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Epson Innovation Challenge in Korea 도전기
2024 Epson Innovation Challenge in Korea 도전기
2024 Epson Innovation Challenge in Korea 도전기
데이터를 특정 순서로 정리할 때, 가장 효율적인 알고리즘은 무엇일까? 정렬 알고리즘은 아무리 빨라도 O(logN)이다. 정렬된 배열에선 삽입과 삭제할 때 O(N)이 걸린다. 해시 테이블은 검색, 삽입, 삭제가 O(1)이지만, 순서를 유지하지 못한다.순서를 유지하면서 빠
\*\*연결 리스트(Linked List)항목의 리스트를 표현하는 자료 구조연결 리스트는 배열과 다르게 동작한다. 연결 리스트 내 데이터는 연속된 메모리 블록이 아니라 컴퓨터 메모리 전체에 걸쳐 여러 셀에 퍼져 있을 수 있다. 메모리에 곳곳에 흩어진 연결되니 데이터는
사이드 프로젝트로 진행했던 **푸디로그 앱**을 실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피드백을 받아 앱을 개선해보기 위해서 Google Play Store에 프로덕션 신청을 해보았다.
실제 배열을 정렬할 때 버블 정렬과 선택 정렬, 삽입 정렬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컴퓨터 언어의 내장 함수를 사용해 시간과 노력을 아껴준다. 그 중 퀵 정렬(Quicksort)은 정렬 알고리즘으로 많이 쓰인다. 퀵 정렬 동작 방식을 통해 재귀가 어떻게 알고리즘의 속도를
클린 아키텍처를 적용하면서 의존성을 관리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의 유지보수성, 확장성 및 독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한 내용을 바탕으로 dependency-cruiser를 활용한 소스코드 검증과 의존성 시각화 절차에 클린 아키텍처의 개념을 통합하
Dependency-cruiser 설치Dependency-cruiser 초기화dependency-cruiser를 설치하면 .dependency-cruiser.js 가 루프 경로에 자동으로 생성됨소스코드 검증의존성 시각화
12장에서 재귀 코드의 속도를 느리게 만드는 원인을 찾고, 빅 오 관점에서 어떻게 나타내는지 배워보자.재귀 함수를 사용해서 배열에서 최댓값을 찾는다.예를 들어, 배열 1,2,3,4에서 최댓값을 찾는다면, 첫 번째 원소인 1과 배열 2,3,4의 최댓값을 비교한다. 이어서
📝 '누구나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책을 공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11장에서는 재귀적 사고방식을 기르는 데 집중한다. 여러 가지 재귀 문제를 다루면서 문제에 다양한 "카테고리"가 있음을 알게 됐다. 같은 카테고리에 속한 문제는 같은 기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예를 들
'푸디로그' 프로젝트 작년 7월~10월 진행했던 '푸디로그'가 새롭게 리뉴얼 시도하면서 다시금 프로젝트를 재개하였다. 보통의 프로젝트는 단기간 작업 후 새로운 프로젝트를 작업하는 데 바빠 코드 리팩토링을 신경쓰지 못했었다. 하지만, 푸디로그는 사이드 프로젝트로 진행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