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행렬식 - determinant
- 여인수 - cofactor
- 여인수 전개 - cofactor expansion
- 행 연산에 의한 행렬식 변화 - Determinant changes by - row operations
matrix A의 Rank는 A의 column space의 dimension을 의미
column space의 basis vector가 몇 개 존재하는지 알면 그것이 dimension이 됨
예시 문제 - 주어진 행렬의 계수를 구해라
A를 row reduction을 통해 echelon form(행사다리꼴)으로 변환하고 pivot column을 찾음
pivot column 위치의 A의 column이 A의 basis
pivot column이 3개 존재하므로 rank A는 3
추가적으로 null space의 dimension도 구할 수 있음
free variable이 2개 이므로 dim Null A = 2
Null space의 dimension은 free variable의 개수와 같음
1th row와 3th column을 제외한 요소들을 의미3th row와 2th column을 제거하면 아래와 같이 됨





echelon form(행사다리꼴)은 triangular matrix이므로 각각의 diagonal term을 곱하면 det을 구할 수 있음
이는 echelon form에서 각각의 pivot들의 곱을 의미
row operation 성질을 이용해서 elementary matrix의 를 곱하면 가 나오게 됨
간단하게 정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