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05

jungkwanlee·2022년 7월 5일
0

코딩일지

목록 보기
69/108

1) 학습한 내용

이번 프로젝트 회의

연가을씨는 이번에 작업했던 파일을 업로드했다. 연가을 씨는 인덱스 부분에 CSS파일에 미디어쿼리를 적용시켜서 반응형 웹을 만들어냈다.

김용훈, 오종인 씨는 아이콘이 차례대로 나타나는 애니메이션 작업을 진행했었다. 나타나는 방법은 위에서 부터 차례대로 나타내는 효과를 부여했었다.

나는 카카오 지도 API를 화면에 나타나게 하는 방법과 wow.js와 animate.css를 통해서 서서히 나타나게 하는 애니메이션을 부여했었다.

그리고, 각자가 맞은 역할이 어느정도 이뤄지자 이번에는 깃허브를 통해 협업을 할 예정이다.

깃허브 협업

  1. 레포지터리 생성 -> 팀장

  2. 상단 Fork 생성 -> 팀원 깃허브에 생성

  3. 코드 https 주소 복사 -> 나의 깃허브 주소

  4. Gitbash 터미널 열기

  5. git clone ‘내 레포지터리 https 주소’

  6. 경로 확인, 경로 이동은 cd ‘폴더 이름’
    git remote add upstream ‘팀장 레포지터리 https 주소’

  7. 연결 확인
    git remote -v

  1. 전체 파일 add: git add .
    커밋 작성: git commit -m ‘커밋내용’
  1. 내 레포지터리에 전송
    git push
  1. 내 레포지터리 깃허브에 링크 활성화되어 있음 확인 > 링크 클릭 후 업로드 버튼 클릭
    '팀장이 pull 확인하고 merge 승인 후'

  2. (팀장 저장소와 내 저장소 일치화 과정)패치
    git fetch upstream

  1. 저장소에 차이점을 찾아 변경사항 적용
    git merge upstream/main
    (내 작업 VS에 없고 팀장 레포지터리에 있던 작업파일 생성됨)
  1. 다시 내 저장소에 push
    git push

깃허브 Fork

fork는 개발자들끼리 협업을 할때 쓰인다.
여기서 오해하지 말아야할 것이, 협업을 할때 쓰인다는게, 자기 팀끼리의 협업을 말하는게 아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원작자의 코드를 fork 하면, 자신의 원격 저장소에서 코드를 마음대로 뜯어 고칠 수 있다.
[코드짜는 문과녀:티스토리](출처: https://eunhee-programming.tistory.com/159)

팀장 추첨

팀장을 새로 추첨하는 자리가 있었고 추첨 결과 내가 8월 달에 책임을 져야 할 위치가 올라갈 것으로 예정되었다. 다만, 이것도 내가 제대로 들은 것이 아닌지라 추후에 변경될 여지가 있다.

중간 회의 결과

소연: 애니메이션 딜레이 및 세부사항 추가
가을: 마무리 CSS
유지: 정렬 확인
용훈: 애니메이션 구현 확인
종인: 이상없음

정관: 이상없음 사이트 제출 후 주소 변경 필요

2) 학습내용 중 어려웠던 점

이번 팀 프로젝트를 통해서 나는 이 프로젝트에 대한 책임을 가지게 되었다. 비록, 프론트엔드에 해당되긴 하지만 나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내가 맡은 역할에 대한 무게감을 가지게 되었다.

3) 해결방법

내가 프로젝트를 제대로 따라가려면 부지런해야 할 필요가 있고 게으름을 피우면 안된다. 지금은 지도 API를 맡게 되지만 내가 언제까지 이것만 할 수도 없거니와 다른 것 또한 할 수 밖에 없다.

4) 학습소감

오늘은 클론 코딩에 관한 회의가 있었다. 회의는 리소프트 홈페이지에 관한 것으로 단순히 홈페이지를 클론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현하는 것이라고 했었다. 나는 그래서 개인적으로 다른 구성원이 맡은 것을 내가 개인적으로 실험삼아서 했었다. 그리고, 이번 팀 회의를 통해서 나는 8월달의 팀장으로 뽑혔을 때, 나는 마지못해 한다고 했을 때, 독이 든 성배를 마셨다는 걸 체감했다. 물론, 이건 변경의 여지가 있기에 나중에 가 봐야 할 일이다. 하지만, 내가 팀장을 맡게 된다면을 가정하에 코딩 연습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