치가 같은 원소들끼리 더해줌. 단, 행렬의 크기가 동일해야함
A=(a11a21a12a22),B=(b11b21b12b22)
⇒A±B=(a11±b11a21±b21a12±b12a22±b22)
수식 : A±B=(amn)±(bmn)=(amn±bmn)
📖 행렬의 곱셈
🔆 행렬의 상수배
- 행렬 A의
상수배 kA는 행렬 A의 각 성분에 임의의 실수 K를 곱함
kA=⎣⎢⎢⎢⎢⎡ka11ka21⋮kam1ka12ka22⋮kam2⋯⋯⋱⋯ka1nka2n⋮kamn⎦⎥⎥⎥⎥⎤
수식 : kA=(kann)
k=5,A=(1324)
kA=5×(1324)=(5×15×35×25×4)=(5151020)
🔆 행렬의 곱셈
- 행렬의 곱하기는 앞의 행렬의 열의 수와 곱해지는 뒤의 행렬의 행의 수가 같을 때만 곱셈 가능(A = m×n, B= n×m)
- 또한 곱셈 결과 나오는 행렬의 크기는 앞의 행렬의 행의 수와 뒤의 행렬의 열의 수로 나옴
A=(a11a21a12a22),B=(b11b21b12b22)
⇒AB=(a11b11+a12b21a21b11+a22b21a11b12+a12b22a21b12+a22b22)
a⋅b=(axi^+ayj^+azk^)⋅(bxi^+byj^+bzk^)
⎣⎢⎡axayaz⎦⎥⎤[bxbybz]=axbx+ayby+azbz스칼라값들만(크기)

A행렬과 B행렬의 각 벡터들의 내적
- A의
첫번째 행벡터와 B의 첫번째 열 벡터의 내적
A=(a11a21a12a22),B=(b11b21b12b22)
⇒AB=(a11b11+a12b21a21b11+a22b21a11b12+a12b22a21b12+a22b22)
- A의
첫번째 행벡터와 B의 두번째 열 벡터의 내적
A=(a11a21a12a22),B=(b11b22b12b22)
⇒AB=(a11b11+a12b21a21b11+a22b21a11b12+a12b22a21b12+a22b22)
- A의
두번째 행벡터와 B의 첫번째 열 벡터의 내적
A=(a11a21a12a22),B=(b11b21b12b22)
⇒AB=(a11b11+a12b21a21b11+a22b21a11b12+a12b22a21b12+a22b22)
- A의
두번째 행벡터와 B의 두번째 열 벡터의 내적
A=(a11a21a12a22),B=(b11b22b12b22)
⇒AB=(a11b11+a12b21a21b11+a22b21a11b12+a12b22a21b12+a22b22)
수식 : (amn)(bnm)=∑kamkbkn
- 예시
A=(1324),B=(5768) ⇒AB=(1×5+2×73×5+4×71×6+2×83×6+4×8) =(5+1415+286+1618+32)=(19432250)
🔆 행렬의 곱하기는 AB ≠ BA
- AB
A=(1324),B=(5768) ⇒AB=(1×5+2×73×5+4×71×6+2×83×6+4×8) =(5+1415+286+1618+32)=(19432250)
- BA
B=(5768),A=(1324) ⇒BA=(5×1+6×37×1+8×35×2+6×47×2+8×4) =(5+187+2410+2414+32)=(23313446)
🔆 앞의 행렬의 크기[m×n], 뒤 행렬 크기 [n×k]이면 두 행렬을 곱했을 때 [m×k]
C=(12),D=(364758)
⇒CD=(1×3+2×61×4+2×71×5+2×8)
=(3+124+145+16)=(151821)
📖 전치 행렬
🔆 전치 행렬 : 행렬을 뒤집어 놓은 형태
A=[aij]m×n전치행렬AT=[aji]m×n
A=(acbd),AT=(abcd)
B=(1324),BT=(1234)
- 직사각형 행렬일 경우 - 1번째 기준으로 대각선 긋기
[m×n]T=[n×m]
A⎣⎢⎡135246⎦⎥⎤A135246AT123456(AT)T=A⎣⎢⎡135246⎦⎥⎤
E=[15263748]ET=⎣⎢⎢⎢⎡12345678⎦⎥⎥⎥⎤F=⎣⎢⎡123⎦⎥⎤FT=[123]
📖 역행렬
🔆 역행렬
- A×A−1
A×A−1=단위행렬⎣⎢⎢⎢⎢⎡10⋮001⋮0⋯⋯⋱⋯00⋮1⎦⎥⎥⎥⎥⎤
- [2×2]행렬의 역행렬(암기)
A−1=[acbd]−1=ad−bc1[d−c−ba]
- [3×3]행렬의 역행렬 (복잡함)
A−1=⎣⎢⎡adgbehcfi⎦⎥⎤−1
=∣A∣1⎣⎢⎡ei−fh−(di−fg)dh−eg−(bi−ch)ai−cg−(ah−bg)bf−ce−(af−cd)ae−bd⎦⎥⎤
=∣A∣1⎣⎢⎡ei−fhfg−didh−egch−biai−cgbg−ahbf−ce−cd−afae−bd⎦⎥⎤
∣A∣=a(ei−fh)−b(di−fg)+c(dh−eg)=−d(bi−ch)+e(ai−cg)−f(ah−bg)=g(bf−ce)−h(af−cd)+i(ae−b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