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 공통설정(왼쪽 오른쪽만) <span style="color:1. configure terminal2\. interface ethernet 1-23\. no shutdown4\. channel-group 1 mode activelacp 설정<span s
switch<span style="color:사용자 모드switch<span style="color:switch<span style="color:특권모드switch<span style="color:switch<span style="color:
1.명령어 > create vlan test tag 10 > create stpd test-pvst Carrier vlan 생성 > configure stpd test-pvst tag [member vlan 태그값] ex) configure stpd tes
스위치 공통설정 <span style="color: 1. configure vlan Default delete ports all 2\. create vlan peer tag 10 peer 끼리 통신할 vlan 생성 LACP 로 여러개의 포트 묶는 명령어<
보통 네트워크를 구현할시 이중화 작업을 하게되는데 위 사진의 경우 잘못하면 패킷이 계속해서 루핑하게 되는데 이것을 막아주는 프로토콜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하나의 네트워크에 Root Bridge를 하나 정해주고 이 스위치와 가장 가까운 경로에 있는 포트를 Root Port
configure vlan Mgmt ipaddress 해당 장비에 접속할 ip<span style="color:원격 접속 상황이 이렇다고 가정했을때ex) 내가 192.168.0.10/24 ip에 telnet을 통해 접근하고싶은경우<span style="co
1.명령어 > configure vlan [Vlan 이름] add port [추가할 포트번호] [untagged | tagged] 2.Subnetting과 Vlan 그렇다면 이경우는 어떨까? 네트워크 대역대는 같다 EXOS-VM.42 # configure
1. 설정/설정 해제 > |설정|해제| |:---:|:---:| |create|delete| |config|unconfig| |config add| config delete| |enable|disable| |show| 2.계정 2.1 계정생성 > create acc
1. 명령어 1.1 BID 설정 > spanning-tree vlan1 priority [설정하고싶은 BID 넘버] 2. STP란? 보통 네트워크를 구현할시 이중화 작업을 하게되는데 위 사진의 경우 잘못하면 패킷이 계속해서 루핑하게 되는데 이것을 막아주는 프로토콜이
Cisco 장비를 기준으로 Vlan를 해보려고한다 명령어 Vlan 목록 확인 > Switch#show vlan brief > R1#show vlan-sw 방식이 2가지 방식이 있다 여기서 show vlan-sw는 옛날에 쓰이던 명령어다 해당방식도 기술한 이유는
네트워크와 리눅스 서버를 사용해 다양한 환경을 구성하려고한다 gns3, virtualbox 기본설치 및 설정을 기술한다 1. Gns3 설치 > https://www.gns3.com/software/download | ---|---| ![](https://ve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