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생각없이 IT인프라방에서 있다가 리눅서님이 클라우드 자격증 스터디를 한다길래 어 뭐지.. 뭔 스터디인지 궁금해서 들어가봤었다.평소에 meetup 을 다니거나 it 오픈채팅방에서 지나가는 글들을 보고만 있어도 지식이 늘어난다고 느꼈기 때문에 생각없이 들어갔으나 아뿔사
clf에 이어서 saa 도 취득하였다. 워낙에 관련정보가 많기 때문에 같은 내용 또 적는건 서로간의 낭비일듯 싶다.이 포스팅을 쓰는 목적과 도움이되는 대상은 명확하다.aws 가장 초급 자격은 clf 이고 그다음으로 보통 취득하는게 saa이다.solutions archi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Associate SSA-C03 후기취득이 10/05일이니까 대충 4주 정도 더 걸렸다. 회사일이 미친듯이 바빠서 시험공부를 거의 못했는데한 50점정도 여유가지고 어찌저찌 붙긴했더라.서버리스, 매니지드에 모든
원래대로면.. soa 후기가 올라와야 하는데 한 40점 차이로 떨어졌다..생각해보면 한 네다섯문제 였을거 같은데 아쉽다.. 이건 나중에 다시 쓸듯..올해였든가 나온지 얼마 안된 시험이다. 기존에 aws 자격중에는 data analytics 스페셜리티가 있었는데 해당 자
aws 에서 올해 나온 자격증 중 하나이며 오래되지 않아서 취득시 얼리어답터 뱃지를 추가로 증정한다. 머신러닝에 관한 자격증이며 AIF 는 베드락을 MLA 는 세이지 메이커를 핵심으로 물어보는 자격증 시험이다. 원래는 mla 는 취득생각이 없었고.... aif 를 접수
https://www.dataq.or.kr/www/main.do 에서 운영하는 네개의 자격증이 있는건 알고 있었고 dap sqlp adp 의 자격의 취득난이도가 생각보다 매우 높다는 걸 알아서 이걸 할까 말까 많은 고민을 했다. 한국 자격증 시험 특성상 실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