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코딩테스트 대비를 위한 알고리즘 공부를 시작할 예정이다. 👊👊먼저 알고리즘 개념에 대해서 벨로그에 정리->백준/프로그래머스 코테를 풀 계획 ! 알고리즘의 종류들은 다음과 같이 프로그래머스 고득점 kit에 있는 알고리즘들이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차이에
코딩테스트를 대비한 알고리즘 포스팅 해시(Hash)편은 여기 참고 !두번째로 정리할 알고리즘인 스택(Stack), 큐(Queue)는 둘다 막대 형식의 자료구조라고 이해하면 쉽다. 둘다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때 주로 사용하는 자료구조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순서는 같지만 데
코딩테스트를 대비한 알고리즘 포스팅 해시(Hash)편은 여기 참고 ! 코딩테스트를 대비한 알고리즘 포스팅 스택/큐(Stack/Queue)편은 여기 참고 ! 🐼 힙이란 ? 두번째로 정리할 알고리즘인 힙(Heap)은 ✏️ python에서 힙을 구현하는 방식: hea
코딩테스트를 대비한 알고리즘 포스팅 해시(Hash)편은 여기 참고 !코딩테스트를 대비한 알고리즘 포스팅 스택/큐(Stack/Queue)편은 여기 참고 !코딩테스트를 대비한 알고리즘 포스팅 힙(Heap)편은 여기 참고 !네번째로 정리할 알고리즘인 정렬(Sort)은 어떤
코딩테스트를 대비한 알고리즘 포스팅 해시(Hash)편은 여기 참고 !코딩테스트를 대비한 알고리즘 포스팅 스택/큐(Stack/Queue)편은 여기 참고 !코딩테스트를 대비한 알고리즘 포스팅 힙(Heap)편은 여기 참고 !코딩테스트를 대비한 알고리즘 포스팅 정렬(Sort)

이전에 학습했던 알고리즘 힙, 큐, 스택, 해시 등의 알고리즘을 뒤로하고,,혼자 공부하기 까다롭다고 생각했던 그래프기반 알고리즘(BFS/DP/그리디)을 학습하기 위해 강의를 듣기로 결정했다 ~ 유튜브에서 무료제공중이므로 3일 동안 열심히 강의를 듣고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그리디 알고리즘은 현재 상황에서 지금 당장 좋은 것만을 고르는 방법을 의미함, 문제를 풀기 위한 최소한의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함 정당성 분석이 중요함. 단순히 가장 좋아보이는 것만을 선택해도 최적의 해를 구할 수 있는지 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함위의 그래

(3) DFS & BFS 탐색이란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을 말함. 대표적인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으로는 DFS와 BFS가 있음 DFS/BFS는 코딩테스트에서 매우 자주 등장하는 유형이므로 반드시 숙지해야함 위의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을

정렬이란 데이터를 특정한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을 말함 일반적으로 문제 상황에 따라 적절한 정렬 알고리즘이 공식처럼 사용됨 ✔️ 알고리즘은 앞선 벨로그 정리에서 더 상세히 다루었으므로 간단히만 정리 !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 중에서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

(5) 이진 탐색 알고리즘 이진 탐색 알고리즘이란 정렬된 데이터에서 특정한 데이터를 빠르게 탐색할 수 있는 탐색 알고리즘 순차 탐색과의 비교 순차 탐색: 리스트 안에 있는 특정한 데이터를 찾기 위해 앞에서부터 데이터를 하나씩 확인하는 방법 이진 탐색: 정렬되어 있는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은 메모리를 적절히 사용하여 수행 시간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임이미 계산된 결과(작은 문제)는 별도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해 다시 계산하지 않도록 함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의 구현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식(탑다운:하향식과 보텀업:상향식)으로 구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