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캠프의 1일차가 시작되었다. 1.
아무리 git pull origin master 를 실행해도 git pull이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엔 소스코드를 수정하여 change에 변경된 파일이 있을때 git pull이 실행되지 않는다고 하셨다.이러한 경우엔 change에 변동사항 건수를 0건을 만들어
1. 전날 복습 Grapgql이 Rest보다 좋은점은 원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가지고 올 수 있기 때문이다. Rest 의 post, put, delet 은 Grapgql 의 mutantion 에 대응되고, get은 query에 대응된다. mutation 은 데이터
오늘은 어제까진 db로 자료를 보내줬으니 그 자료를 화면에 띄워보려고 한다.우선 apollo를 사용하기 위해 우리는 app.js파일과 index.js 파일에 코딩을 해주어야 한다.이 과정에서 우리는 백엔드 api주소를 기입해주고 임포트 익스포트 등의 작업을 진행 한다.
부모 컴퍼넌트에 있는 어떠한 값을 자식 컴퍼넌트에 넘겨 줄때 props를 사용하게 되는데,이때 props는 객체의 형태로 전달 되게 된다.이는 파일을 나누고서 함수식등을 전달할때 요긴하게 쓰이게 되는데 우리가 코드를 효과적으로 나누기위해 나눠 놓은 Container,
비구조화 할당과 같은말로 배열과 객체를 해체하여 그 안의 값을 사용하는 것이다.우리는 객체 구조분해의 원리를 통해 useState를 활용하고 받아 올 수 있다.useState와 동일한 형태이다.key값이 많은, 간단하지 않은 배열값을 사용할때 객체의 키로 바로 밸류 값
나는 수업 중간중간 메모장에 필요한 내용을 기록하여 놓는다.블로그의 중요성을 알기때문에 블로그에 적힐 내용들을 까먹지 않기 위해서다.물론 중간중간 필기하는 습관은 수업에 이해해 엄청난 도움이 된다.이 중요한 블로그를 관리함에 있어 엄청난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는데 바로
모달창은 알람을 띄우기 위해 사용하게 된다.주로 ant-design 이나 material-ui 사이트를 활용하여 만들게 되는데ant 기준으로 onOk, onCancel, visible 와 같이 우리가 바꿀수 없는 값이 있기 때문에 아래 하단에 설명을 참고하며 만들어야
완주하지 못한 선수for 안에 if 안에 includes 안에 splice를 활용했다간 N^4 빅오의 쓴맛을 경험해 볼 수 있으니 주의!배열에 사용해주는 메서드로서 하나의 문자열이 다른 문자열에 포함되어있는지를 판별하고 결과를 true 혹은 false로 반환해준다.베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