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07

jungkwanlee·2022년 7월 7일
0

코딩일지

목록 보기
71/108

1) 학습한 내용

Git Fork 하는 방법(오전 회의 10시 30분)

  1. Git 설치 (32bit 설치 안됌)
  2. 저장할 폴더 미리 생성 후 경로 생성
  3. 명령 프롬포트 실행 > cd “폴더 경로”
  4. Git 엔터 후 설치 확인
  5. git config --global user.name 계정명
  6.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본인이메일 입력
  7.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8. 깃허브 레포지터리 생성 -> 팀장 계정 -> 팀원들에게 페이지 주소 공유
  9. 상단 Fork 클릭으로 복사 -> 팀원 깃허브에 생성
  10. 팀원 깃허브 코드 https 주소 복사 -> 나의 깃허브 주소
  11. 명령 프롬프트 실행(CMD)
  12. 저장할 폴더로 경로 이동
  13. git clone ‘fork해 온 레포지터리 https 주소’
  14. cd ‘폴더명’
  15. 연결 확인
    git remote -v
  16. git remote add upstream ‘팀장 레포지터리 https 주소’
  1. 연결 확인
    git remote -v

  2. 연결 확인 종료 후 C:\Users\pro\Desktop\따오기\index.html
    code .
    (띄어쓰기 해요! VS 실행)

  3. 파일 업로드 하는 걸 보여줘

  4. 이렇게 업로드 된다고 알려(깃허브 보여주기)

  5. 처음 clone 했을 경우랑 새로 파일이 업로드 되어있는 경우가 다름. 파일을 받아오는 방법

  6. (팀장 저장소와 내 저장소 일치화 과정)패치
    git fetch upstream

  7. 저장소에 차이점을 찾아 변경사항 적용
    git merge upstream/main
    (내 작업 VS에 없고 팀장 레포지터리에 있던 작업파일 생성됨)

  1. 전체 파일 add
    git add .
    커밋 작성
    git commit -m ‘커밋내용’

  2. 내 레포지터리에 전송
    git push

  3. 나의 레포지터리 깃허브에 링크 활성화되어 있음 확인 > 링크 클릭 후 업로드 버튼 클릭

    팀장이 pull 확인하고 merge 승인 후

팀장 레포지터리

강좌
https://www.youtube.com/watch?v=1I3hMwQU6GU

참고 페이지
https://deepinsight.tistory.com/167
https://pers0n4.io/github-remote-repository-and-upstream/

오후 회의(오후 1시)

오후의 회의는 아직 Fork 작업에 익숙하지 않은 2팀을 위해 다른 팀에서 온 사람이 와서 Fork를 강의하는 것이다. 물론, 강의에 그치지 않고 지금까지 해왔떤 작업들을 모두 통합하고 정리하는 과정이다. 물론, 통합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전제 조건이 깃허브를 모두 사용해야 할 줄 안다는 것인데, 나는 깃허브를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건 알아도 Fork처럼 협업으로 하는 건 처음이라 익히는데는 시간이 오래걸렸다.

그리고, 회의 마지막에는 나와 깃허브 Fork에 익숙하지 않은 팀원이 함께 다른 팀 사람의 도움으로 Fork를 어렵게 나마 수행을 했었다.

참고 사이트

Git을 이용한 협업: Fork 부터 Pull Request 까지

2) 학습내용 중 어려웠던 점

팀들이 Fork에 익숙하지 않았던 점으로 인해 웹페이지 만드는 시간이 생각보다 오래걸렸다. 물론, 나도 어려웠던 것은 마찬가지였지만 말이다.

3) 해결방법

사용 설명서를 보면서 했었다. 정확히는 위의 과정을 보면서 Fork 사용법과 깃허브로 팀업을 하는 방법을 들어가면서 시행착오를 거쳐가면서 이뤘다. 그래도 이해가 안 갔을 때, 팀장이 다른 조에 Fork를 잘 아는 사람을 데려와서 어떻게든 프로젝트를 진행시키는데 도움을 받았다.

4) 학습소감

이번 시간은 깃허브 Fork에 관한 회의가 주를 이뤘다. 비전공이 IT업계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고통스럽더라도 어떻게든 지식을 얻어내야 한다. 누가 떠 먹여주는 것은 의미가 없다. 시간이 걸리고 고통스럽더라도 그것을 내것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번 회의는 프로젝트 진행이 주 목적인데 오늘은 Fork가 주된 주제가 되었다. 나머지 시간은 깃허브 Fork 연습을 위해서 다른 계정을 만들어서 연습을 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