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에서의 팀프로젝트와 코딩에서의 팀프로젝트를 비교해보았다.
1차 클론코딩이 끝나고 적는 회고록 입니다. 아직 수정중!!
2차 프로젝트 회고록 2021.04.26~2021.05.07 까지 진행된 2차 프로젝트 회고록
wecord의 교육과정중 마지막 4주를 기업협업으로 보내게 되었다.
광고와 개발자는 어떤 연관이 있을까 ? 성장과정, 개인적인 이야기
이직을 준비하면서 코딩을 잃지 않기 위해 스몰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했다. 간략하게 모바일에서 사용하는 강의를 선택할수 있도록 하는 사이트를 제작하는 프로젝트 이다. 리액트로 도전하기 위해서 준비를 했다. 타입스크립트도 적용해보려고 한다.
프론트 엔드 기반으로 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면접 당시 aws등 클라우드 데이터 서비스에 관해 많이 면접이 나오길래경험은 한번 해봐야 겠다고 생각하고 노마드코더의 firebase의 기초부분 트위터 클론코딩에 대해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마침 Vite 가 뜨고 있어서 vite를 사용해볼까 생각은 하고 있었고 OpenAi, 인공지능이 점차 개발되어 가고 있어서 OpenAI를 사용해 보고 자 프로젝트를 만들게 되었다. 특히나 요즘 인공지능으로 수익을 올리는 분들이 많이지는것 같아서 부럽기도 해서 수익화까지
오늘은 취업준비(이직준비)에 대해 회고를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2022년 8월 6일 경에 잘 다니던 회사에서 코로나로 인한 경영난으로 인해 권고사직으로 퇴사하게 되었습니다.
react Query 를 프로젝트에 적용하게 되었다. 적용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이전글에서 정리하게 되었다. 오늘은 사용 법 간단하게 작성하고 회고를 작성한다. 사용 법은 간단하다. 이전에 사용해본 경험이 있어서 빠르게 적응할수 있었다.
cafe24로 제작되어 있던 페이지를 nextjs로 전환작업을 진행했다. 기존 cafe24에서는 많은 이미지를 다운 받고 캐싱이 되지 않아서 사이트 접근 속도가 많이 느리고 무거웠지만 개선 이후 속도와 사이즈 측면에서 효과를 볼수 있었다. <기존 사이트><개
테스트 코드를 공부하면서 개발한 코드에 적용해보았다. 처음이라 그런지 많이 어렵기도 한데 공부도 되고 있다. 이 글은 공부용으로 개념 정리 글이 아니고 사용하면서 느낌을 정리한 글이므로 개념정리는 다른 분의 블로그를 방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뭐 간단하게 정리하기도 하
리액트에서 전역으로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려고 했다. 작업을 하다가 자식들에게 props를 주는 것이 너무 많아 져서 코드가 꼬이는것도 많고 정리를 하기 위해서 사용하려고 마음 먹었다. 기존에 사용했던 그대로 recoil을 사용하려고 했는데 검색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