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까지 피그마로 툴을 통해 UIUX 디자인 포지션으로 3년 재직했지만, 웹 디자인, 배너 같은편집디자인도 진행했었습니다. 이제 문제해결식의(데이터 인사이트)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제 경형성에 맞춰CRUD 기반 화면 설계, 디자인 시스템 구조화 하는 업무를 하고싶습니다
좋은 UX는 이상적인 설계만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경영진의 방향, 클라이언트의 요구, 개발 리소스, 기획 의도, 일정까지 모두 고려한 ‘실현 가능한 설계’가 중요하다. 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경청하고,설득해야한다. 그 안에서 최선의 사용자 경험을 조율해내는 균
피그마 포토샵 XD.. 등등 다양한 툴을 다루는 것도 중요하지만 본질을 다루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다.사용자경험 디자인의 uiux의 본질은 나의 디자인 솔루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이 아이콘은 여기에 넣고 이 폰트는 왜 적용했는가? 컬러는 왜? 이 작은 요소
기준: Flex는 CRUD 중심의 복잡한 서비스 구조를 다루고 있고, 디자인 시스템을 꽤 딥하게 요구한다.특히 SaaS 기반의 디자인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구축하고 정착시켰다는 점이 인상 깊었고, 내가 지향하는 방향과도 맞닿아 있다.말 그대로 디자인을 예쁘게만이 아니라
보통 폰트 토큰을 등록할 때, 본문인 Text 토큰, UI에 쓰이는 Label 토큰두 개를 생성한다는 가정하에,폰트 스타일이 Pretendard 가 아닌 Pretendard Variable을 사용해서 fontWeight을 이용해폰트의 두께 조절을 미디엄과 두 가지 폰트
스크린샷 2025-03-03 오전 3.37.25.png스타일과 배리어블의 차이... 알고 넘어가자.스타일은 하나 또는 다수만 저장.배리어블은 오직 하나만 저장, 참조가능 → 배리어블이나 아니면 스타일이 베리어블을 참조 할 수 있다………(헷갈린다)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