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XncTU-4i1KI&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산의 횟수 대개 1억 번의 연산 = 1초로 간주 시간복잡도는 알고리즘 선택의 기
https://www.youtube.com/watch?v=LYZht9VkXyE&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5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문법 오류나 논리오류를 찾아 바로잡는 과정디버깅하고자 하는 줄에 중단점을 설
> https://www.youtube.com/watch?v=MDeAbo_LP1U&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8 📌 배열과 리스트 ◾ 배열 연속된 공간에 값이 채워져있는 형태의 자료 구조 인덱스를 통해 값
https://www.youtube.com/watch?v=O514yiWg8YE&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11합 배열을 이용하여 시간 복잡도를 더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목적의 알고리즘구간 합 알고리
https://www.youtube.com/watch?v=kz9L53DPaoY&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12배열에서 발전된 형태의 자료구조 구조는 비슷하지만 처리 방식이 다름삽입과 삭제 연산이 후입선출(
https://www.youtube.com/watch?v=h2_Lc8a8Ffw&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15간단한 구현 가능시간 복잡도가 O(n²)으로 속도가 느린 편비교 연산이 필요한 루프 범위 설정
https://www.youtube.com/watch?v=lM6BFazUHjA&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16정렬되지 않은 데이터에서 최대나 최소 데이터가 나열된 순으로 찾아가며 선택구현 방법이 불편시간
이미 정렬된 데이터 범위에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시켜 정렬하는 방식시간 복잡도가 O(n²)으로 속도가 느린 편이지만 구현이 쉬움 출처 : https://blog.tomclansys.com/54현재 index에 있는 데이터값 선택현재 선택한
이미 정렬된 데이터 범위에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시켜 정렬하는 방식시간 복잡도가 O(n²)으로 속도가 느린 편이지만 구현이 쉬움 출처 : https://blog.tomclansys.com/54
https://www.youtube.com/watch?v=KNKj8QSbRXE&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18분할 정복 방식을 사용해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집합을 정렬하며 합침 시간 복잡도는 O(nlo
https://www.youtube.com/watch?v=6tz6oD6ZFvM값을 비교하지 않는 특이한 정렬값을 놓고 비교할 자릿수를 정한 다음 해당 자릿수만 비교시간복잡도는 O(kn). k는 데이터의 자릿수정렬 요소가 정수인 경우에만 사용 가능 10개의 큐를
https://www.youtube.com/watch?v=lFtQnOhKnr0&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21가장 많이 사용 됨그래프 완전 탐색 기법 중 하나완전 탐색 : 그래프에 있는 모든 노드 탐색그래
https://www.youtube.com/watch?v=Cs8DaupoSPM그래프를 완전 탐색 (DFS와 동일)시작 노드에서 출발해 시작 노드를 기준으로 가까운 노드를 먼저 방문하면서 탐색선입선출 방식으로 탐색하므로 큐를 이용해 구현탐색 시작노드와 가까운 노
https://www.youtube.com/watch?v=1vZijMmhGNw&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23 \`데이터가 정렬 되어 있는 상태 에서 원하는 값을 찾아내는 알고리즘 대상 데이터의 중앙값과
https://www.youtube.com/watch?v=8V2zw6Qxarc현재 상태에서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중 최선의 선택지를 계속 선택하다보면 전체 전택지 중 최선의 선택지가 나온다.최적의 해를 보장하지는 않는다.해 선택 : 현재 상태에서 가장 최선이라
https://www.youtube.com/watch?v=R1vl8FNAC6Q&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25소수 : 1과 자기 자신 외에 약수가 존재하지 않는 수 구하고자 하는 소수의 범위만큼 1차원 배
https://www.youtube.com/watch?v=Ha2QNsL9wXI&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26함수 PN의 정의는 1부터 N까지의 범위에서 N과 서로소인 자연수의 개수ex) P6 = 1~6범
https://www.youtube.com/watch?v=Whl9317jAOA&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26두 수의 최대 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MOD 연산을 이해하고 있어야 함큰 수를 작은 수로 나누는
https://www.youtube.com/watch?v=MOZUzB8w2LA&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28노드와 에지로 구성된 집합\* 노드 : 데이터를 표현하는 단위\* 에지 : 노드를 연결그래프의
https://www.youtube.com/watch?v=D_ZuvwIkinQ에지를 중심으로 그래프 표현배열에 출발 노드, 도착 노드를 저장하여 에지를 표현또는 출발 노드, 도착 노드, 가중치를 저장하여 가중치가 있는 에지를 표현배열의 duf 2개만 사용 (출
https://www.youtube.com/watch?v=klBh4ZglHYo여러 노드가 잇을 때 특정 2개의 노드를 연결해 1개의 집합으로 묶는 union 연산과 두 노드가 같은 집합에 속해 있는 지 확인하는 find 연산으로 구성 각 노드가 속한 집합을 1
https://www.youtube.com/watch?v=caRfN1Xkw88사이클이 없는 방향 그래프에서 노드 순서를 찾는 알고리즘 → 사이클이 존재하면 안됨항상 유일한 값으로 정렬되지 않는다. 출처 : https://gmlwjd9405.githu
https://www.youtube.com/watch?v=XIwiZZr2l5I&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31그래프에서 최단 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시간복잡도 측면에서 N의 크기가 클 것을 대비해 인접 행렬
https://www.youtube.com/watch?v=061eXyAFRuI&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33그래프에서 최단 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에지를 중심으로 동작하므로 그래프를 에지 리스트로 구현최단
https://www.youtube.com/watch?v=ibYzw9XAzyc&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33그래프에서 최단 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N의 크기가 크면 프로이드-워셜을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다.
https://www.youtube.com/watch?v=N9xLuHLMIN8&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34그래프에서 모든 노드를 연결 할 때 사용된 에지들의 가중치릐 합을 최소로 하는 트리대표적인 알고
https://www.youtube.com/watch?v=wbYc6d4th50&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36노드와 에지로 연결된 그래프의 특수한 형태→ 그래프의 표현으로도 tree를 표현할 수 있다순환
https://www.youtube.com/watch?v=ebp6xyrArKo&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36각 노드의 자신 노드(차수)의 개수가 2개 이하로 구성된 트리트리 영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 편향
https://www.youtube.com/watch?v=1d9sqmuLy-o&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37주어진 데이터의 구간 합 데이터 업데이트를 빠르게 수행하기 위해 고안해낸 자료구조의 형태더 큰
https://www.youtube.com/watch?v=qUYkV2F1R-k트리 그래프에서 임의의 두 노드를 선택했을 떄 두 노드가 각각 자신을 포함해 거슬러 올라가면서 부모 노드를 탐색할 때 처음으로 공통으로 만나게되는 부모노드를 말함 트리의 높이가 크지
https://www.youtube.com/watch?v=xLvL1C1LfnY&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40트리 그래프에서 임의의 두 노드를 선택했을 떄 두 노드가 각각 자신을 포함해 거슬러 올라가면서
https://www.youtube.com/watch?v=U22u6E2udUI&list=PLFgS-xIWwNVX-zm4m6suWC9d7Ua9z7fuT&index=41조합은 nCr로 표현하고 이는 n개의 숫자에서 r개를 뽑는 경우의 수를 뜻함조합과 비교되는 순열
> https://www.youtube.com/watch?v=EQMd8bTIf-8 📌 동적 계획법(DP) 복잡한 문제를 여러 개의 간단한 문제로 분리하여 부분의 문제들을 해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복잡한 문제의 답을 구하는 방법 ◾ 동적 계획법 핵심 이론 1. 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