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s (RDBMS) like PostgreSQL and NoSQL databases like Elasticsearch have their own unique advantages and are used fo
금주의 성과는 데이터 전처리 코드 개선으로 인공지능 모델의 accuracy를 0.78 -> 0.92까지 향상시킨 점, 인공지능 모델 배포 후 기존에 구상했던 모든 서버를 구현, 연결하여 부하 테스트를 성공했다는 점과, AI모델이 올라가있는 서버를 덜 쓰기 위해 구상했던
우리 조가 지향하는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외국어 번역 API를 통해 Client의 병환을 관련 전문가에게 한국어 문장 형태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위치 정보 등을 받아 Client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Cache
특정한 웹 서비스의 존재 이유는 무엇일까? 사람마다 그 답이 다르겠지만, 나는 기존에 존재하던 서비스를 개선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서비스를 새로 개발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새로운 서비스를 기획하는 사람은 자신이 제공할 서
항해99 프로그램은 프론트와 백엔드 개발지망자를 나누어 학습시키고, 이들 사이에 협업하는 커리큘럼을 포함하고 있다. 지난 주, 수 주간 각자 사이드에 훈련받은 뒤, 그룹별로 사이드간 팀을 이루게 되었다. 우리 팀은 nodejs로, 상대 프론트엔드 사이드는 React를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필연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어떤 데이터는 서버에 저장해두고,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 마다 그것을 꺼내주거나, 수정하기도 하고, 새로운 데이터 공간에 창출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지우기도 한다. 모든 정보가 저장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어떤 정
require 함수는 하나의 자바스크립트 확장자 파일 내부에서 동작할 외부 모듈을 불러오기 위해 사용됩니다. 외부로부터 여러개의 임의의 모듈을 불러오는 것은, 편리하지만 그럼에도, 서로 다른 모듈 작성자가 우연히 같은 이름의 변수를 각각 지정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는 오
RESTful API란 일반적으로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일컫는다. RESTful API가 무엇인지 답하기 위해서는, REST의 정의가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REST를 가리키는 한국어 표준
며칠 전, 저희 팀원분들과 이야기를 나누던 중 문득 궁금한게 하나 생겼습니다. 당시 공유했던 의문을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표현하자면(ㅋㅋ) 다음과 같습니다. "서버는 내가 보낸 요청 메시지에 적힌 아이피 주소를 보고 내 아이피 주소로 내가 요청한 정보를 보내주는구나.
항해99 프로그램은 매주 3~4명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팀을 구성한다. 2주차에서 3주차로 넘어가는 길목에서, 많은 사람을 만나본 것은 아니지만, 내가 만나본 사람들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뉘어졌다. 더 가까워지고 싶은 사람과 더는 그렇지 않은 사람. 야 공부는 혼자하는거야
empty, undefined, 그리고 null 모두 변수가 비어있음을 표시하는 식별자이다. 그러나 이들은 반복문을 통해 몇 가지 특징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첫째, empty는 반복문을 통하여 객체를 순회할 때 잡히지 않는다. empty는 변수가 선언되기 이전 단계에
JWT(Json Web Token)은 서버가 어떤 클라이언트에게, 어떤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지 서버가 판단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한 고안의 결과물중 하나이다. 서버는 많은 정보를 다룰 수 있지만, 어떤 정보는 모두에게 공개될 수 있는 반면 어떤 정보는 어떤 누군가에게
코딩과 글쓰기 사이에는, 오랜 시간 의자에 앉은 채로 타자기를 두들기는 작업이라는 점 외에도 많은 공통점이 있겠지만, 여기선 단어와 문장을 사용한다는 것을 언급하고 싶다. 단어와 문장은 어떤 개념의 표상(Representation)이다. 가령 어떤 특정한 개념을 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