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인증에서 패스워드는 큰 위협보안성, 개인정보, 편의성 측면 때문에 계속해서 사용되어 왔음 \- 그러면서 SSO를 이용해 편의성을 높이거나 브라우저 메타데이터를 활용하여 의심스러운 로그인을 감지하는 기법들 등장FIDO2표준(패스키: 패스워드리스)의 도입으로 생체정보
리스트를 n개 만들고 거기다가 append 하자문제 발생 파이썬의 리스트는 스택의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n=4의 경우1, 2, 9, 3, 8, 4, 5, 6, 7까지(한바퀴)는 잘 채워지지만 그 다음에1, 2, 9, 3, 8, 10, 4, 5, 6, 7 이렇게 채워지
문자열 길이 똑같은거불량이 \* 거나 같으면\-> 불량사용자에 매핑됨매핑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라딕셔너리 만들어서 조합 수학으로 계산하려고 함키가 중복되는 이슈 -> banned_id는 중복가능숫자만으로는 계산식 만들기 어려움\-> 순열(permutation
부모: 추천인부모에게 10% 상납, 90%는 내가 가짐특수조건10% 계산시 원단위에서 절삭(버림)10% 계산한 금액이 1원미만인 경우에는 상납안하고 걍 내가 다 가짐밑에서 부터 위까지 탐색하면서 업데이트 -> DFS 생각하고 문제 시작DFS는 자료구조를 잘 만드는게 중
요약사람의 수 N과 파티의 수 M이 주어짐진실을 아는 사람의 수와 번호가 주어짐M개의 줄에 각 파티마다 오는 사람의 수와 번호가 주어짐뒤에 입력되어도 진실을 안다는게 전파 되어야함= 같은 그룹으로 만든다= 순서보다 같은 그룹에 속하는지...입력받은 값 중에 제일 작은값
유니온 파인드? 이론적 설명 > * 유니온: 특정 2개의 노드를 연결해 1개의 집합으로 묶는 것 파인드: 두 노드가 같은 집합인지를 확인 코드적 설명 > * 유니온: 각 노드가 속한 집합을 1개로 합침 파인드: 해당 집합을 대표 노드를 반환 구현방법 1) 1차원 리
결국 n-1개의 간선을 줬다는거랑 똑같음.... 따라서 그래프의 개념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또한 그렇다는 것은 a -> b -> c 이렇게 탐색해 나갈 수 있다는 것이고 이는 DFS를 이용하여 계속해서 비율을 구해나가면 된다.Q: 그런데 정수로 안나누어 떨어질 수도
범위 소수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이용해서 소수만 추리기체에서 소수인거 골라서 제곱시켜서 체크표시해서 count메모리 초과문제 발생중복이 일어날것이라 생각해고 total 배열을 만들었음(X)\-> 중복이 일어나지 않음(몇개 예시로 써보면 감옴...)따라서 그냥 cou
자신보다 작은 2개의 자연수를 곱해 만들 수 없는 1보다 큰 자연수= 1과 자기 자신 외에 약수가 존재하지 않는 수Q: 왜 범위에 루트를 씌웠는가?A: 우리는 약수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게 메인이다. 그리고 약수라는 것은 쌍으로 존재하는데 그 쌍의 반만 검사해도 충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바라보는 단위이다.Logical Block은 디스크의 외부 컴퓨터 호스트가 디스크에 접근할 때 사용되는 단위로, 마치 1차원 배열처럼 구성되어 있다.디스크는 논리적 블록 단위로 접근되며, 컴퓨터는 "몇 번째 블록을 읽어라"라는 식으로 디스크와 상호작
일반적으로 비휘발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HDD)OS는 다양한 저장장치를 file이라는 동일한 논리적 단위로 볼 수 있게 해줌연산: create, read, write, reposition(iseek), delete, open, close파일 자체의 내용이 아니라 파일
요청시 메모리에 올리는 것이다.즉 프로그램이 실제로 필요로 할때 페이지를 메모리에 로드하는 방식이다.1) I/O 양의 감소2) Memory 사용량 감소3) 빠른 응답시간4) 더 많은 사용자 수용Valid/Invalid Bit를 사용한다.Valid Bit: 페이지가 실제
각 프로세스마다 0번지 부터 시작하는 논리주소 공간을 가짐(Virtual Memory)CPU가 보는 주소주소변환 과정에 OS는 참여하지 않는다. 오직 하드웨어가 관여한다.즉 여기에서 OS의 역할은 없다.메모리에 실제 올라가는 위치주소를 결정하는 것이다.Symbolic주
교착상태 : 상대방이 가진 자원을 요구 그러나 상대방도 자기거 내놓지 않고 다른 상대방거를 요구한다.데드락: 일련의 프로세스들이 서로가 가진 자원을 기다리면서 block된 상태자원: HW, SW 등을 포함하는 개념ex> I/O Device, CPU cycle, memo
Semaphore의 용도 1) Lock의 문제(생산자가 동시에 도착)2) 가용자원의 개수세는 용도(버퍼의 유한함)프로듀서는 버퍼에 데이터를 집어넣는다.컨슈머는 버퍼의 데이터를 꺼내간다.생산자가 둘이 동시에 도착하여 비어있는 버퍼를 보고, 생산자 둘이서 데이터 만들어서
1) P(S): lock을 건다.공유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줄어듬)2) V(S): lock을 푼다.공유데이터를 반납하는 과정프로그래머가 Semaphores를 이용할 수 있다.busy-wait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를 Block & Wakeup 방식으로 해결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