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상계(sup) 및 최소 상계 성질 (Least upper bound property)

zeta_xiv·2025년 1월 7일
0

대학 1학년 미적분학(calculus)이나 수리물리학보다는 엄밀하지만, 대학 2학년 실해석학(real analysis)보다는 엄밀하지 않은 정도로만 다룹니다.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들을 증명하기 위한 최소한의 도구를 갖추는 것만을 목표로 합니다.

(Definition) 실수의 부분 집합 RR에 대하여 RR의 임의의 원소 rr이 언제나 rMr\le M인 실수 MM이 존재하면 MMRR의 "상계(upper bound)"이다. 만약 AARR의 상계이고 AA보다 더 작은 상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AARR의 "최소 상계(least upper bound 혹은 supremum)"라고 하며, 기호로 supA\sup A로 쓴다.

어떤 수 aa가 집합 AA의 임의의 상계보다 크면 aa 또한 AA의 상계가 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다음 보조 정리에 의해서 임의의 집합은 단 하나의 최소 상계만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Lemma) 만약 어떤 집합이 최소 상계(supremum)를 갖는다면, 그것은 해당 집합의 유일한 최소 상계이다.

Proof) s1s_1s2s_2가 집합 EE의 최소 상계라고 하자. 그러면 s1s_1s2s_2는 모두 집합 EE의 상계이므로 s1s2s_1\le s_2이고, 또한 s2s1s_2\le s_1이다. 따라서 s1=s2s_1 = s_2이다. ■

(Definition) 실수의 부분 집합 RR에 대하여 R의 임의의 원소 rr이 언제나 NrN\le r인 실수 NN이 존재하면 NNRR의 "하계(lower bound)"이다. 만약 BBRR의 하계이고 BB보다 더 큰 하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BBRR의 "최대 하계(greatest lower bound 혹은 infimum)"라고 하며, 기호로 infR\inf R로 쓴다.

이제 앞선 글에서 언급한 "실수의 완비성"을 "최소 상계 정리"의 형태로 나타내고자 한다. 정확히는 이들은 모두 공리(axiom)이며 정리(theorem)가 아니지만, 여기서는 정리라고 부르자. 실수의 조밀성과 데데킨트 절단을 이용하여 실수의 완비성을 이끌어내고, 다시 역으로 완비성으로부터 실수의 조밀성을 이끌어내어보자.

(Theorem) (데데킨트의 정리) 실수 집합 전체 R\mathbb{R}의 임의의 절단 LRL|R을 생각하자. 그러면 LRL|R을 생성하는 단 하나의 유일한 실수가 존재한다.

Proof) 우선 유일성을 증명하자. 만약 두 개의 서로 다른 실수 α\alphaβ\betaLRL|R을 생성하고 α<β\alpha < \beta이면 실수의 조밀성에 의해 α<c<β\alpha<c<\beta를 만족하는 실수 cc가 최소한 한 개 존재한다. c<βc<\beta이므로, cLc\in L 이어야한다. 그리고 α<c\alpha<c이므로 cRc\in R이어야 한다. 따라서 cLRc\in L\cap R이다. 그런데 절단의 정의에 의하여 LR=L\cap R=\emptyset이므로 이는 모순이다. 따라서 α=β\alpha=\beta로써 유일하다.
  이제 존재성을 증명하자. 우선 α=supL\alpha=\sup L이라 놓고, u1<αu_1<\alpha인 실수 u1u_1을 생각하자. 만약 u1Ru_1\in R이면, 최소한 하나의 sLs\in Lu1<sαu_1< s\le \alpha를 만족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서 모든 sLs\in L에 대하여 u1su_1\ge s이면 u1u_1LL의 상계가 되는데, 이는 u1<supLu_1<\sup L이라는 뜻으로 일어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RR의 모든 원소는 LL보다 커야하므로 이는 모순이다. 따라서 u1Lu_1\in L이다. 또한 α<u2\alpha<u_2인 실수 u2u_2를 생각하면, 마찬가지의 논리에 의하여 u2Ru_2\in R이다. 따라서 α\alpha는 절단 LRL|R을 생성한다. ■

(Corollary) LRL|R을 실수 전체 R\mathbb{R}의 절단이라고 하자. 그러면 LL은 그 자신 안에 최대의 수를 포함하거나, 그렇지않으면 RR이 그 자신 안에 최소의 수를 포함해야 한다.

Proof) 데데킨트의 정리에 의하여 모든 aLa\in L에 대하여 aγa\le \gamma이거나, 또는 모든 bRb\in R에 대하여 γb\gamma\le b인 단 하나의 유일한 실수 γ\gamma가 존재한다.

이제 최소 상계 성질(least upper bound property)를 증명하자.

(Theorem) (최소 상계 성질; 실수의 완비성) 실수 R\mathbb{R}의 모든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이 상계(upper bound)를 가지면 반드시 실수인 최소 상계(supremum)를 갖는다.

