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곽정은입니다.스터디 공부를 노트 필기로 했었는데 컴퓨터로 구현해야 하는 부분이 있어서 벨로그에 옮겨 둡니다.
매개변수 w1, w2, $$\\theta$$는 함수 안에서 초기화 하고, 가중치를 곱한 입력의 총합이 임계값을 넘으면 1을 반환하고 그외에는 0을 반환.출력결과넘파이 배열끼리 곱셈은 두 배열의 원소 수가 같다면 각 원소끼리 곱함.그래서 w\*x에서는 인덱스가 같은 원소
퍼셉트론은 이론상 컴퓨터를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복잡한 함수도 표현할 수 있지만, 원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가중치를 적절히 설절하는 작업은 여전히 사람이 수동으로 해야 함. 신경망은 가중치 매개변수의 적절한 값을 데이터로부터 자동으로 학습하는 능력이 있어 사람이 수동
처음에는 깜지쓰듯이 썼는데 그러니깐 너무 시간이 많이 드는군요. 그래서 오늘부터는 공부법을 바꾸어 책에서 눈에 밟히는 부분만 적겠습니다. 공부법을 바꾸기 전에 적은 부분은 그냥 남겨두겠습니다. 그래서 초반엔 장황한데 끝에는 미미할 수 있다는 점 주의바랍니다!
학습이란 훈련 데이터로부터 가중치 매개변수 최적값을 자동으로 획득하는 것.신경망이 학습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표인 손실함수를 배우고, 이 손실함수의 값을 가급적 작게 만드는 가중치 매개변수를 찾는 것이 학습 목표임.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사이토 고키, 한빛 미디
다음은 단순한 CNN 네트워크 구성임.위 그림의 CNN 네트워크는 Convolution - ReLU - Pooling - Affine - ReLU - Affine - Sofrmax 순으로 흐름.SimpleConvNet이라는 클래스로 구현해보자.SimpleConvNet의
기원전 2000년 정도에 서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그리스와 로마를 경유하여 명나라 이후에 중국으로 전래되어 개량되었음.Pascaline, 1642년 톱니바퀴를 이용해 덧셈, 뺄셈이 가능한 최초의 기계식 계산기.1671년 파스칼의 계산기를 계량해 곱셈, 나눗셈도
PPT에 대한 설명을 블로그에 따로 적습니다.무수히 많은 컴퓨터에 분산 저장되어 있는 문서를 수집하여, 검색 대상의 색인으로 포함시키는 기술.(네이버 IT용어사전) 특히 웹에서 데이터를 긁어오는 '웹 크롤러'가 하는 작업을 '웹 크롤링/ 스파이더링'라고 한다. 멀티스레
\--> Word2Vec에 대해서 보긴 봤는데 어떻게 단어 간 유사도가 계산되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았었다. 나는 그게 너무 궁금했기에 Embedding이라는 주제를 잡고 간단하게 살펴보게 되었다.문자에 단순히 숫자를 부여하는 것으로도 텍스트를 숫자로 표현할
어떤 단어 → 단어에 부여된 고유한 정수값 → Embedding layer 통과 → Embedding vector/ dense vector입력 단어들을 Embedding layer의 입력으로 사용하기 위해선 모두 정수로 인코딩되어야 함.\--> 왜냐하면 특정 단어와 맵
이전까지는 자료구조.오늘부터는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알고리즘 = 방법론 자료구조를 먼저 공부한 이유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을 때, 문제의 요소(데이터, 조건 등)을 바탕으로 연산을 해서 결과물을 만들어 내기위해선 자유롭게 꺼내 쓸 수 있도록 관리를 먼저 할 수 있
<알고리즘 설계법>입력 --> 알고리즘 --> 출력.알고리즘은 길인데, 어떻게 입력에서 출력으로 길을 찾을까?유명한 알고리즘 설계법완전탐색(naive, brute force): 모든 경우의 수를 다 해보는 방법. (Ex. 자물쇠 비밀번호 찾기.)분할정복(Divid
boj.kr/11047'동전 0'문제.그리디, 탐욕법으로 풀이.(현재 상태에서 가장 좋아보이는 것을 선택.)조건에서 동전이 배수, 약수라고 주어졌기에 문제가 풀릴 수 있었음.boj.kr/1149'RGB 거리' 문제.브루트포스로 풀어보기.N이 3이라고 했을 때, 1번집에
boj.kr/1065'한수' 문제.브루트포스로 풀이 가능.boj.kr/2217'로프' 문제.그리디로 풀이 가능.boj.kr/2447'별 찍기-10' 문제.분할정복으로 풀이 가능.재귀 혹은 for문 사용할 수 있음.boj.kr/2579'계단 오르기' 문제. DP로 풀이
그래프란?G = (V(vertex), E(edge))자료구조가 해야하는 것은 연산.연산을 위해서는 입력, 삭제, 검색이 있어야 함.그래프에서 원하는 것을 찾을 때, 모든 곳을 다 체크하는 것을 "순회(traversal)"라고 함.그 방법으로 BFS, DFS가 있음.BF
안녕하세요. 곽정은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벨로그에 글을 쓰네요. 2주 전부터 풀잎스쿨 강의에 참여하고 있는데, 내용이 좋아서 기억에 남는 부분을 기록으로 남겨두려고 해요 ㅎㅎ 좋은 기획자, 제품 매니저가 되고 싶다면! > 좋은 서비스 디자인 : 끌리는 디지털 경험
안녕하세요. 곽정은입니다.두번째 풀잎스쿨은 참여하면서 계속 제 자신을 돌이켜보았던 것 같아요.지금 기획하고 제작 중인 서비스가 있는데, 그 서비스를 내가 잘 만들고 있는 것인지 아닌지 평가해볼 수 있더라구요.제가 봤을 때 지금 제작 중인 서비스는 형편없으나, 풀잎스쿨을
<우버에서 잃어버린 휴대폰>우버 뒷 좌석에 떨어진 핸드폰파트너의 휴대폰(우버 회사에 전화) 사라의 서브 핸드폰(이중인증)애플의 '내 휴대폰 찾기'우버 기사 집에서 핸드폰 발견!우버는 휴대폰 배터리가 다 닳거나 잃어리면 사용할 수 없는 서비스인데, 해당 부분에 대해
"PO는 모든 사람들이 지켜보는 존재야. 개발자, 디자이너, 비즈니스 애널리스트 등은 물론, 회사 내/외부 고객과 사업부, 심지어 나 같은 경영진까지 지켜보고 있어.""그래, 명심해. PO는 중심에 있어. 모두가 보고 있단 말이지. 절대로 감정을 공개적으로 보이지 마.