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항상 Why?[왜썻는지] What?[이를 통해 무엇을 얻었는지 생각하겠습니다.]
post-thumbnail

2021 카카오 채용연계형 인턴십 표 편집 C++

이번문제는 혼자서 풀지 못해 해당 글을 보고 풀었습니다...https://codenme.tistory.com/32난이도가 상당한거 같습니다..처음에 틀린코드우선 이 문제를 보고 배열로 풀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U으로 두번을 이동하면 두번 이동할때 false

2025년 1월 2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가장 큰 정사각형 C++

가장 큰 정사각형 문제 바로가기이번 문제의 알고리즘은 DP를 사용해서 풀었습니다.답안이 생각나지 않아, https://yabmoons.tistory.com/158 해당 글을 참고하여 풀었습니다.처음 로직을 생각한건x=1,y=1에 왔을때, 이중 포문을 map끝까

2025년 1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다형성과 Spring Security

이번 포스팅은 https://mangkyu.tistory.com/76해당 블로그의 좋은 Spring Security 글을 읽고, 이해한 내용을 풀어서 쉽게 설명하고, 다른 글들을 참고하여서 Spring Security의 동작원리에 대해서 설명해보겠다.Sprin

2025년 1월 13일
·
0개의 댓글
·

백준 2225 합분해 C++

합분해 문제 바로가기https://yabmoons.tistory.com/128해당 블로그 글을 보고 문제를 풀었습니다.이번 문제는 합분해 문제입니다.만약 N,K가 3,3이라면 3가지 숫자를 가지고 3을 만들어야합니다.여기서 어떤 알고리즘을 적용할까 했는데, 모

2025년 1월 12일
·
0개의 댓글
·

백준 2636 C++

치즈 문제 바로가기해당문제는 저는 DFS를 사용해서 풀었습니다.다만, 어차피 DFS를 한번만 0,0에서 시작하므로 BFS와 다를것이 없습니다.판의 0,0은 무조건 공기입니다. 그러므로, dfs(0,0)으로 시작합니다.핵심은 이것입니다.i,j가 0,0이라고 가정하고 상하

2025년 1월 12일
·
0개의 댓글
·

SQL Injection

이번 포스팅은 SQL injection 공부중 공부할만한 sk에서 발간한 글이 있길래 공부겸 정리글을 써보고자 한다. > 출처: https://www.skshieldus.com/download/files/download.do?ofname=EQST%20insightSp

2025년 1월 12일
·
0개의 댓글
·

1011 C++

문제 바로가기이번 문제는 알고리즘이라기 보단, 수학을 이용하는 문제였다.처음에 이 문제를 접근했을때, 2^31이라는 0 ≤ x < y < 2^31 조건을 보자마자, 그냥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처음에 그래서 든 생각이 DP를 써야되나? 싶었다.왜냐하면 0부터

2025년 1월 7일
·
0개의 댓글
·

2293 동전 1 C++

문제 바로가기해당 문제는 DP를 사용해서 푸는 문제입니다.처음에 그리디로 문제를 접근하여서 풀려 했지만, 실패하였습니다.동전 문제는 대부분이 그리디로 풀리기 때문에, 1,2,5로 10원을 만들기 위해서 가장 큰 동전의 경우의 수부터 고려하여서 문제를 풀려했습니다.가장

2025년 1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자바 고급

멀티태스킹CPU코어가 1개라고 가정했을때, 프로그램 A의 코드를 0.01초 수행하고, 프로그램 B의 코드를 0.01초정도 수행이걸 반복하면, 마치 영사기의 사진이 돌아가는 것처럼 동시에 수행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음 (이걸 시분할기법이라함)어떤 프로그램이 먼저, 얼만큼

2025년 1월 4일
·
0개의 댓글
·

주식 11501 C++

이번 문제는 그리디로 풀면 되는 문제였습니다.어떻게 풀지 몰라, 블로그를 참고하여서 풀었습니다.처음 문제를 접했을때는, 정방향으로 배열을 순회하면서, Max값을 갱신해가면서 누적합을 구해야하나? 이런식으로 접근했는데도저히 구현이 어려웠는데,만약1 1 3 1 1 5라면앞