Proof) 공집합이 아닌 SRS\subseteq\mathbb{R}이 상계를 갖는다고 가정하자. 이제 SS에 대하여 정의되는 집합 L={αα<x such that xS}L = \{\alpha | \exist \alpha < x\text{ such that } x\in S\}을 생각하자. 그리고 이것의 여집합인 R=LcR = L^c를 생각하자. 집합 LL의 정의에 의하여, LL의 모든 원소는 적어도 하나의 SS의 원소보다는 작아야 한다. 따라서 어떠한 LL의 원소도 SS의 상계가 될 수 없다. 집합 RR의 정의에 의하여, 모든 xRx\in R는 어떠한 SS의 원소보다도 크거나 같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x<sx<s를 만족하는 sSs\in S가 존재하게 되는데, 그러면 xLx\in L이 되어 모순이다.) 따라서 RR의 모든 원소는 집합 SS의 상계가 된다. 그러므로 SS의 최소 상계 supS\sup S의 존재성에 대한 증명은 RR이 최소 원소를 갖는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제 LLRR이 데데킨트 정리의 조건들을 만족함을 보이자. (그럼으로써 LRL|RR\mathbb{R}의 절단임을 보일 것이다.) SS는 공집합이 아니므로 sSs\in S이면 s1Ls-1\in L이다. 또한 가정에서 SS는 상계를 갖는다고 했으므로 uuSS의 상계이면 uRu\in R이다. 따라서 LLRR 어느 것도 공집합이 아니며, LR=L\cap R=\emptyset이다. 만약 αL\alpha\in L이고 βR\beta\in R이면 α<x\alpha<x를 만족하는 xSx\in S가 존재하며, xβx\le\beta이어야 한다. 따라서 α<β\alpha<\beta이다. 그러므로 LLRR은 실수 전체 집합 R\mathbb{R}에 대한 절단 LRL|R을 이룬다.
  만약 αL\alpha\in L이면 α<x\alpha<x를 만족하는 xSx\in S가 존재한다. 그러면 실수는 조밀하므로 α<α<x\alpha<\alpha'<xα\alpha'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αL\alpha'\in L이다. 따라서 LL의 어떠한 원소도 LL의 최대 원소가 될 수 없다. 따라서 바로 위의 따름정리에 의해 RR은 반드시 최소 원소를 그 안에 포함하여야 한다. SS는 위로 상계이므로, RR의 최소 원소가 supS\sup S가 된다. ■

최소 상계 성질의 한 가지 중요한 응용은 아르키메데스 성질(Archimedean property)이다.

(Theorem) (아르키메데스 성질) 모든 xRx\in\mathbb{R}에 대하여 x<nx<n인 자연수 nn이 존재한다.

Proof) 만약 그런 자연수가 존재하지 않으면 모든 자연수 nn에 대하여 nxn\ne x이어야 한다. 따라서 xx는 자연수 집합 N\mathbb{N}의 상계이다. 최소 상계 성질에 의하여 공집합이 아닌 N\mathbb{N}은 최소 상계(supremum) uRu\in\mathbb{R}를 갖는다. 이제 u1<uu-1<u이므로 u1u-1N\mathbb{N}의 상계가 될 수 없다. 따라서 u1<mu-1<m을 만족하는 자연수 mm이 존재해야만 한다. 즉, u<m+1u<m+1이다. 그런데 m+1Nm+1\in\mathbb{N}이므로 이것은 uuN\mathbb{N}의 상계라는 것에 모순이다. 따라서 x<nx<n인 자연수 nn이 반드시 존재한다. ■

아르키메데스 성질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a,b>0a, b >0인 실수 aabb에 대하여 b<nab<na를 만족하는 자연수 nn이 반드시 존재한다.

(Lemma) 어떤 실수 a>0a>0에 대해서도 1/n<a1/n<a를 만족하는 자연수 nn이 존재한다.
Proof) 아르키메데스 성질에 의해서 두 실수 11aa에 대하여 1<na1<na를 만족하는 자연수 nn이 존재한다. 따라서 1/n<a1/n<a를 만족하는 자연수 nn이 존재한다. ■

(Theorem) (유리수의 조밀성) 유리수는 실수 안에서 조밀하다. 즉, a<ba<b를 만족하는 두 실수 aabb에 대하여 a<q<ba<q<b를 만족하는 유리수 qq가 존재한다.
Proof) 임의의 두 실수 aa, bba<ba<b를 만족한다고 하자. 그러면 aabb사이에는 bab-a 만큼의 간격이 존재한다. 아르키메데스 성질에 의하여, bab-a의 크기에 관계 없이 1<n(ba)1<n(b-a)를 만족하는 자연수 nn이 존재해야만 한다. 이제 na+1<nbna+1<nb로부터 nananbnb 사이에 반드시 하나의 정수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그런 정수들 중에서 가장 작은 정수를 mm이라 하면 na<mna<m을 만족한다. 즉,

m1na<mm-1\le na <m

을 만족한다. 따라서

mna+1<nbm\le na+1 <nb

가 만족된다. 그런데 na<mna<m이므로 이것은

na<m<nbna < m < nb

를 의미한다. 따라서 a<m/n<ba<m/n<b이므로 q=m/nq=m/n인 유리수가 aabb 사이에 존재한다. ■

(Theorem) (무리수의 조밀성) 무리수 또한 실수 안에서 조밀하다. 즉, a<ba<b를 만족하는 두 실수 aabb에 대하여 a<ξ<ba<\xi<b를 만족하는 무리수 ξ\xi가 존재한다.
Proof) 의 예제에서 2\sqrt{2}가 무리수임을 보았다. aa, bb가 실수이고 a<ba<b이면 a2<b2a-\sqrt{2}<b-\sqrt{2}이다. 그러므로 위의 정리로부터 a2<q<b2a-\sqrt{2}<q<b-\sqrt{2}를 만족하는 유리수 qq가 존재한다. 즉, a<q+2<ba<q+\sqrt{2}<b인데 ξ=q+2\xi=q+\sqrt{2}는 무리수이므로 a<ξ<ba<\xi<b를 만족하는 무리수 ξ\xi가 존재한다.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