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부스트캠프 챌린지에서 세번째 주를 보냈습니다. 매주 피어들이랑 얘기를 나누면서 편해지려고 하면 항상 다음주가 되어서 다시 얘기를 못나누니깐 항상 그룹회고때는 아쉬움만 남았던 것 같습니다. 매 주 마다 회고하며 아쉬웠던 부분을 시도하며 새로 알아가는 것들이 많아서
버전관리 시스템을 쓰는 이유 우리 프로젝트가 너무 많아서 워크플로 관리를 간단하기 위해프로젝트의 소스를 버전 별로 관리할 수 있어서 개발할 때 실수로 소스를 삭제하거나, 수정하기 이전으로 돌아가야 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된다.팀 프로젝트에서도 누가 무엇을 어떻게 수정
네이버 부스트캠프 챌린지에서 두번째 주를 보냈습니다.첫주차때 느꼇던 부족했던 점은 성장에 집중을 하지 않고 문제를 급급하게 푸는 곳에 관심을 두었다는 것이었습니다.그래서 2주차 때는 블로그에 문제해결 후 문제해결 에서 얻은 지식들을 정리하는 습관을 가졌습니다. 아쉬운
"테크 리더 9인이 말하는 더 나은 개발자로 살아가는 원칙과 철학" "테크 리더라면 개발자로 살아가는데 실직적인 도움을 준 원칙" 박성철님의 원칙 >"쓸모 있는 일을 하자" 청소년기때 소수의 친구와 사귀면서 집에서만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았고, 사회에 나가 무엇
람다 계산법의 근간이 되는 개념은 심볼의 값이 변경되지 않는다 는 것이다.가변 변수를 사용하는 대신에 심볼에 값을 할당하면 그 값은 변경되지 않는다.참조 투명성은 동일한 입력 값에 대해 항상 동일한 출력 값을 보장하는 특성을 말합니다. 이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정규 표현식 또는 정규식은 특정한 규칙을 가진 문자열의 집합을 표현하는 데 사용하는 형식 언어이다. 정규 표현식은 많은 텍스트 편집기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문자열의 검색과 치환을 위해 지원하고 있다.이메일 전화번호 같은 규칙이있는 문자 파싱할때 자주 사용됨메타문자는 문
📝 학습 정리 내용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구조적 프로그래밍 : 제어 흐름의 직접적인 전환에 부과하는 규칙 ( GOTO 문 없이 반복문으로 제어 흐름)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제어 흐름의 간접적인 전환에 부과하는 규칙 ( 다형성 + 의존성 역전으로 제어 흐름 ) 함수
회고 네이버 부스트캠프 챌린지에 합격하고 첫 주를 보냈다. 이름 그대로 왜 챌린지가 챌린지 인지 알수 있는 한 주였다. 부스트캠프에서 느꼇던 가장 큰 점은 문제를 제공해주지만 정답은 없다. 그래서 정답이 무엇인지 가르켜주지 않고 스스로 판단하고 해결해야한다. 현실에서 쉽고 해결하기 쉬운건 문제만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였다. 그래서 이번 1주간 문제...
팀과 SPM으로 깃을 통해 형상관리를 하고있는데,이 develope 브렌치와 병합하면서 , originHash 값이 달라진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그래서 Package.resolved 파일이 무엇인지, 이 originHash가 무엇인지 찾아보게 되었습니다.Package.
UIKit 을 이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하였다. 나는 평소에 강의나 인터넷을 참고하여 UI를 그렸는데,스토리보드를 사용한다면 git Conflict가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또 storyboard는 xml로 되어있어서 코드리뷰하기 힘들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들어 는
유니티에서 자동으로 가상환경을 만들어주는 방법을 찾아보다 Blockade Lab Skybox와 Genesis를 활용하여 프롬프트를 통해 가상환경을 만들어주는 방법을 찾게되었다.링크 https://skybox.blockadelabs.com/프롬프트 : a hig
http://www.kocw.net/home/cview.do?cid=0adca710420a5d8d정리 내용 입니다.Point Operation픽셀의 값을 바꾸는 연산 방법픽셀 단일 처리이웃에 있는 픽셀을 고려하여 동시에 처리하는 방법을 Pixel Group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