2024년 11월 13일
·
0개의 댓글
·

뱀과 사다리 게임 16928 C++

이번문제는 BFS를 사용해서 푸는 문제입니다.문제가 참신하고, 난이도도 쉬워서 재미있게 풀었습니다.문제 바로가기해당 문제에서 고려해야할 점은, BFS입니다.BFS임을 어떻게 바로 알 수 있냐면, 게임판의 상태가 주어졌을 때, 100번 칸에 도착하기 위해 주사위를 굴려야

2024년 11월 8일
·
0개의 댓글
·

ABCDE - 13023 - 백준 - C++

ABCDE 문제 바로가기해당 문제는 BackTraking을 사용하는 문제입니다.문제 자체는 어렵지 않은데, 문제가 뭔 말을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아서, 다른 블로그에서 해설 조금 + 반례를 참고하여 풀었습니다.일단 이 문제가 요구하는 것은 0 1 2 3 4 5 6 7

2024년 11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글로벌 캐시로 redis 사용해보기 + 동시성 제어 3편

지난 글로벌 캐시로 redis 사용해보기 + 동시성 제어 2편에는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Synchronized 키워드에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나, Synchronized 키워드를 통해서는 분산환경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는 것도 배웠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데

2024년 11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백준 - 최소 스패닝 트리 - 1197 - C++

이번 문제는 크루스칼 알고리즘을 활용한 최소신장트리를 찾는 문제입니다.알고리즘만 알고있으면, 쉬운문제로 해당 문제를 활용한 문제를 하나 또 풀어봐야겠습니다.최소신장 트리를 구하는 문제인지, 아닌지는 판단하기 굉장히 쉽습니다.왜냐하면, 다익스트라, 벨만포드, 플로이드 와

2024년 11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글로벌 캐시로 redis 사용해보기 + 동시성 제어 2편

해당 글은글로벌 캐시로 redis 사용해보기 + 동시성 제어 1편에 이어서, Synchronized 키워드를 통해서 동시성을 만족시키는 실습을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우선, 실습을 할 코드 배경을 살펴 보자면, 간단하게 Store 엔티티를 만들고, increas()메

2024년 11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est Code에서 @Transactioanl

이번 포스트는 동시성 제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다 만난 문제들을 해결해 가면서 얻은 내용들을 소개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제 1: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엔티티를 찾을 수가 없다. 해당 flow를 설명해보자면, Store를 저장을 한다. for문을 100번 돌면서

2024년 10월 3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글로벌 캐시로 redis 사용해보기 + 동시성 제어 1편

이전 글에서 고찰부분에서 생각이 들었던 동시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해당 포스트를 작성하였습니다.Aws ec2 인스턴스를 두개를 빌려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두개를 띄운다음에, 글로벌 캐시 Redis를 사용하여서 캐싱을 진행하였습니다./api/allProves/v4/ST

2024년 10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WS EC2와 Redis로 구현한 글로벌 캐시 시스템

지금까지 Redis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았고,Prove Project에서 mamcache에 대해서 배우고, mamcache로 구현을 했습니다.지금부터 Aws Ec2를 활용하여 다중서버 환경에서 Redis로 캐싱 시스템 구현하기에 대해서 배워 보도록 하겠습니다.해당 내용

2024년 10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컬렉션 프레임워크 - ArrayList

자바는 배열 뿐만 아니라 컬렉션 프레임워크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자료구조를 제공한다. 배열에서 자료를 찾을때 인덱스를 사용하면 입력,변경,조회의 경우 한번의 계산으로 자료 위치를 찾을 수 있다.

2024년 10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택배 배달과 수거하기

문제 바로가기이번 문제는 해당 글을 참고하고 풀었습니다.https://school.programmers.co.kr/questions/43364이걸 어떻게 풀어야할지 감도 안잡혔는데, 위의 글을 보자 도대체 이런 풀이법은 어떻게 생각했을까? 자괴감이 드는 문제였

2024년 10월 8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