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해석학] 15. 볼록 범함수의 최소화

김당찬·2022년 2월 20일
0

Real analysis

목록 보기
15/24

Convex Functional and its minimization

Convex / Closed subset의 정의

Def
선형공간 XX의 부분집합 CCConvex set 이다:

f.gC,λ[0,1]\forall f.g\in C, \quad \forall \lambda \in [0,1] 에 대해 λf+(1λ)gC\lambda f+(1-\lambda)g \in C 가 성립한다.

또한, 다음과 같이 노음선형공간 X의 부분집합 C의 닫힘을 정의한다.

Def

노음선형공간 X의 부분집합 C가 닫혀있다는 것은 fXf\in X 로 강하게 수렴하는 XX에서의 함수열 fnf_n에 대해, 모든 fnCf_n\in C 이면 극한 ff도 C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과 같은 예시를 살펴보자.
가측집합 E와 p[1,)p\in[1,\infty) 에 대해 집합 BB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fLp(E):fp1}\{f\in L^p(E) : \Vert f\Vert_p\leq 1\}

그러면 집합 BLp(E)B\subset L^p(E) 은 Convex이고 닫혀있음을 알 수 있는데, f,gBf, g \in Bλ[0,1]\lambda \in [0,1] 에 대해 민코우스키의 부등식으로부터

λf+(1λ)gpλfp+(1λ)gp1\Vert \lambda f+(1-\lambda)g\Vert_p \leq \lambda\Vert f\Vert_p + (1-\lambda)\Vert g\Vert_p \leq 1

이 성립하므로 집합 B는 Convex set이다. (삼각부등식 + 집합 B의 정의) 또한, 닫힘을 보이기 위해서 우선 함수열 fnBLp(E)f_n\in B \subset L^p(E) 를 잡고 fLp(E)f\in L^p(E) 로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다시 민코우스키의 부등식으로부터,

fnpfpfnfp|\Vert f_n\Vert_p-\Vert f\Vert_p| \leq \Vert f_n-f\Vert_p

가 성립하는데, fnf_n 이 수렴하므로 fnp\Vert f_n\Vert_p 역시 수렴한다. 이떄 각 fnf_n 이 B의 원소이므로 fnp1\Vert f_n\Vert_p \leq 1 이고, 따라서 fp1\Vert f\Vert_p \leq 1 이 성립하여 fBf\in B 이다.

선형범함수의 Convex

Def 노음선형공간 X의 부분집합 C에서의 범함수 T:CRT:C\to \R 을 생각하자. 함수열 fnCf_n \in CfCf\in C 로 강하게 수렴할 떄 T(fn)T(f)T(f_n)\to T(f) 가 성립한다면, 범함수 TT연속이라고 정의한다.

Def 노음선형공간 X의 Convex한 부분집합 C와 C에서 정의된 범함수 T:CRT: C\to \R 을 생각하자. 만일 f,gCf,g\in Cλ[0,1]\lambda \in [0,1] 에 대해

T(λf+(1λ)g)λT(f)+(1λ)T(g)T(\lambda f + (1-\lambda)g) \leq \lambda T(f) + (1-\lambda)T(g)

가 성립한다면 T를 convex하다고 정의한다.

위와 같이 정의되는 연속 convex 범함수 TT에 대해 T(f)T(f) 를 최소화시키는 함수의 존재성을 증명할 수 있다. 우선 다음 Banach-Saks 정리 (증명은 생략)를 이용해 실수열 {T(fn)T(f_n)} 의 하극한과 관련된 보조정리를 증명할 수 있다.

