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킷 브레이커에 대해 얘기를 나누다가 '쿠버네티스가 어차피 Health Check으로 파드(Pod)를 알아서 격리하고 재시작해주는데, 굳이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를 별도로 구축해야 할까?' 라는 의문이 들었다.결론적으로, 두 기술은 목적과 역할이
최근 비동기(@Async) 기능의 요청이 처리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두 가지의 주요 설정 누락이 문제의 원인이었고 이 글에서는 기본 설정에 의존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과 명시적 설정의 중요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문제가 되는 기능은 @Async을 통해 비동기로 처리
최근 신규 프로젝트를 배포한 후, AWS MSK의 디스크 사용량이 급증하는 문제가 생겼다. 예상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특정 토픽들에 메시지가 쌓이고 있는 것이 원인이었고 다행히 해당 토픽의 데이터는 장기간 보관할 필요가 없어서 retention.ms을 1시간으로 변경하는 것으로 대응했다. 이 과정은 Kafka의 리텐션 정책을 다시 돌아보는 계기가 됐다....
MYSQL에서 일부 테이블의 데이터를 조회한 결과를 바로 다른 테이블에 INSERT 시킬 수 있다.✅ 뒤에 WHERE 절을 추가해 조건을 입력할 수도 있다.✅ 조회되는 컬럼과 INSERT될 컬럼의 데이터 형식이 일치해야 한다.SELECT INSERT는 테이블의 검색 결
DTO는 Data Transfer Object로 계층(Layer)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하는 객체다. 여기서 계층은 View,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등을 의미한다. 데이터 교환을 위해서만 사용되기에 로직은 갖고 있지 않고 데이터
ngrok은 방화벽 넘어 외부에서 로컬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터널 프로그램이다. 보통 로컬에서 개발을 진행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접근하려면 서버에 올리는 등의 작업을 해야 하므로 귀찮다.이때, ngrok을 사용하면 따로 네트워크 환경 설정 변경 없이 로컬에 실행 중인
0. 들어가기에 앞서 !youtube[xu3XGEomRWI] '나도 글 잘쓰고 싶어'는 늘 하는 생각이다. 그러던 중 위 영상을 보게 되었다. 김민석 테크니컬 라이팅 코치님이 1:37:00 부터 효과적인 메모 작성법 및 관리법을 소개해주신다. 여기서 제텔카스텐(Z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