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멋있는 사람이 되는 게 꿈입니다

[나만무] 6/16. Spring Boot 기초

IoC (제어의 역전): 객체 생성과 제어 권한을 개발자 대신 스프링이 맡는 구조.DI (의존성 주입): 필요한 객체를 직접 만들지 않고, 스프링이 대신 넣어주는 방식.AOP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핵심 로직과 공통 기능(로깅, 보안 등)을 깔끔히 분리하는 기법.P

2025년 6월 16일
·
0개의 댓글
·

[나만무] 6/13. 프레임워크 학습 시작

나만무 기간동안은 매일 TIL을 적어볼 예정이다.

2025년 6월 12일
·
2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intOS 주간 회고

길고 긴... 지옥의 주간이 끝났다.지금 쓰긴 귀찮아서 내일 수정 예정

2025년 6월 12일
·
0개의 댓글
·

week12~13. pintOS(3)

Virtual MemoryPage TableTranslation Lookaside Buffer (TLB)Page FaultLazy LoadingPage Replacement PolicyAnonymous pageSwap DiskFile-backed PageDirect M

2025년 6월 12일
·
0개의 댓글
·

week10~11. pintOS(2)

User mode vs Kernel modeRegister vs MemoryUser StackSystem CallFile DescriptorCacheAtomic Operationrax register32 bit OS vs 64 bit OSInterruptSegmenta

2025년 5월 27일
·
1개의 댓글
·

week09. pintOS(1)

Process, ThreadCPU Scheduling 알고리즘Semaphore와 MutexRace ConditionDeadlockContext SwitchingMulti-Level Feedback Queue Scheduler (MLFQS)Project 1

2025년 5월 15일
·
0개의 댓글
·

week08. 웹서버 만들기

네트워크 계층 (OSI7 Layer, TCP/IP Layer)웹페이지클라이언트-서버 모델 웹페이지소켓(socket, bind, listen, accept, connect, close)웹페이지파일 디스크립터 웹페이지Datagram Socket vs Stream Socke

2025년 5월 8일
·
0개의 댓글
·

네트워크의 이해(2) - HTTP, tiny web server 구현, proxy server 구현

웹 서버와 동적/정적 콘텐츠 제공 방식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등)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통신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정적 콘텐츠 혹은 동적 콘텐츠를 요청하며, 요청 방식에 따라 서버의 응답 방식이 달라진다. 정적 콘텐츠(static content)

2025년 5월 3일
·
1개의 댓글
·

week07. malloc lab

시스템 콜, 데이터 세그먼트, 메모리 단편화, sbrk/mmap가상 메모리, 페이징동적 메모리 할당 (힙, sbrk, malloc, free)메모리 단편화메모리 할당 정책 (first fit, next fit, best fit)implicit free list / ex

2025년 5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어느 4월의 근황

어느 4월의 근황

2025년 4월 27일
·
7개의 댓글
·
post-thumbnail

malloc에 관한 모든 것(2)

malloclab 톺아보기 carnegie mellon 대학의 malloclab과제를 따라가며 malloc을 실제로 구현해보자. CS:APP 9.9장의 내용을 참고하며 진행한다. 과제 명세의 pdf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개요 malloc, free, real

2025년 4월 26일
·
5개의 댓글
·
post-thumbnail

malloc에 관한 모든 것(1)

일단 가상 메모리의 구조를 머릿속에 넣어두고 생각하자.malloc()은 동적으로(= 런타임에) 가상 메모리의 힙(heap) 영역에 메모리를 할당해준다.배열을 정해진 크기로 사용할 수 없거나,보통 1MB 정도의 크기를 갖는 스택(stack) 영역을 초과하는 양의 배열이

2025년 4월 25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Red-Black tree에 관한 모든 것

쉬운코드 레드블랙트리 영상 링크특성(1~5)삽입 처리, 삭제 처리CLRS 13장 pseudo-code구현 시 생각해야 할 점

2025년 4월 25일
·
2개의 댓글
·

week06. Red-Black Tree

메모리 누수, 균형 이진 탐색 트리(AVL Tree, Red-Black Tree)

2025년 4월 25일
·
0개의 댓글
·

week05. C언어, 자료구조, 알고리즘

C Pointer(&, \* 연산자), 동적 메모리 할당, Linked List, Stack, Queue, Binary Tree, Binary Search Tree, 동적 프로그래밍, 그리디 알고리즘

2025년 4월 25일
·
0개의 댓글
·

week04. 자료구조와 알고리즘(4)

DP, Greedy 알고리즘LCS, Knapsack problemC언어 - 포인터, \* & 연산자, Linked List

2025년 4월 11일
·
0개의 댓글
·

GCC & gdb

리눅스 환경에서 C 언어를 개발할 때 자주 사용하는 도구 - GCC & gdb

2025년 4월 11일
·
0개의 댓글
·

[문제] 백준 12865 평범한 배낭

Knapsack 문제(배낭 문제) - 동적 프로그래밍(DP) 또는 그리디(Greedy)

2025년 4월 8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알고리즘] 그리디 알고리즘 (Greedy Algorithm)

그리디 알고리즘 (Greedy Algorithm() - 개념 / 적용 조건 / 실전 예제 / DP와 비교

2025년 4월 4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