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물은 박주항 개발자님께서 집필하신 "C++로 나만의 운영체제 만들기"라는 책을 기반으로 작성된 게시물입니다. 시작에 앞서 본 책을 집필하신 박주항 개발자님의 명복을 빕니다. 초등학교때 본 책을 구매하여 이해하지 못한 채 지금에서야 보면서 따라하게 되었습니다.

교내 열람실 출석부를 얼굴인식을 통해 구현하려고 한다.사전 연구로 관련된 오픈소스와 논문을 찾는 중 파이썬 라이브러리로 DeepFace라는 라이브러리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오늘은 DeepFace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얼굴 인식을 체험해보려 한다.당연하게도 파이썬은
저번 포스팅에서 교내 시설 로드뷰를 만들기 위한 사전 준비를 모두 마쳤다.먼저 로드뷰에 사용될 사진을 촬영하여야 한다.학교에 인스타 360 카메라가 있어서 남는 시간에 학교 곳곳을 촬영하였다.촬영한 이미지는 insp라는 확장자로 나오는데 인스타 360 스튜디오를 통해서

동기 내년 신입생 유치를 위해서 우리 학교에서 다양한 홍보 활동을 진행하는데, 올해 입학 설명회는 모든 학교가 한 곳에 모여서 진행다는 것이였다. 따라서 다른 학교보다 특화적인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학교를 직접 방문해서 시설을 보질 못하기에 학교 내부를

최근에 나온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같은 기기들은 해당 기기의 저장공간에 저장하지 않고 클라우드를 통해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방식을 주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주된 클라우드 서비스로 네이버 MYBOX, 구글 포토, 구글 드라이브 등이 있는데 이러한 서비스들은 사
라즈베리파이 제로를 사용하다보면 HDMI를 연결하고 마우스를 연결하고 키보드를 연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번거롭기에 운영체제가 담겨있는 SD카드에 파일을 추가하는 형식으로 와이파이를 연결할 수 있다.와이파이를 연결하고 SSH를 통해 원격 통신이 가능하다.SD카드를 컴퓨
학교 SW-AI 인재양성 프로젝트에서 진행하고 있는 열람실 지문인식 출석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서버와 라즈베리파이가 통신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전에 스마트 태블릿 보관함을 제작하면서 사용했던 방식인 express 서버에서 socketio 라이브러리를 통해서 라즈

라즈베리파이와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서 지문인식 결과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다음 인식 될 지문과 일치율을 구하는 코드를 짜보았다.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부분은 구현하지 않았다.조만간 구글의 Firebase를 통해 구현 할 예정이다.먼저 파이썬을 통해

학교에서 열람실 지문인식 출석부를 제작하고 있다.교사용 어플리케이션 제작 중 상단 바에 다음 디자인과 같이 표시하고 싶었다.하지만 Flutter에서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보았지만 실패하였는데 계속 찾아보다 Stack이라는 위젯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오늘은 ESP32를 통해 집에 직접 스마트홈을 구축하는 과정에 대해 기록한다. 먼저 IoT란 Internet of Things라는 뜻으로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사물에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사물을 작동시킬 수 있고 인터넷과 연결될 수

프론트엔드 개발을 도와주는 프레임워크인 Vue.js에서 구글의 Firebase를 통해서 오직 프론트엔드에서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구현할 것이다이 포스팅에서는 Vue-router라는 개념을 이해하였다는 전재로 작성되었다.Firebase에서는 서버 또는 웹 환경에서 서비스
라즈베리파이에서 코딩한 파이썬 파일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시도했다.라즈베리파이 nano 텍스트 편집기로 아래의 경로의 파일을 열어준다.위 파일에서 제일 하단으로 이동한다 (Ctrl+W -> Ctrl+V) 실행코드 입력 부분에 실행할 코드를 입

고등학교 태블릿 대여 시스템(프론트엔드)을 구축하면서 html element가 표시되었다가 사라졌다가 반복하는 코드를 구현하면서 밑에 있던 텍스트가 올라왔다 내려왔다 하는 현상이 발생했다.고정하고 싶은 마음에 element style에 position:absolute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