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커넥트재단이 주관하는 부스트캠프 웹·모바일 7기 챌린지 3주차를 돌아보는 개인적인 회고 입니다.
드디어 올 것이 왔군.
체크인/체크아웃 시간 준수
→클리어 첫 주의 그 실패 잊을 수 없다.
피어 Gist 공유
→나는 오프라인 클래스에서 수업 끝나면 판서를 지운다. 나의 사소한 행동이 여러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면 하는 것이 옳지 않을까?
만족스러운 미션 분석
→배경지식의 부재한 경우 미션 분석의 결과가 불만족스러웠다. (사상누각)
시간목 표 달성도, 몰입도 기록
→이게 진짜 중요했는데, 문제의 난이도/나의 노력 무엇이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주는지 판단할 수 있었다.
나의 수준 점검: 매일 %로 기록 남기기
→ 산출 근거를 매일 작성했다는 점에서 양호하나, 정리가 미흡했다.
산출물 작성
→동료 캠퍼들이 관심을 보이심 문제는 진짜 도움이 된 걸까? 인사 아니였을까? 패킷 낭비아냐? 하는 고민되었지만 이러나 저라나 내가 더 잘하면 되는 부분이다.
피어 세션 정리
→노력 중인 사항으로 키워드를 노션에 바로 적어서 소득 있었다.
코드 품질 파트 꼭 점검하기
→차주에는 명확하게 리팩토링 및 코드 점검 시간을 계획에 반영하자.
네이밍 컨벤션
스크린 브러쉬 사용
→전달력이 확 올라감을 느끼면서 만족도가 올라갔다. (구매할지도…?)
좋은 질문하기, 칭찬하기
→의식력 노력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
많은 캠퍼들이 가장 힘들다고 평가하는 3주차는 정말 힘들었다. 힘듦 속에서 지속, 관점 두 가지에 대해서 크게 느꼈다. 지속에 대해서는 앞서서 이야기 한 것처럼 컨디션 관리의 부재로, 오버플로를 경험하면서 느낀 것이다. 이런 실천에서 단기간에는 성장하겠지만, 번아웃 오면 수습하는 시간이나 할 수 있는 만큼 지속해서 하는 시간이나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했고 특히나 인생에서 지속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관점에 관해서 이야기하면,
멋진 분들과 3주 차를 함께하면서 내가 놓치고 있던 부분이 어디인지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되었다. 결과물에서 추구하는 기술과 방법론을 적용해 자신의 관점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캠퍼들을 보면서 의도적 연습의 중요성을 다시 느꼈다.
지난주와는 또 다른 의식적 노력의 지향점을 느낄 수 있었는데, 한 분은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정신을 온전히 따라가 보자, 다른 분은 객체지향을 바탕으로 최적의 설계와 구현을 이뤄보자 등 명확하게 무엇을 중점적으로 학습할 것인지 고민한 흔적을 보여주신 분들께 질문도 많이 하고 많고 정말 크게 배웠다.
나는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임했는가? 나의 문서와 발언이 공해가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데, 따지고 보면 코드에서 벗어난 문서화와 전달력이라는 외적의 것에 집중한 것은 아닌지 반성하게 된다.
3주의 시간 정말 많이 고민한 기간이고, 시간은 너무나도 빠르게 지나갔다. 다음 주는 부스트 캠프 챌린지의 마지막이기에 더욱더 기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