Banach-Saks THM

가측집합 E와 p(1,)p\in (1,\infty) 에 대해 fnf_nffLp(E)L^p(E) 에서 약한수렴한다고 하자. 그러면 부분수열 fnkf_{n_k} 가 존재하여 부분수열의 산술평균이 fLp(E)f\in L^p(E) 로 강하게 수렴한다. 즉,

limkfn1++fnkk=f\lim_{k\to\infty} \frac{f_{n_1}+\cdots+f_{n_k}}{k} = f

보조정리

가측집합 E와 p(1,)p\in (1,\infty) 에 대해 집합 CLp(E)C \subset L^p(E) 가 닫혀있고 유계인 Convex 집합이라고 하자. 또한 C에서의 연속 convex 범함수 T를 잡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1. fnCf_n \in CfLp(E)f\in L^p(E) 로 약하게 수렴하면 fCf\in C 이다.
  2. T(f)lim infT(fn)T(f) \leq \liminf T(f_n)

증명. 앞선 Banach-Saks 정리에 의해 fnf_n의 부분수열 중 산술평균이 fLp(E)f \in L^p(E)로 강하게 수렴하는 것이 존재한다. 이떄, 산술평균은 Convex set의 정의에 의해 집합 C의 원소이다. 또한 C가 닫힌집합이고 C의 원소인 산술평균이 ff로 강하게 수렴하므로 결과적으로 ff는 C의 원소이다.

정리의 조건에서 집합 C가 유계이므로, T(fn)T(f_n)은 유계실수열임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α=lim infT(fn)\alpha=\liminf T(f_n) 으로 두면 α\alpha 로 수렴하는 T(fn)T(f_n) 의 부분실수열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즉, 다음을 만족하는 부분수열 fnkf_{n_k} 를 잡자.

limkfn1++fnkk=f,limkT(fnk)=α\lim_k \frac{f_{n_1}+\cdots+f_{n_k}}{k} = f,\quad \lim_k T(f_{n_k})= \alpha

또한 범함수 T가 연속이므로(조건)

T(f)=limkT(fn1++fnkk)T(f) = \lim_k T(\frac{f_{n_1}+\cdots+f_{n_k}}{k})

이 성립한다.

부분실수열 TnkT_{n_k} 를 고려하면, 수렴하는 실수열의 산술평균은 그 수렴값으로 수렴하므로 (같은 수렴값을 가짐) 다음이 성립한다.

limkT(fn1)++T(fnk)k=α\lim_{k\to \infty}\frac{T(f_{n_1})+\cdots+T(f_{n_k})}{k} = \alpha

T가 Convex 함으로부터,

T(fn1++fnkk)T(fn1)++T(fnk)kT\biggl(\frac{f_{n_1}+\cdots+f_{n_k}}{k}\biggr)\leq\frac{T(f_{n_1})+\cdots+T(f_{n_k})}{k}

이고, 우변에 극한을 취하면 T(f)lim infT(fn)T(f) \leq \liminf T(f_n) 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위 보조정리를 이용해, 우리는 연속 볼록 범함수를 최적화시키는 함수의 존재성을 증명할 수 있다.

THM 17

앞선 보조정리와 동일한 조건을 생각하자. 그러면 TT최소화시키는 함수 f0Cf_0 \in C 가 존재한다.

증명. 우선, 범함수 T의 상image이 아래로 유계임을 보이자. 만일 아래로 유계가 아니라면 limnT(fn)=\lim_n T(f_n) = -\infty 인 함수열이 존재할 것이다. 조건에 의해 집합 C는 유계집합이므로, 이전에 살펴본 정리 14을 이용해 함수열 fnf_nLp(E)L^p(E) 에서 fLp(E)f\in L^p(E) 로 약한수렴하도록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약한수렴으로부터 보조정리를 이용할 수 있고, 보조정리의 2번으로부터

T(f)lim infT(fn)=T(f)\leq\liminf T(f_n) = -\infty

가 성립한다. 따라서 이는 T(C)가 유계라는 것에 모순이다.
T(C)가 유계임을 확인했으므로 c=inf[T(f):fC]c=\inf[T(f):f\in C] 라고 정의하자. 함수열 fnf_nlimnT(fn)=c\lim_n T(f_n) = c 를 만족하도록 하고,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정리 14를 이용해 f0Lp(E)f_0\in L^p(E) 로 약한수렴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보조정리로부터

T(f0)lim infT(fn)=cT(f_0)\leq \liminf T(f_n) = c

가 성립한다. 이떄, c는 치역의 하한이므로 T(f0)=cT(f_0)=c 이다.

Reference

  • Real Analysis 4th edition, Royden
profile
블로그 이사했습니다 https://ddangchani.github.io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