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객체탐지모델인 YOLO를 학습하였고 탐지한 객체를 추적하기 위해 Tracking 기술중 ByteTrack을 사용하여 동일한 객체를 추적하게 되었다. 이번 프로젝트동안 좋은 기회를 받아 NPU서버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YOLO모델을 NPU를 통해 추론을
JWT(Json Web Token)란? – 처음 배우고 실무까지 정리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JWT(Json Web Token)에 대해 처음 배우는 입장에서 기초 개념부터, 실무에서 자주 놓치는 부분과 주의사항까지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인증과 권한 부여에 자주 쓰이
들어가며 JPA에서 연관관계를 매핑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공부하면서 실제로 실무에서는 어떻게 매핑하는지 궁금하여 블로깅하였다. 먼저 JPA에서의 연관관계 매핑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실무에서의 과정을 알아보려 한다. 연관관계 매핑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객체 간 참
들어가며 이전 글에서 레이어드 아키텍처를 알아보면서 백엔드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이해할 수 있었다. 그 다음 실습을 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면서 영속성 컨텍스트를 알게 되었고 존재 이유를 자세히 알고 싶어 이번 블로깅 주제로 잡았다. 영속성 컨텍스트(Persi
들어가며 지난 글에서 객체 탐지 모델인 YOLO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탐지된 객체를 추적하는 Object Tracking 그 중에서 Bytetrack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것이다.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에서 축구 경기 영상에 학습된 YOLO모델을 적용
들어가며 데이터 분석 부트캠프를 수료하면서 다양한 데이터에 대해 분석도 해보고 AI를 활용한 흥미로운 프로젝트들을 진행하였다. 과정을 거듭하며 데이터들의 흐름을 알고 싶어 백엔드 개발에 발을 들이고자 한다. 프레임워크는 SpringBoot로 선택하였고 실습에 들어가기
들어가며 현 프로젝트에서 영상 분석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중에서 중요도를 가장 많이 차지하는 객체 탐지 알고리즘에 대해 한 발짝 다가가고자 한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객체 탐지에 대해 알아보고 대중적인 기술 중 하나인 YOLO에 대해 파헤쳐 본다. 더 나아가 객체 트래킹
힙(Heap)이란? > 완전 이진 트리의 일종으로, 최솟값(최소 힙) 또는 최댓값(최대 힙)을 빠르게 찾고 관리하기 위해 고안된 자료구조 ❓완전 이진 트리는 무엇일까? > 루트 노드부터 시작하여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노드 순으로 데이터가 차례대로 삽입되는 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